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황병기 연구 :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히다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Killick, Andrew P. (Andrew Peter) 김희선, 역
Title Statement
황병기 연구 :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히다 / 앤드류 킬릭 지음 ; 김희선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풀빛,   2015  
Physical Medium
398 p. : 삽화, 초상화 ; 24 cm
Varied Title
Hwang Byungki :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temporary composer in the Republic of Korea
ISBN
9788974747664
General Note
부록: A. 황병기 작품목록, B. 부호 설명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65-380)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Kayagŭm music --Korea --History and criticism
주제명(개인명)
황병기,   1936-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49026
005 20151106104439
007 ta
008 151106s2015 ulkac b 001c dkor
020 ▼a 9788974747664 ▼g 93670
035 ▼a (KERIS)BIB000013689522
040 ▼a 211014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781.62/9510092 ▼2 23
085 ▼a 781.62953 ▼2 DDCK
090 ▼a 781.62953 ▼b 2015
100 1 ▼a Killick, Andrew P. ▼q (Andrew Peter)
245 1 0 ▼a 황병기 연구 : ▼b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히다 / ▼d 앤드류 킬릭 지음 ; ▼e 김희선 옮김
246 1 9 ▼a Hwang Byungki : ▼b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temporary composer in the Republic of Korea
260 ▼a 서울 : ▼b 풀빛, ▼c 2015
300 ▼a 398 p. : ▼b 삽화, 초상화 ; ▼c 24 cm
500 ▼a 부록: A. 황병기 작품목록, B. 부호 설명
504 ▼a 참고문헌(p. 365-380)과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을 받고 제작되었음
600 1 4 ▼a 황병기, ▼d 1936- ▼x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650 0 ▼a Kayagŭm music ▼z Korea ▼x History and criticism
700 1 ▼a 김희선, ▼e▼0 AUTH(211009)87554
900 1 0 ▼a 킬릭, 앤드류,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62953 2015 Accession No. 5110274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62953 2015 Accession No. 5110274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1.62953 2015 Accession No. 1513266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62953 2015 Accession No. 5110274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62953 2015 Accession No. 5110274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1.62953 2015 Accession No. 1513266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전통음악 작곡가 황병기에 관한 최초의 영문 연구서의 번역본이다. 영국에서 최초로 출간된, 전통 악기를 위한 곡을 작곡한 동양 작곡가에 대한 연구서이다. 단편적인 연대기적 접근이 아닌 주제별 구성을 이루면서, 각각의 장은 중요도와 기능에 특별한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통 장르인 가야금 산조에서 황병기의 독보적 지위, 불교문화와 명상적 심미안에 대한 황병기의 꾸준한 관심 그리고 서양의 전위 음악을 수용한 확장된 기술과 접근법, 마지막으로 황병기의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저자 앤드류 킬릭 셰필드대학교 교수가 황병기의 음악을 연주한 경험과 25년간 황병기를 연구하고 만나 왔던 경험에 기초하고 있다.

최초의 황병기 연구서의 번역서 출간

○ 한국 음악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황병기에 대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작곡가로서, 연주가로서, 학자로서, 그리고 백남준문화재단의 이사장으로서 황병기는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에 반세기에 걸쳐 남다른 영향을 미쳤다. 그가 활동한 시기 동안, 클래식이든 전통음악이든 서구 스타일의 음악이 한국인들에게는 주요한 음악 표현 양식이었다. 그렇지만 전통음악은 국가 정체성 차원에서 강력한 상징으로서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 2013년, 영국의 저명한 사회과학 서적 출판사인 애쉬게이트에서 황병기의 삶과 작품을 연구한 본격적인 연구서가 출간되어 전 세계적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황병기의 삶과 작품 연구를 통해, 이 책은 급속도로 현대화된, 여전히 국수주의적 사회에서 전통음악의 위치에 대한 폭넓은 질문을 던진다. 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인식되지 못한 표현방식을 작업한 작곡가 황병기가 직면한 요소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작업은 전통 악기를 위한 새로운 음악이 어떻게 한 지역의 정체성과 현대 세계의 질서를 조화할 수단이 될 수 있을지 전망할 수 있다.

○ 이 책은 영국에서 최초로 출간된, 전통 악기를 위한 곡을 작곡한 동양 작곡가에 대한 연구서이다. 단편적인 연대기적 접근이 아닌 주제별 구성을 이루면서, 각각의 장은 중요도와 기능에 특별한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통 장르인 가야금 산조에서 황병기의 독보적 지위, 불교문화와 명상적 심미안에 대한 황병기의 꾸준한 관심 그리고 서양의 전위 음악을 수용한 확장된 기술과 접근법, 마지막으로 황병기의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저자 앤드류 킬릭 셰필드대학교 교수가 황병기의 음악을 연주한 경험과 25년간 황병기를 연구하고 만나 왔던 경험에 기초하고 있다.

○ 풀빛출판사는 이와 같이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음악성 및 창작 세계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조망되고 연구되는 작곡가임에도, 황병기에 대한 음악 연구서가 없는 한국 음악계의 현실을 직시, 앤드류 킬릭 교수의 이번 연구서를 한국의 전통음악, 그중에서도 ‘산조’를 연구한 음악학자 김희선 교수의 번역을 통해 《황병기 연구: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히다》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하였다. 제목 그대로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힌 황병기에 대한 본격적 연구서가 한국 전통음악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힐 한 권의 책

○ 2013년, 최고의 학술 연구서를 출판하는 데 독보적 역할을 하는 영국의 애쉬게이트 출판사에서 가야금 작곡가이자 연주자로서 세계적 명성을 떨치고 있는 황병기의 음악세계를 조망하는 연구서가 발간되었다. 바로 <황병기: 한국의 전통음악과 현대 작곡가(Hwang Byungki: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temporary Composer in the Republic of Korea)>이다. 이 책은 동양의 전통음악과 작곡가를 다룬 연구서로서는 영국 최초이다.

○ ‘가야금 명인’으로 칭해지는 황병기는 이미 국내 음악가가 아닌 세계적 음악가이다. 1965년 하와이에서 열린 ‘20세기음악예술제’에서 연주한 것을 시작으로 뉴욕 카네기홀을 비롯해 전 세계의 주요 공연장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펼쳤고, 각국에서 그의 음반을 취입했다. <뉴욕타임즈>는 “황병기의 작품은 신비로운 영감에 찬 동양의 수채화 같다. 극도로 섬세한 주법으로 울리는 아름다운 소리들이 음악에서 청징함이 무엇인가를 보여 주었다.”라고 황병기의 음악세계를 극찬하였고, 이 책의 저자 앤드류 킬릭 교수는 전통과 현대가 만나고, 고전 속에서 실험을 추구하는 황병기의 음악세계에 대해 ”모순을 명상하는 선의 경지“라고 정의하였다.

○ 이처럼 황병기와 그의 음악세계에 대한 평가와 연구는 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반면 우리나라의 음악계에서는 이런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 않은 아쉬움이 있다. 물론 전통음악 사사 등 음악을 음악으로 이어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출판을 통해 작곡가와 그의 작품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 전통음악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음악가들의 연구 향상에 실질적 도움을 주기는 어려운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 때문에, 지금까지 체계적이고 학술적으로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황병기라는 인물과 그의 음악세계를 전반적으로 아울러 조망하고 해설한 최초의 연구서의 번역본인 이 책은 단순한 번역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맥을 잇고 현대적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커다란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연구서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음에도 음악으로밖에 기대지 못했던 현실의 한계를 깨고, 출판물을 통해 전통음악에 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그리고 활발히 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

○ 번역에 참여하는 김희선 교수는 한국의 전통음악, 그중에서도 ‘산조’를 본격적으로 공부한 음악박사이다. 이미 <작곡가를 위한 현대가야금기보법>을 우리말로 번역하였고, 가야금 음악사를 다룬 를 저술하는 등 한국음악장르의 다양한 책들을 저술하고 번역한 학자이다. 김희선 교수는 이 책의 원 취지를 잘 살리면서도 우리나라 독자에게 가장 접근하기 쉬운 말로 번역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배경 지식의 차이가 있다는 외국서와 국내서의 간극은 필요할 때 번역자의 주석을 다는 것으로 좁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앤드류 킬릭(지은이)

영국 쉐필드대학교 음악인류학과 교수. 학술지 〈에스노뮤지콜로지 포럼(Ethnomusicology Forum)〉의 공동 편집인이며, 갈란드 세계음악 백과사전의 동아시아 편의 공동편집인이자 주요 기고자이다. 앤드류 킬릭의 한국음악 연구는 〈에스노뮤지콜로지(Ethnomusicology)〉, 〈아시안 뮤직(Asian Music)〉, 〈코리안 스터디즈(Korean Studies)〉 등의 학술지에 실렸으며, 황병기의 최근 음반에서 작곡가의 요청에 따라 해설을 집필하기도 하였다.

황병기(옮긴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국립국악원에서 가야금을 배웠다. 정악과 속악을 모두 공부했으며 KBS 주최 전국 국악 콩쿠르에서 1등을 하면서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서양음악과의 교류 및 다양한 창조 작업을 바탕으로 국악의 영역을 확대한 거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교수, 문화재전문위원,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광복60주년기념 문화사업 추진위원회 위원장, 연세대학교 특별초빙교수 등을 역임했고, 유니세프 문화예술인클럽 회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으로 활동했다. 1986년에는 뉴욕 카네기홀에서 가야금 독주회를 열기도 했으며, 2001년 예술평론가 협회상, 2001년 제15회 예총 예술문화상 음악부문 대상, 2004년 호암상, 2006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2008년 일맥문화대상, 2010년 후쿠오카 아시아 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2003년에는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악보집으로는 황병기 가야금곡집인 『침향무』, 『비단길』, 『영목』, 『전설·산운』, 『밤의 소리』,『춘설·달하 노피곰』, 『시계탑·하마단』이 있고, 음반(CD)으로는 황병기 가야금곡집인 제1집 '침향무', 제2집 '비단길', 제3집 '미궁', 제4집 '춘설', 제5집 '달하 노피곰', '황병기 초기 연주곡집'이 있다. 또한 저서로는 『깊은 밤, 그 가야금 소리』(1994), 『황병기와의 대화』(2001), 『가야금 선율에 흐르는 자유와 창조』(2008), 『오동 천년, 탄금 60년』(2009) 등이 있다. 2018년 1월 31일 향년 82세로 사망했다.

김희선(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국악을 공부한 후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음악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싱가포르 대학교 아시아연구소에서 문화연구 분과 연구원으로 재직한 후 귀국하였다. 국악의 현대화와 제도화 과정, 젠더, 국가주의등의 관심으로 시작하여 동시대 간-아시아 음악, 월드뮤직, 글로벌 음악이동으로 관심이 점차 확장되었고 현재는문화냉전이 전세계 음악제도화와 맺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음악과 아시아 음악을 재고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으로 재직하며 국악학의 사회적 소통을 위해 노력했고 현재는 국민대학교 교수이자ICTM MEA 회장 등을 맡아 강의와 국내외 학계와 현장을 오가는 활동을 하고 있으나 공부하는 학자로 남기위해고 군분투 중이다. 저서로 《Contemporary Kayagum Music in Korea: Tradition, Modernity and Identity》가 있고, 《월즈 오브 뮤직(Worlds of Music)》등 저명한 해외 학술지에 한국 전통음악 관련 논문을 다수 게재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 12
감사의 글 = 15
옮긴이의 글 = 17
들어가며 _ 왜 황병기인가 = 22
1장 전통음악 연주자로서의 황병기 _ 가야금 산조 
  황병기의 악기, 가야금 = 49
  가야금 산조 = 57
  산조 연주자, 황병기 = 74
  황병기의 가야금 산조 = 83
  맺으며 = 102
2장 자신의 소리를 찾아서 _ 황병기의 1960년대 작품들 
  작곡가로의 전환 = 110
  황병기의 첫 작품,〈국화 옆에서〉 = 118
  최초의 현대 가야금 창작곡,〈숲〉 = 137
  〈숲〉이후, 1960년대 황병기의 무반주 가야금 음악 = 172
  맺으며 = 184
3장 불교, 도교, 그리고 명상적 미학 _ 황병기 음악의 특징 
  먼 과거로의 회귀,〈가라도〉 = 194
  교수와 전문 음악가 = 203
  불교 문화의 초상,〈침향무〉 = 208
  명상적 미학과 도교적 주제들 = 228
  맺으며 = 235
4장 지평의 확장 _ 황병기 작품에 드러난 소리의 다양성과 접근의 일관성 
  서아시아적 영감,〈비단길〉과〈하마단〉 = 244
  아방가르드 탐색,〈미궁〉과〈자시〉 = 263
  서양 조성주의를 적용한 이국적 작품,〈영목〉과〈시계탑〉 = 277
  맺으며 = 294
5장 북한 방문 전과 후 _ 1980년대 이후 황병기 음악의 새 흐름 
  성공과 안정의 시기, 1980∼90년대의 황병기 이력 = 302
  1980년대의 황병기 음악 = 305
  1990년의 남북 음악교류 = 320
  개량악기와 17현 가야금 = 333 
  맺으며 = 345
나가며 _ 21세기의 황병기 = 347
부록 
  부록 A: 황병기 작품목록 = 358
  부록 B: 부호 설명 = 361
참고문헌 
  외국어 저작물 = 365
  한국어 저작물 = 381
음반목록 = 386
색인 = 38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