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아시게나, 우리가 선 이 땅이 낙원이라네

아시게나, 우리가 선 이 땅이 낙원이라네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경훈 朴慶壎, 1940- 황혜당 黃慧幢, 1939-, 편 박우령, 저 황승우, 편
서명 / 저자사항
아시게나, 우리가 선 이 땅이 낙원이라네 / 박경훈 선시 ; 황혜당 풀이
발행사항
서울 :   역사비평사,   2001  
형태사항
2책(271 ; 271 p.) ; 22 cm
ISBN
8976962559 (v.1) 8976962567 (v.2) 8976962540 (전2권)
일반주기
경훈스님의 속명은 박우령, 혜당스님의 속명은 황승우임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47974
005 20151104111213
007 ta
008 151027s2001 ulk 000cp kor
020 ▼a 8976962559 (v.1) ▼g 03810
020 ▼a 8976962567 (v.2) ▼g 03810
020 ▼a 8976962540 (전2권)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95.715 ▼2 23
085 ▼a 897.17 ▼2 DDCK
090 ▼a 897.17 ▼b 박경훈 아
100 1 ▼a 박경훈 ▼g 朴慶壎, ▼d 1940-
245 1 0 ▼a 아시게나, 우리가 선 이 땅이 낙원이라네 / ▼d 박경훈 선시 ; ▼e 황혜당 풀이
260 ▼a 서울 : ▼b 역사비평사, ▼c 2001
300 ▼a 2책(271 ; 271 p.) ; ▼c 22 cm
500 ▼a 경훈스님의 속명은 박우령, 혜당스님의 속명은 황승우임
700 1 ▼a 황혜당 ▼g 黃慧幢, ▼d 1939-, ▼e
700 1 ▼a 박우령, ▼e
700 1 ▼a 황승우,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박경훈 아 1 등록번호 5110273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박경훈 아 1 등록번호 5110273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17 박경훈 아 2 등록번호 5110273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경훈 스님이 출가 후 써왔던 선시 500여 편 중에서 216수를 추려 엮은 것이다. 총 2권으로 구성, 각 권마다 108수씩 주해를 달았다. 주해는 담양에서 포교활동을 하시는 혜당 스님이 맡았다. 혜당 스님은 황지우 시인의 형으로 5.18 민주 항쟁에 충격을 받아 출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님은 우연한 기회에 경훈 스님을 선시를 대하고 불교 교리를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되고 싶어 선시 주해를 달게 되었다고 한다.)

추천사를 쓴 고은 시인은 "여기저기 넘겨가며 읽어가노라니 어느덧 내 심신에 시원하기도 하고 따스하기도 한 바람이 감돌아드는 것이었다. 한 노랫가락에 이르러서는 그만 나도 모르게 탄성이 나와버렸다. 정녕 남녘바다에는 옛 사공이 그물을 획 뿌려대고 그 바닷가 암자에는 경훈 선사가 내내 앉았다가 문득 일어서서 동백꽃 낙화 곁에 계시는 도다"고 소감을 말했다.

선시는 일반 문학 범주에 속하면서도 그 난해함이나 불교적 가르침 때문에 일반인들이 읽기에 어려운 점이 많았다. 다행스럽게도 이 책은 선시의 핵심적인 주제 및 불교적 맥락을 해설해 놓아 일반인들도 부담없이 볼 수 있다.

현재 역사비평사에서는 이 책의 영역판을 준비중이라고 한다. 해외에 있는 불자들에게도 이 선시를 소개하기 위해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황승우(지은이)

속명 황승우. 1939년 전남 해남에서 출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과를 졸업했다.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 종교학과 교환교수, 미국 웨이스체스터대학 철학과 초청교수를 지냈다. 강진 백련사, 장흥 금산사, 지리산 문수암, 백장암, 안성 칠장사, 선암사에서 수행했으며 담양 금타선원을 창건한 바 있다. 지은책으로 <스님 어떻게 영어를 그렇게 잘 하십니까>, <룰루랄라 영어발음>이 있다.

박경훈(지은이)

1940년 전남 해남 출생, 속명 박우령. 경남대학교 문학부 종교학과 및 미국 LA 황제한의대를 졸업하고 LA 퍼시픽대학 대학원 보건학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광주 불교대학 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범어사, 통도사, 합천 해인사 등지에서 참선 수도하였고, 부산 장안사, 광주 증심사, 대구 보현사 주지를 지냈다. 대구 동화사 총무국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전남 무안 약사사 조실, 월간 「문학 21」회장, 목포 교도소 자문위원, 무안 사암연합회 회장으로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권호명 : 1


〈밝은 지혜〉
  어얼씨구 = 12
  쾌봉삼십 = 15
  일심체 = 18
  백지일서 = 20
  오뚝이 = 22
  지혜로우소서 = 25
  내실밀어 = 28
  시법이 시법 = 30
  한정된 충족 = 32
  명월법어 = 35
  좁은 소견 = 38
  보시오 = 40
  아는가, 그대여 사랑을 = 42
  나의 암송철학 = 46
  산정설화 = 48
  박이차돈 법어 = 51
  기묘년 정초법어 = 54
  동시성불 = 57
〈하나의 길〉
  하나의 길 = 62
  무념상 = 64
  행복한 발원 = 66
  돌아서 다시 돌아서 = 68
  원하는 마음 = 70
  누가 오실까 = 72
  최상미소 = 74
  후회 없는 길 = 76
  어데 있소 그대여 = 78
  이달빛 아래서 = 80
  달래는 마음 = 82
  미친키스 = 84
  님 앞에 침묵 = 86
  격외일로 = 90
  그리워 그리워서 = 92
  텅빈 마음으로 오시옵소서 = 95
  알겠어요 = 98
  님맞이 = 100
〈연화애정〉
  난초마음 = 104
  지음국화 = 106
  초가을 시 = 108
  가을농부 = 110
  가을비 = 112
  백설미담 = 114
  갓버섯 = 116
  풋사랑 동백 = 118
  청평강 노을 = 120
  산에 핀 모란에게 = 122
  연화애정 = 124
  들어라 뻐꾸기야 = 126
  김해 무척산 기행 = 129
  목련화야 = 132
  백련 = 134
  단풍놀이 = 137
  코스모스 길 따라 = 140
  첫눈 = 142
〈바친 시간〉
  여름무상 = 146
  사루비아에게 = 148
  하루 삼매 = 152
  바친 시간 = 154
  내 집 풍속 = 156
  최윤 시주바랑 = 158
  봄날 허전 = 160
  나그네 시계 = 162
  장엄세계 = 164
  모두가 가는 것 = 166
  제일악장 = 168
  애정으로 얽힌 영혼에게 = 172
  성불암 탐방헌시 = 174
  산너머 정든 집 = 176
  실담밀어 = 178
  정견진설 = 180
  명일천하야 = 182
  돌 = 184
〈수행의 길〉
  먼 고향 항구 연구포여 = 188
  이 울음 아시나요 = 190
  합장하는 이별가 = 192
  국화 앞에서 = 194
  지장보살 발원 = 196
  나그네 숙원 = 198
  불효자식 = 200
  청평강에서 = 202
  산사여담 = 204
  풋이별 = 206
  이렇게만 살고 = 208
  팔월고향 = 210
  13세 동남아 = 214
  못내 그리워 = 216
  인생무상 = 218
  보살의 행적 = 220
  늦은 공부 = 224
  회갑날 = 226
〈속말〉
  속말 = 230
  도중에서 = 232
  정야성 = 234
  님의 속말 = 236
  영생낙원 = 238
  심심전심 = 241
  나의 희망 = 244
  밀어일장 = 247
  묵좌수심 = 250
  목우 한철 = 252
  천재밀어 = 254
  꿈속의 사랑 = 256
  님의 명령 = 259
  독수공존 = 262
  잊지못해 = 264
  한가한 세월 = 266
  설레는 추억 = 268
  하나의 씨알 = 270


권호명 : 2


〈다시 태어난 나〉
  헌공 = 12
  백설 = 14
  명령 = 16
  다시 태어난 나 = 18
  원효의 설법 = 21
  삼매송 = 26
  최상인이 되어 = 28
  설레는 저들에게 = 30
  잘가라 속이 빈 편지야 = 32
  법계여 = 34
  누가 아시는지요 = 36
  하늘인가 내 마음이여 = 38
  폭소 = 40
  낙원의 한 길 = 42
  지의고 = 44
  번뇌여 안녕 = 46
  님노래 = 48
  한 생각 하시오면 = 50
〈나의 가치〉
  기약 없는이별 = 54
  삼처전심 = 56
  님 없는 초연 = 59
  알고 따라가는 삶 = 62
  문도 = 66
  나의 가치 = 68
  피안길에서 = 71
  무지한 총칼 앞에서 = 74
  나의 수학 = 76
  정각심 = 78
  외길 가는 사람 = 80
  날이 가더라도 = 82
  불변심애 = 84
  안부 일장 = 86
  인자송 = 88
  지기심 = 90
  그대라면 = 92
  태평선서 = 94
〈청죽좌선〉
  유달산 하루 = 98
  밝은 원이여 = 100
  나그네 부두송 = 102
  고고송 = 104
  천리타향 = 107
  길은 사방으로 = 110
  총죽좌선 = 112
  돌친우 = 115
  달밤 = 118
  산이 좋아요 = 120
  산 = 122
  물새 한 쌍 = 126
  백일홍 = 138
  절벽 스승 = 130
  소풍 = 132
  봄을 사는 동심 = 134
  삼화초 = 137
  금잔디 = 140
〈수심결어〉
  수심결어 = 144
  한과 이별 = 146
  안부 일편 = 148
  장부의 노래 = 150
  보내는 사람아 = 152
  미안한 삶 = 154
  역정 = 156
  누가 알아주나 = 158
  외로운 경지 = 160
  무명초 = 162
  그대로 걸어라 = 164
  떠나는 장부마음 = 166
  혼자서 = 168
  기억이여 추억이여 = 170
  영원한 기다림 = 173
  이별가 = 176
  비석 = 178
  0시 약속 = 180
〈지음인에게〉
  다정한 지음인은 어데 = 186
  무자격 이방인 = 188
  초연 = 190
  천하인심 = 192
  한잔다심 = 194
  대답하세요 = 196
  님 앞에서 = 198
  알고 가십시오 = 200
  기다리지 마세요 = 202
  선 = 204
  낙엽 따라 = 208
  가을사랑 = 210
  무변삼매인 = 212
  바보 타령 = 214
  님이라면 = 216
  풋내기들 = 218
  길을 잃은 친구에게 = 221
  밤노래 = 224
〈영주불멸〉
  참회 = 228
  오선운 보사님 영전에 = 230
  영주불멸 = 233
  법맥 = 236
  정명월 = 238
  혜강 = 240
  대한의 아들 = 242
  어느 가을 산중일기 = 244
  명월한심 = 246
  먼 연인 = 250
  한 된 세상 = 252
  길을 택하는 자신 = 254
  월야공담 = 256
  몰라주는 은혜 = 260
  한나절 설교 = 262
  지물애 = 264
  보라 = 266
  기원 = 26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