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 : 참여와 소통으로 만드는 행복한 수업 멘토링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성대, 저 김정옥, 저 이주원, 저 이경원, 저 공일영, 저 이혁제, 저 곽재은, 저 김지훈, 저 정성아, 저
서명 / 저자사항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 : 참여와 소통으로 만드는 행복한 수업 멘토링 / 이성대 [외]8일 글
발행사항
남양주 :   행복한미래,   2015  
형태사항
336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행복한 교과서 ;No.13
ISBN
9791186463000
일반주기
공글쓴이: 김정옥, 이주원, 이경원, 공일영, 이혁제, 곽재은, 김지훈, 정성아  
기획: 교육연구소, 홍종남  
부록: 프로젝트 수업, 평가의 루브릭 예시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47396
005 20151026102537
007 ta
008 151023s2015 ggka 000c kor
020 ▼a 9791186463000 ▼g 03370
035 ▼a (KERIS)BIB000013755558
040 ▼d 222001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36 ▼2 23
085 ▼a 371.36 ▼2 DDCK
090 ▼a 371.36 ▼b 2015z1
245 0 0 ▼a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 : ▼b 참여와 소통으로 만드는 행복한 수업 멘토링 / ▼d 이성대 [외]8일 글
260 ▼a 남양주 : ▼b 행복한미래, ▼c 2015
300 ▼a 336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행복한 교과서 ; ▼v No.13
500 ▼a 공글쓴이: 김정옥, 이주원, 이경원, 공일영, 이혁제, 곽재은, 김지훈, 정성아
500 ▼a 기획: 교육연구소, 홍종남
500 ▼a 부록: 프로젝트 수업, 평가의 루브릭 예시
700 1 ▼a 이성대, ▼e▼0 AUTH(211009)34512
700 1 ▼a 김정옥, ▼e
700 1 ▼a 이주원, ▼e
700 1 ▼a 이경원, ▼e
700 1 ▼a 공일영, ▼e▼0 AUTH(211009)46864
700 1 ▼a 이혁제, ▼e
700 1 ▼a 곽재은, ▼e
700 1 ▼a 김지훈, ▼e
700 1 ▼a 정성아,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6 2015z1 등록번호 11174349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행복한 교과서 시리즈 13권. 프로젝트 수업에 관심이 있는 교사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 전문가들의 비법을 공개한다. 입시와 동떨어진 수업이 과연 프로젝트 수업일까? 이 책에는 이러한 의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과 실천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사례뿐만이 아니라 중학교 수학, 고등학교 과학과 역사교과의 예시가 나와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고등학교 역사와 과학이 합쳐진 프로젝트 수업, 고등학교 역사와 영어가 합쳐진 수업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프로젝트 수업의 사례를 제시하는데서 끝나지 않는다.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배우게 된 폭넓은 경험과 지식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평가 문제로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케이스 스토리'로 알려주고 있다.

:: 대한민국 최고의 프로젝트 수업을 공개합니다! ::
교사들이 현장에서 프로젝트 수업의 중요성을 알고,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에게 힘들고, 어려운 수업이다. 교사의 열정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한다고 해도, 교과서 진도를 생각해야 하는 현실과 마주치는 일을 겪게 되면 ‘프로젝트 수업이 좋은 것은 알아도 실천하기는 힘든 수업 방식’이 되기 쉽다. 이렇게 중요한 프로젝트 수업이 왜, 현장에서는 쉽게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대부분의 프로젝트 수업은 초등학교에서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프로젝트 수업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잘 이뤄지지 않는 주된 이유는 ‘입시’ 때문이다. 입시와 동떨어진 수업이 과연 프로젝트 수업일까?이 책에는 이러한 의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과 실천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사례뿐만이 아니라 중학교 수학, 고등학교 과학과 역사교과의 예시가 나와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고등학교 역사와 과학이 합쳐진 프로젝트 수업, 고등학교 역사와 영어가 합쳐진 수업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프로젝트 수업의 사례를 제시하는데서 끝나지 않는다.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배우게 된 폭넓은 경험과 지식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평가 문제로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케이스 스토리>로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젝트 수업의 결과들이 고등학교 생활기록부에 기록되어 입시에서도 반영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프로젝트 수업과 교육과정>이 만났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수업에 관심이 있는 교사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 전문가들의 비법을 공개한다.

[출판사 서평]

:: 초중고 프로젝트 수업의 <케이스 스토리>를 공개하다 ::
오랫동안 각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과 치열하게 살아가던 교사들이 모여 프로젝트 수업을 연구하고 고민한 이야기들이 녹아있는 글이다. 같은 교사들이라 하더라도 초등과 중등교사의 교류가 많지 않고, 같은 중등교사라 하더라도 다른 교과 교사와 함께 연구하는 일도 드문 일이다. 이 책의 저자인 교사들은 개인적으로도 각자의 특기를 가지고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던 교사들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환경의 교사들이 함께 모여 머리를 맞대고, 우리 아이들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함께 연구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융합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초중등의 다양한 사례들 속에 숨어있는 개성 있는 교사들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대한민국 최고의 프로젝트 수업이라 말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 외국의 사례가 아닌 한국형 프로젝트 수업을 제시하다 ::
지금까지 거론되어온 많은 프로젝트 수업의 사례들은 어찌 보면 외국의 문화 속에서 태어난 프로젝트 수업을 그대로 가져와 우리나라에 적용한 것들이 대부분이라 할 것이다. 그러다보니 외국과 우리의 교육 문화가 다름으로 인해 생기는 어려움이 현장에서 나타나는 것도 사실일 것이다. 이 책에선 그러한 현실을 뛰어넘고자 이성대 교수를 중심으로 초중고 교사들이 함께 모여 새로운 형태의 프로젝트 수업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상황에 맞는,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연계된 프로젝트 수업을 제시한다.

:: 입시와 프로젝트 수업이 만나다 ::
이 책의 저자들 중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들이 있다. 프로젝트 수업을 중고등학교에서 진행한다고 하면 ‘과연 가능할까?’라는 생각을 할 것이다. 혹자는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진행한 프로젝트 수업이었을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런 궁금증에 대해 저자들은 ‘아니다.’라고 말한다.이 책의 저자들이 진행한 프로젝트 수업은 철저하게 자신의 교과목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지필평가까지 연결하였다. 흔히 ‘프로젝트 수업은 좋지만, 그 자체로는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학습은 시험 성적일 것이다. 하지만 이 선생님들의 사례는 시험과 입시에서의 사례와 입시에 가장 잘 적용될 수 있는 수업이 <프로젝트 수업>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공일영(지은이)

호치민시 한국국제학교에서 일하는 교사입니다. ‘탁월하게 잘 가르치기보다는 공감하며 기다리는 교사가 되겠습니다’라는 교육관으로 아이들과 함께하는 수업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역사교육을 공부하고 있고, ‘프로젝트학습’의 실천가이자 전도사입니다. 2007년부터 역사 동아리 ‘역사토달기’ 지도교사를 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혁신학교 선생님을 비롯한 전국의 선생님들을 강의를 통해 만나 수업 방식의 개선을 이끌고 있습니다. 그 외에 경기도 프로젝트학습 교육연구회 사무국장, 스마트교육 중앙 선도교원 경기도 회장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 프로젝트 학습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교수학습 방법 개선, 셀프 브랜드 리더십에 대한 강의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엄마아빠 사용설명서』, 『단감 고등 한국사』,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공저) 등이 있습니다.

이성대(지은이)

<교육정책 전문가>입니다. 미국 뉴욕시립대학교 버룩컬리지에서 교육학 석사와 성균관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공학’을 전공한 공학박사 이면서, ‘교육학’을 전공한 교육정책 전문가가 되었습니다. 현재는 신안산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대학개혁운동을 비롯하여 오랜 기간 동안 교육운동에 참여하였습니다. ‘사립학교법 개정을 위한 교수 1,000km 대장정’을 기획하는 등 교육 분야의 정책통으로 활약했습니다. 대학구조개혁과 사립학교 문제에 대한 연구로 교육에 대한 관심과 전문성을 넓혔습니다. ‘혁신학교’를 처음으로 제안, 기획한 사람으로 혁신학교 정책을 기획하였고, 경기도에서 ‘배움중심수업’을 통해 수업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수업 혁신을 이끌었습니다. NTTP(새로운 교사연수 프로그램), 혁신교육지구 사업, 행정실무사 배치 등을 제안하고 총괄하였습니다. 혁신교육의 정착을 위해서 ‘교육과정’과 ‘수업’을 중심으로 학교가 운영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혁신교육지구사업과 화성시 창의지성교육도시사업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 투자 방향을 재정립하고, 지역사회와 학교의 협력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 올렸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지금까지 『혁신학교, 행복한 배움을 꿈꾸다』,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 『학교혁신의 이론과 실제』, 『우리대학 절망에서 희망으로』, 『경제학자 교육혁신을 말하다』,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으로 승부하라』, 『4차산업혁명, 문제해결력이 정답이다』 등을 집필하였습니다. | 도서 내용 및 강연 문의 | jungam@gmail.com

김정옥(지은이)

경기도 동안고등학교 교감. 동안고등학교에서 특목고보다 좋은 일반고 교육과정 만들기에 노력 중입니다.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과 장학사 시절에는 연구년 및 배움과실천공동체 등 NTTP를 기획하고 운영하였습니다. 역사 교사로서의 자부심이 높아 매학기 학생들과 ‘역사 수업을 하는 교감’입니다. 또한, 후배교사들과 함께 안양역사교과연구회, 창의인성프로젝트연구회 등의 모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주원(지은이)

경기도 분당고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교수 학습에 대한 공부를 하였습니다. 학생 중심 수업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2014년 교육부 ‘인성교육중심수업’ 우수사례에서 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3년 한국사검정 심의위원으로 활동하였고, 경기도교육청에서 교육과정지원단으로 활동하며, 학생중심수업과 관련하여 선생님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이경원(지은이)

이경원 선생님은 20여 년 동안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살아가고 있고, 주변에서는 &lt;아이들 세계로 들어간 교사&gt;로 통합니다. 이러한 선생님의 모습이 EBS &lt;다큐프라임&gt;의 ‘미래의 학교’ 편(2010년)과 ‘인터넷 폭력예방 프로젝트’ 편(2012년)에 방영되었습니다. 2015년 5월에는 EBS &lt;다큐 프라임&gt; ‘교육대동여지도, 교사고수전’ 편에도 출연하면서 전국에 계신 ‘수업 잘하는 선생님’을 만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 연속 학교의 아이들과 함께 독도를 탐사한 것이 계기가 되어 KBS1 라디오 &lt;교육을 말하다&gt;에 출연하였고, 교육부의 &lt;행복한 교육&gt;(2014년 3월호)에 선생님의 수업이 소개되기도 하였습니다. 통합수업에 대해서 많은 교사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기에, 교사들이 보는 잡지의 표지 모델(미래앤 출판사)로 선정되는 영광을 얻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활동의 중심에는 선생님만의 &lt;주제중심교육과정&gt;이 있습니다. 학교에서의 삶이 아이들의 삶과 함께하는 것을 바라며 개발한 교육과정이 주제중심교육과정입니다. 2010년부터 전국의 많은 교육청과 학교 등에서 선생님들을 만나 주제중심교육과정과 관련된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선생님이 강의에서 다하지 못한 이야기를 『교육과정 콘서트』(2014)에 담아 '교육과정 붐'을 일으켰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말하다』와 『수업을 살리는 교육과정』이라는 책을 공동집필하였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에 맞춘 『체육교과서』(비상출판)의 안전 단원을 집필하였습니다. 지금도 ‘배움’이란 무엇인지 찾아보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고,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 방방곡곡의 선생님들이 이경원 선생님의 교실을 찾아오고 있습니다. 『학급의 탄생』은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살아가는 것에 필요한 철학을 담은 책으로 &lt;이경원의 탄생 시리즈&gt; 1탄 『교사의 탄생』과 이어지는 책입니다. 앞으로 『수업의 탄생』이 출간되면 &lt;이경원의 탄생 시리즈&gt;가 완성됩 니다. 한국교원연수원www.hstudy.co.kr에 &lt;교육을 말하다. 교육과정 콘서트&gt;라는 온라인 연수가 개설되어 있습니다. | 도서 내용 및 강연 문의 | edu34@kakao.com

이혁제(지은이)

경기도 대경중학교 교사. 2013~2014년 프로젝트수업연구회, 프로젝트수업창의·인성연구회 및 경기도중등수학과교육연구회 연구위원 활동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업 강의와 교실에서 학생들의 삶과 맞닿아 있는 수학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중학교 수학 교과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글을 집필하였습니다.

곽재은(지은이)

경기도 동안고등학교 교사. ‘선생님이 즐거워야 학생들에게 즐거운 수업을 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수업의 유쾌함에 무게중심을 두고 귀 기울이고 있습니다. 2012년~2014년까지 창의지성 프로젝트수업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하였습니다. 또한, 경기도 전국연합학력평가 위원과 경기도 중등지구과학과교육연구회 연구위원 활동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얻은 배움을 수업에 적용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얻은 생생한 스토리를 전파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지구과학과 역사를 융합하는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글을 집필하였습니다.

김지훈(지은이)

경기도 용인둔전초등학교 교사. 16년 동안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으며, 프로젝트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과 함께 성장하기를 기대하는 교사입니다. 이 책에서는 진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글을 집필하였습니다. 그 외에 경기도화성시창의지성센터에서 프로젝트 수업과 관련된 연구에 참여하였습니다.

정성아(지은이)

경기도 동안고등학교 교사고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해보고, 이를 다른 선생님들과 공유하고 발전시키는데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경기도중등수업실기연구대회에서 1등급을 받았습니다. 경기도의 여러 학교 및 영어 교사 연수에서 영어과 수업과 평가 방법 개선에 대한 수업컨설팅을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역사와 영어를 융합하는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글을 집필하였습니다.

교육연구소 배움(기획)

‘행복한 배움을 꿈꾸는 사람들의 소통 공간’입니다. 혁신 교육의 정착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교사, 학부모, 연구자들을 연결하는 다양한 정책과 현장의 실천사례를 공유, 확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좋은 수업을 실천하는 한 가지 방법, "프로젝트 수업" = 4 
1부 프로젝트 수업, 우리의 교실을 바꾼다 
  1 프로젝트 수업은 ''훌륭한 선생님''만 한다 = 16
  2 프로젝트 수업, 그것이 알고 싶다 = 19
  3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진실과 거짓 = 32
  4 프로젝트 수업은 선생님의 기획력으로 완성된다 = 36
  5 프로젝트 수업 기획에 필요한 네 가지 핵심 전략 = 42
    [제 1전략] 유형 : 세 가지 스타일에 주목하라 = 42
    [제 2전략] 기획 : 기획의 절차에 집중하라 = 47
    [제 3전략] 표현 : 우리의 수업을 세상과 만나게 하라 = 55
    [제 4전략] 평가 : 최고의 프로젝트 수업을 완성한다 = 60
2부 초등학교 프로젝트 수업 : 교과서를 넘어 전체를 바라보는 수업(P유형) 
  1장.〈우리〉프로젝트 수업 : 초등 6학년 교실에서 만나는 프로젝트 수업 = 72 
    1 교사, 새로운 과목을 창조하다 = 78
    2 프로젝트 수업은 친절한 안내자가 필요하다 = 86
    3〈우리〉프로젝트 수업을 소개합니다 = 91
    4 케이스 스토리 01 :〈새출발 새마음〉프로젝트 수업 = 92
    5 케이스 스토리 02 :〈건강한 6학년은?〉프로젝트 수업 = 95
    6 케이스 스토리 03 :〈스마트 교육〉프로젝트 수업 = 97
    7 케이스 스토리 04 :〈우리 모두의 무대〉프로젝트 수업 = 100
    8 케이스 스토리 05 :〈연설하라! 실천하라!〉프로젝트 수업 = 103
    9 케이스 스토리 06 :〈차이와 차별〉프로젝트 수업 = 106
    10〈우리〉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 110 
  2장.〈나를 만나는 여행〉프로젝트 수업 : 학생들의 미래를 생각하는 진로교육(O유형) = 117 
    1 초등 진로교육의 시작, 초등 3학년 진로 프로젝트 = 118
    2 케이스 스토리 07 :〈나를 만나는 여행〉프로젝트 수업을 소개합니다 = 125
    3〈나를 만나는 여행〉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 135
3부 중학교 프로젝트 수업 : 수학, 프로젝트 수업을 만나다(O유형) 
  1 수학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은 어떤 의미일까? = 144
  2〈세상에 존재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프로젝트 수업 = 148
  3 케이스 스토리 08 :〈세상에 존재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프로젝트 수업을 소개합니다 = 157
  4〈세상에 존재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 167 
4부 고등학교 프로젝트 수업 : 학교 시험과 입시,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수업(T유형) 
  1장. 역사교과 프로젝트 1 : 배움이란 무엇인가 = 178 
    1 케이스 스토리 09 :〈교과 탐구〉Theme 프로젝트 수업 = 182
    2 케이스 스토리 10 :〈사회적 책임〉Theme 프로젝트 수업 = 193
    [Special Page] 역사교과 프로젝트 수업, 살아 있는 역사수업을 만나다 = 206
  2장. 역사교과 프로젝트 2 :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O유형) = 211
    1〈진실〉프로젝트 = 212
    2〈진실〉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 219
    [Special Page]구술채록은 어떻게 할까? = 220
    3 케이스 스토리 11 :〈원균과 이순신〉프로젝트 수업 = 222
    4 케이스 스토리 12 :〈구술로 배우는 역사〉프로젝트 수업 = 234 
    [Special Page] 역사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 242 
  3장.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프로젝트 : 과학시간에 프로젝트 수업을 만나다 = 245 
    1 케이스 스토리 13 :〈아름다운 한반도〉프로젝트 수업 = 248 
    2 케이스 스토리 14 :〈부글부글 화산과 지진〉프로젝트 수업 = 259 
    [Special Page] 지구과학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 273 
5부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 프로젝트 수업의 미래를 보다(O유형) 
  1장. 고등학교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1 : 역사와 과학이 만나다 = 278 
    1 역사+지구과학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이란 무엇인가? = 279
    2 케이스 스토리 15 :〈애민정책〉프로젝트 수업 = 281
    3〈애민정책〉프로젝트 수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 = 285
    4〈애민정책〉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 291
  2장. 고등학교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 2 : 역사와 영어가 만나다 = 295
    1 역사+영어 교과융합 프로젝트 수업이란 무엇인가? = 296
    2 케이스 스토리 16 :〈여성의 삶〉프로젝트 수업 = 304
    3〈여성의 삶〉프로젝트 수업 표현과 평가는 어떻게 할까? = 318
에필로그|더 즐겁고, 덜 미안한 수업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 = 323 
특별부록 1 프로젝트 수업, 평가의 루브릭 예시 = 325 
특별부록 2 교과별 교육과정 흐름도 = 33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