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 미술교육의 개념 및 목적
1. 미술교육의 개념
1) 미술의 개념
2) 미술교육의 개념
2. 미술교육의 목적
1) 미술교육의 목적
2) 미술과 교육의 목적
chapter2 미술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
1. 인지 발달
2. 균형 있는 뇌 발달
3. 정서 발달
4. 시공간 지각 발달
5. 창의성 발달
6. 긍정적인 자아개념 발달
7. 사회성 향상
chapter3 미술의 구조와 미적 체험
1. 미술의 구조
1) 미술의 영역
2) 미술의 양식
3) 주제와 소재
4) 표현의 유형
5) 재료와 기법
2. 조형요소
1) 빛과 명암
2) 점
3) 선
4) 면
5) 형, 형태
6) 색
7) 공간
8) 운동
9) 질감
10) 매스와 양감
3. 조형원리
1) 균형
2) 통일
3) 비례
4) 율동
5) 조화
6) 강조
4. 미적 체험의 이해
1) 미적 체험의 개념 및 의미
2) 미적 체험과 미술교육
3) 미적 체험과 교육적 가치
4) 미적 체험과 미술교육과정
chapter4 아동미술에 대한 이해 및 관점
1. 아동미술을 보는 관점
1) 인지발달이론
2) 개성표현이론
3) 지각발달이론
4) 발생반복이론
2. 심리학적 구분
1) 발달심리학적 관점
2) 지능론적 관점
3) 형태심리학적 관점
4) 정신분석학적 관점
chapter5 아동미술의 발달단계 및 과정
1. 평면표현의 발달단계
1) 로웬펠드의 평면표현의 발달단계
2) 버트의 평면표현의 발달단계
3) 켈로그의 평면표현의 발달단계
4) 허위츠와 데이의 평면표현의 발달단계
2. 평면표현의 발달과정
1) 유희적 난화기
2) 탐색적 상징기
3) 분화적 상징기
4) 형태적 사실기
5) 공간적 사실기
3. 평면표현의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
1) 자아중심적 표현
2) 물활론에 입각한 표현
3) 미분화의 표현
4) 직관적 사고에 의한 표현
5) 상징과 도식에 의한 정형화된 표현
6) 공간표현에 따른 특성
7) 또래집단기의 그림표현
8) 의사실기의 그림표현
4.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1) 로웬펠드의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2) 골롬의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3) 브리테인의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4) 이길종의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5) 염태진의 입체표현의 발달단계
5. 입체표현의 발달과정
1) 탐색적 유희기
2) 평면적 상징기
3) 입체적 탐색기
4) 입체적 사실기
5) 공간적 사실기
chapter6 미술교육학자들의 이론 탐색
1. 쉴러의 미적 교육론
2. 치첵의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3. 허버트 리드의 미술교육
4. 로웬펠드의 미술교육
5. 아른하임의 미술교육
6. 아이스너의 미술교육
7. 맥피의 미술교육
8. 에플랜드의 미술교육
chapter7 미술교육의 역사적 흐름
1. 한국 미술교육의 흐름과 미술교육과정
1) 갑오개혁 이전의 미술
2) 근대 미술교육의 변천사
2. 우리 나라의 미술과 교육과정
3. 미술교육의 역사적 흐름
1) 표현기능 중심 미술교육
2)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3) 이해 중심 미술교육
4) 구성주의 미술교육
5) 시각문화 미술교육
chapter8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1.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2. 미술치료
3. 미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미술치료
1) 학교 미술교육에서의 미술치료의 역할
2) 미술교육에서의 미술치료를 활용한 교수-학습의 내용 및 방법적 측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