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7051 | |
005 | 20151020163217 | |
007 | ta | |
008 | 151020s2015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77784499 ▼g 933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41.2 ▼2 23 |
085 | ▼a 341.2 ▼2 DDCK | |
090 | ▼a 341.2 ▼b 2013z1 ▼c 10 | |
100 | 1 | ▼a 박흥순 ▼0 AUTH(211009)95921 |
245 | 1 0 | ▼a 국제기구와 한국외교 : ▼b 이론과 실제 / ▼d 박흥순, ▼e 정우탁, ▼e 이신화 공저 |
246 | 1 1 | ▼a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Korean diplomacy : ▼b theory and practices |
260 | ▼a 서울 : ▼b APCEIU : ▼b 오름, ▼c 2015 | |
300 | ▼a 229 p. : ▼b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 총서 ; ▼v 10 |
500 | ▼a 기획: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 |
500 | ▼a 부록: 1. 유엔기구 조직도, 2. 외교부 조직도, 3. 전 세계 국제기구 주요 소재지 외 | |
504 | ▼a 참고문헌(p. 183-189)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2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2S1A5B4A01035996) | |
700 | 1 | ▼a 정우탁, ▼e 저 ▼0 AUTH(211009)79152 |
700 | 1 | ▼a 이신화, ▼e 저 ▼0 AUTH(211009)141864 |
900 | 1 0 | ▼a Park, Hueng-soon, ▼e 저 |
900 | 1 0 | ▼a Chung, U-tak, ▼e 저 |
900 | 1 0 | ▼a Lee, Shin-wha,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1.2 2013z1 10 | 등록번호 1117417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1.2 2013z1 10 | 등록번호 1117580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 총서 10권. 다자외교의 발전과 국제기구의 창설과 진화의 의미를 되새겨본다. 유엔의 집단안보를 비롯하여 제재, PKO, 평화조성, 평화구축 등은 국제사회의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 혹은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나아가서 유엔 등 국제기구는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중견국 혹은 선진중견국으로서 활동하고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수단이며 통로이다.
다자외교의 발전과 국제기구의 창설과 진화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은 한국이 유엔과 특별한 인연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현재 유엔의 중추국가로서 유엔외교를 비롯한 국제기구외교를 강화하고 있고,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진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즉, 한국이 건국을 비롯하여 한국전쟁 그리고 그 이후 국가재건과정과 경제발전은 물론이고, 현재에도 정전협정이나 북한 핵 및 인권 문제 등이 한국과 한반도의 평화안보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국제기구의 역할 문제가 중요하다. 더구나, 향후 남북화해나 통일 등에서도 유엔 등의 기여, 역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도 더욱 그러하다. 특히 유엔의 집단안보를 비롯하여 제재, PKO, 평화조성, 평화구축 등은 국제사회의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 혹은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가 될 수 있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큰 것이 사실이다. 나아가서 유엔 등 국제기구는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중견국 혹은 선진중견국으로서 활동하고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수단이며 통로이다.
…
한국이 세계최빈국에서 경제선진국으로 발전한 역사적 경험과 성과는 한국이 유엔회원국들의 귀감이 될 뿐만 아니라, 국가적 자부심과 정통성을 갖게 하는 바탕이 된다.
-머리말 중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신화(지은이)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유엔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 자문위원.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메릴랜드대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 국제관계연구원CFIA 포스트닥 이후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 아프리카지역관, 유엔 르완다 독립조사위 특별자문관, 프린스턴대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불평등과 민주주의』가 있다.
정우탁(지은이)
현)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원장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 박사 연구분야: 국제기구, 국제개발협력, 국제이해교육
박흥순(지은이)
현) 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유엔한국협회 부회장 미국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국제정치학 박사 연구분야: 국제기구, 다자외교, 글로벌 거버넌스

목차
머리말 (박흥순) 제1장 한국과 국제기구: 역사적 고찰 (정우탁) Ⅰ. 한국과 국제기구 관계의 역사적 고찰 Ⅱ. 한국과 국제기구 관계: 평가와 과제 그리고 제언 제2장 한국과 국제기구외교: 다자외교 정책결정의 이해 (박흥순) Ⅰ. 서론 Ⅱ. 한국 다자외교의 발전과 국제기구외교 Ⅲ. 한국의 다자외교 정책결정체제 및 요인 Ⅳ. 한국 다자외교의 전개 및 결과 Ⅴ. 한국의 다자외교 발전의 특징과 과제 Ⅵ. 결론 제3장 한국, 국제기구 및 글로벌 거버넌스: 미래의 과제 (이신화) Ⅰ. 서론 Ⅱ. 한국의 국제기구 진출 및 국제기구 유치 Ⅲ.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 그리고 국제기구의 역할 Ⅳ. 결론 제4장 [특별세션] 한국의 유엔외교와 글로벌 거번너스: 국제사회와 외교현장의 시각 Ⅰ. 서론 Ⅱ. 아메리카 대륙의 지역체계와 미주기구의 발전 Ⅲ. 미주기구의 구조와 활동 Ⅳ. 미주기구의 과제와 미래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유엔기구 조직도 [부록 2] 외교부 조직도 [부록 3] 전 세계 국제기구 주요 소재지 [부록 4] 전 세계 및 아시아 주요 국가의 유엔 분담금 [부록 5] 유엔 PKO 파병 현황 [부록 6] ODA 공여 현황 색인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