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7045 | |
005 | 20151020160433 | |
007 | ta | |
008 | 151020s2015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77784352 ▼g 9334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41.2 ▼2 23 |
085 | ▼a 341.2 ▼2 DDCK | |
090 | ▼a 341.2 ▼b 2013z1 ▼c 4 | |
100 | 1 | ▼a 최동주 ▼0 AUTH(211009)133120 |
245 | 1 0 | ▼a 국제기구와 교육·문화·노동·스포츠 : ▼b UNESCO·ILO·IOC / ▼d 최동주, ▼e 정우탁, ▼e 조현주 공저 |
246 | 1 1 | ▼a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education, cultural, labor and sports issues : ▼b UNESCO·ILO·IOC |
260 | ▼a 서울 : ▼b APCEIU : ▼b 오름, ▼c 2015 | |
300 | ▼a 321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 총서 ; ▼v 4 |
500 | ▼a 기획: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 |
500 | ▼a 부록: 1. 국제노동기구 헌장, 2. 국제노동기구와 협력관계에 있는 비정부기구의 공식 목록, 3. 유네스코 헌장 외 | |
504 | ▼a 참고문헌(p. 195-199)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2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2S1A5B4A01035996) | |
700 | 1 | ▼a 정우탁, ▼e 저 ▼0 AUTH(211009)79152 |
700 | 1 | ▼a 조현주, ▼e 저 ▼0 AUTH(211009)18086 |
900 | 1 0 | ▼a Choi, Dong-ju, ▼e 저 |
900 | 1 0 | ▼a Chung, U-tak, ▼e 저 |
900 | 1 0 | ▼a Cho, Hyun-joo,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 Call Number 341.2 2013z1 4 | Accession No. 11174175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 총서 4권. 본 총서 제4권은 사회·문화·스포츠 분야의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세 개의 국제기구, 국제노동기구(ILO),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그리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1945년 유엔이 창설된 이래 전통적으로 군사 및 안보분야에 치중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국제기구는 지구촌 개념과 글로벌 거버넌스의 확산으로 인해 여러 다양한 비전통적인 분야로 그 활동범위를 확대한 바 있다. 이러한 비전통적 분야로의 영역 확대는 가장 대표적으로 경제 분야, 그리고 아동, 여성 등 취약계층에 대한 관심은 물론이고 사회·문화·스포츠 등의 전지구적인 이슈들로 확대되어왔다. 특히 지속가능한 인류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전 세계는 하나의 영향권 내에 속해 있고, 세계적 시각, 국제적 감각, 보편적 가치, 문화 간 이해, 지구적 문제에 대한 관심 등의 자질을 갖춘 세계시민 육성이 핵심적 사업으로 떠오르면서 이들 사회·문화·스포츠 분야 국제기구의 중요성은 더욱더 높아졌다.
…
뿐만 아니라 이들 사회·문화·스포츠 분야에서의 국제적 활동은 단순히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이해한다는 수동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문화와 한국사회의 세계화라는 측면에서, 보다 능동적으로 국제사회의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와 비판적 해석을 통해 인류 사회의 진화를 위한 자발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측면도 있다. … 따라서 본 총서 제4권은 사회·문화·스포츠 분야의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세 개의 국제기구, 국제노동기구(ILO),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그리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제1장 “국제기구와 글로벌 거버넌스: 노동, 교육과 문화, 스포츠” 중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최동주 = 5 제1장 국제기구와 글로벌 거버넌스: 노동, 교육과 문화, 스포츠 / 최동주 = 11 제2장 국제노동기구 / 최동주 = 23 Ⅰ. 서론 = 25 Ⅱ. 설립의 역사적 배경과 기본 원칙 = 27 Ⅲ. 기구의 운영과 의사결정 메커니즘 = 35 Ⅳ. 기구의 주요 역할과 기능 = 48 Ⅴ. 기구의 성과와 도전 요인 극복을 위한 노력 = 60 Ⅵ. 한국과 ILO = 78 Ⅶ. 결론 = 85 제3장 유네스코 / 정우탁 = 91 Ⅰ. 머리말 = 93 Ⅱ. 유네스코: 역사적 개관 = 95 Ⅲ. 유네스코의 조직ㆍ구조와 기능 = 103 Ⅳ. 유네스코의 주요 사업과 재정 = 113 Ⅴ. 유네스코의 주요 쟁점 = 135 Ⅵ. 21세기 유네스코의 방향 = 138 Ⅶ. 한국과 유네스코: 한국의 전략 = 144 제4장 국제올림픽위원회 / 조현주 = 155 Ⅰ. 머리말 = 157 Ⅱ. IOC 성립의 배경 및 발전과정 = 159 Ⅲ. IOC의 글로벌 거버넌스 = 166 Ⅳ. IOC의 주요 네트워크 = 172 Ⅴ. IOC의 재정과 활동영역 = 176 Ⅵ. 한국과 IOC = 188 참고문헌 = 193 부록 [부록 1] 국제노동기구 헌장 = 203 [부록 2] 국제노동기구와 협력관계에 있는 비정부기구의 공식 목록 = 246 [부록 3] 유네스코 헌장 = 257 [부록 4]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유네스코법) = 282 [부록 5] 기타 올림픽 관련 자료 = 295 [부록 6] 조직도 = 304 색인 = 309 필자 소개(원고 게재순)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