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제17회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제17회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서명 / 저자사항
제17회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편]
발행사항
[서울]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5  
형태사항
353 p. : 삽화, 악보 ; 27 cm
기타표제
판권기표제: 제17회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논문집
일반주기
일시 및 장소: 2015년 9월 24일(목),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소극장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46270
005 20161014103734
007 ta
008 151006s2015 ulkag b AW 1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00.711 ▼a 700.9519 ▼2 23
085 ▼a 700.711 ▼2 DDCK
090 ▼a 700.711 ▼b 1999 ▼c 17
110 ▼a 한국예술종합학교. ▼b 전통예술원
245 1 0 ▼a 제17회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 ▼d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편]
246 1 ▼i 판권기표제: ▼a 제17회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논문집
246 3 ▼a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논문집
246 3 0 ▼a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260 ▼a [서울] : ▼b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c 2015
300 ▼a 353 p. : ▼b 삽화, 악보 ; ▼c 27 cm
500 ▼a 일시 및 장소: 2015년 9월 24일(목),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소극장
504 ▼a 참고문헌 수록
711 2 ▼a 한국예술학과 학술대회 ▼n (제17회 : ▼d 2015 : ▼c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소극장)
910 0 ▼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 ▼b Department of Traditional Arts Theory,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00.711 1999 17 등록번호 1117428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개회사 / 민의식


학술대회 일정


목차


1. 김동진의 빅타 〈춘향전〉 채보에 대한 재검토 - 판소리의 음조직 이론을 중심으로 - / 한채호 7


I. 머리말 8


II. 본론 10


1. 빅타 유성기 음반 〈춘향전〉 개관 10


2. 김동진 채보 빅타 춘향전 대목별 사례분석 12


3. 김동진 채보의 의의 35


III. 맺음말 38


참고문헌 39


논평 : "김동진의 빅타 〈춘향전〉 채보에 대한 재검토 -판소리의 음조직 이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논평문 / 서정민 41


2. 기산(岐山) 박헌봉의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업적 및 그 의의에 대한 재검토 / 김수아 43


I. 序論 44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44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46


II. 국악조직창설 및 관련 활동 47


III. 국악예술학교 설립 및 운영 51


1. 국악예술학교 설립 과정 51


2. 교직원 및 교과 과정 54


3. 국악관현악단 창설 및 기타 음악 활동 57


4. 국악연구소 설치 및 악기 개량 61


IV. 『창악대강』 편찬 등 저술 활동 67


V. 민요채집 및 무형문화재 조사 연구 73


1. 민요채집 73


2. 무형문화재 조사 및 참여 78


VI. 結論 83


참고문헌 85


부록 87


논평 : "기산(岐山) 박헌봉의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업적 및 그 의의에 대한 재검토" 질의문 / 김유진 100


3. 월드뮤직 페스티벌 비교 분석 - 울산 월드뮤직 페스티벌, 전주 세계 소리 축제, 광주 월드뮤직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 민푸름 102


I. 서론 103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03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04


II. 본론 105


1. 울산 월드뮤직 페스티벌(처용 문화제) 105


2. 전주 세계 소리 축제 117


3. 광주 월드뮤직 페스티벌 125


4. 국내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문제점과 방안제시 127


III. 결론 130


참고문헌 131


논평 : 월드뮤직 페스티벌 비교 분석 - 울산 월드뮤직 페스티벌, 전주 세계 소리 축제, 광주 월드뮤직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 이정희 133


4. 국내 전통음악관련 음향 연구현황 조사 - 2005년부터 2015년을 중심으로 - / 김효지 135


I. 서론 136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7


II. 음향에 관하여 138


1. 음향이란? 138


2. 주요 용어 설명 142


III. 연구현황 분석 144


1. 기초 자료 연구 144


2. 발성 분석 151


3. 프로그래밍 152


4. 음향기기, 악기 배치 관련 156


5. 건축음향 157


6. 악기개량, 신악기 158


IV. 결론 161


참고문헌 163


논평 : "국내 전통음악관련 음향 연구현황 조사"에 대한 논평 / 윤지수 167


5. 비파 지도를 위한 교본연구 - 가야금 교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김주영 170


I. 서론 17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71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73


II. 본론 174


1. 비파의 설명 174


2. 『비파 교본』의 구성 178


3. 『가야금 교본』의 구성 180


4. 가야금 교본의 연습체계 활용 183


III. 결론 192


참고문헌 194


논평 : ''비파 지도를 위한 교본연구'' - 가야금 교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논평 / 이미애 195


6. ''예술인 일자리 박람회''를 통해 본 예술인 복지 문제 개선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홍지은 197


I. 서론 198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98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99


II. 본론 200


1. ''예술인 일자리 박람회'' 개괄 200


2. 예술인 복지의 문제들 210


3. 예술인복지제도의 개선방향 220


III. 결론 226


참고문헌 228


논평 : "''예술인 일자리 박람회''를 통해 본 예술인 복지 문제 개선 가능성에 관한 연구" 논평문 : 예술인 일자리 사업과 예술인복지제도의 허상 / 하장호 229


예술인복지 사업의 흐름: 일자리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230


직업역량 강화와 일자리 창출 232


예술인복지제도의 새로운 방향 설정 234


나오며 236


7. 2009 개정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요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 중심으로 - / 김선우 237


I. 서론 238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38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240


II. 현행 음악교과서 고찰 241


1. 6종 교과서 비교 241


2. 교과서의 국악 내용 244


3. 표현 영역의 국악 가창 내용의 특징 247


III.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요 253


1. 교과서의 전래동요 분석 253


2. 전래동요의 새로운 방안 266


IV. 결론 275


참고문헌 277


논평 : "2009 개정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요 연구"에 관한 논평문 / 김민하 279


1. 2007 개정,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문제 279


2. 〈표 1〉의 출판사별 서양음악·국악 비중 280


3. 전래동요와 민요 구분의 문제 280


4. 전래동요의 새로운 방안 281


8. 이자람의 창작 판소리 〈사천가〉 연구 - 표현 분석을 중심으로 - / 김소연 282


I. 서론 283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83


2. 연구방법론 286


II. 본론 288


1. 판소리적 표현의 현대적 변용 288


2. 현대 연극적 표현의 판소리적 변용 300


III. 결론 305


참고문헌 307


논평 : 이자람의 창작 판소리 〈사천가〉 연구 / 이정희 309


9. 전통예술 신진예술가 지원 사업 - 서울문화재단 MAP 사업을 중심으로 - / 오소영 311


I. 서론 312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312


II. 본론 314


1. 서울문화재단 MAP지원 사업 314


2. MAP지원 사업 현황분석 319


3. MAP 선정작 분석 322


4. 타 신진예술가 지원 사업 332


III. 결론 334


참고문헌 338


부록 : 인터뷰 339


논평 : 전통예술 신진예술가 지원 사업 -서울문화재단 MAP 사업을 중심으로-''에 대한 의견 및 질의문 / 양보나 34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