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사회주의

사회주의 (Loan 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Von Mises, Ludwig, 1881-1973 박종운, 역
Title Statement
사회주의 / 루트비히 폰 미제스 지음 ; 박종운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Physical Medium
2책(xlvi, 1193 p.) ; 19 cm
Series Statement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Varied Title
Die Gemeinwirtschaft
기타표제
영어번역표제: Socialism : an economic and sociological analysis (2nd ed.)
ISBN
9791130467276 (v.1) 9791130467283 (v.2) 9791130467269 (세트)
General Note
v.1. xlvi, 505 p. -- v.2. 511-1193 p.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Socialism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46025
005 20220818152834
007 ta
008 151002s2015 ulk 000a kor
020 ▼a 9791130467276 (v.1) ▼g 94300
020 ▼a 9791130467283 (v.2) ▼g 94300
020 1 ▼a 9791130467269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h ger
082 0 4 ▼a 335 ▼2 23
085 ▼a 335 ▼2 DDCK
090 ▼a 335 ▼b 2015
100 1 ▼a Von Mises, Ludwig, ▼d 1881-1973 ▼0 AUTH(211009)130595
245 1 0 ▼a 사회주의 / ▼d 루트비히 폰 미제스 지음 ; ▼e 박종운 옮김
246 1 ▼i 영어번역표제: ▼a Socialism : ▼b an economic and sociological analysis ▼g (2nd ed.)
246 1 9 ▼a Die Gemeinwirtschaft
246 3 9 ▼a Gemeinwirtschaft
260 ▼a 서울 : ▼b 지식을만드는지식, ▼c 2015
300 ▼a 2책(xlvi, 1193 p.) ; ▼c 19 cm
490 1 0 ▼a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500 ▼a v.1. xlvi, 505 p. -- v.2. 511-1193 p.
546 ▼a 독일어로 된 원저작을 영어로 번역하고, 이것을 다시 한국어로 번역
650 0 ▼a Socialism
700 1 ▼a 박종운, ▼e
830 0 ▼a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900 1 0 ▼a 폰 미제스, 루트비히,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 2015 1 Accession No. 11174261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 2015 2 Accession No. 11174261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 2015 2 Accession No. 1118680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철두철미한 자유주의 사상가가 바라본 사회주의의 모든 것이 담겨 있는 책. 러시아 혁명의 성공으로 모두가 사회주의에 환호하고 소비에트연방이 기세등등했던 1922년,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미제스는 사회주의가 존립 불가능하다고 선언했다. 그가 가차 없이 폭로한 사회주의의 허점은 이후 역사를 통해 그대로 드러났고, 결국 그 체제는 내부에서 무너져 내렸다. 두 권으로 나누어 출간했으며, 그중 1권은 제2부까지를 수록했다.

사회주의가 존립 불가능하고 결국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미제스의 설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장경제에서는 사람들의 가치평가가 가격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사회주의 혁명으로 가격을 폐지하면 사람들의 가치평가도, 또 그 가치평가의 변동도 알 수 없다. 가치평가의 변동을 모르면 정지된 시간에서 그저 단순 재생산만 반복할 수밖에 없다. 경제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시장경제 나라들에 비해서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주의에서도 인구, 사람들의 선호, 생산성 등 수많은 요소에 변동이 불가피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에 직면해서 사회주의 정권의 중앙계획가들은 나름대로 경제 생산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그 조정에 참고하는 것이 무엇인가? 바로 이웃한 시장경제 나라들에서 보이는 국민들의 선호, 그리고 그때 결정되는 가격이다. 그래서 사회주의는 시장경제 나라들에 둘러싸인 경우, 그 나라들의 품목별 생산량과 가격을 참고함으로써 일정 기간 비능률적이나마 존속할 수 있다. 러시아의 사회주의 정권이 존속할 수 있었던 유일한 이유도 그 때문이다.
실제로 레닌도 사회주의 혁명 이후 경제난을 해결할 수 없었다. 그리고 중소 경영의 허용과 소비재 시장교환의 허용으로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레닌의 이러한 신경제정책이 신흥 부자층과 부농의 출현을 낳고, 이것이 정권의 안정을 위협하자, 그 후계자 스탈린은 붉은 정권의 안정을 위해서 신흥 부자층과 부농들을 시베리아 수용소로 내쫓고 산업을 다시 집단화하는 공포정치로 갈 수밖에 없었다. 레닌은 그나마 제한적으로 시장을 허용해 문제를 완화했지만, 스탈린은 이웃 시장경제 나라들의 가격을 참고하고, 오직 생산량을 늘리는 방식의 단순한 양적 성장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선호 변화를 무시하다 보니 질적 성장을 이룰 수 없었다. 소비에트연방의 경제는 이후 시장경제 나라들의 발전에 근본적으로 뒤처지게 되었다. 석기 시대가 돌이 부족해서 끝난 것이 아니듯이, 스타하노프 정신에 의한 ‘석탄 생산량 얼마, 철강 생산량 얼마’ 하는 식의 생산 방식으로는 시간이 멈춰선 ‘항등 순환 경제’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미제스는 사회주의가 시장 가격의 폐지를 통해서는 존립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시장 가격의 폐지는 문명을 파탄시키고 원시시대로 되돌리는 것임을 알았다. 그는 역사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문헌들을 정독하고 스스로 그것을 극복한 뒤에 비판했기 때문에, 그의 비판은 다른 어떤 비판과도 달랐다. 그것은 내부로부터 사회주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회주의를 극복한 것이었다. 미제스는 진실을 추구하는 삶을 통해 사회주의에 대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세밀한 비판을 남겼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

영어판 2판 서문	·················xxi 
영어판 번역자 알림	···············xxiv 
독일어판 2판 서문	················xxv 

서론 
1. 사회주의 사상들이 거둔 성공의 비결	······3 
2. 사회주의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금지	······9 
3. 사회주의 분석의 접근 방식들 문화적·심리학적 연구와 사회학적·경제학적 연구	········18 

2

제III부 사회주의가 불가피하다는 주장 

1편 사회적 진화 

제17장 사회주의 천년왕국설 
1. 천년왕국설의 기원	·············511 
2. 천년왕국설과 사회이론	···········522 

제18장 사회 
1. 사회의 본성	················527 
2. 사회 발전 원리로서 노동의 분업	·······534 
3. 유기체와 조직체	··············540 
4. 개인과 사회	················545 
5. 노동 분업의 발전	··············549 
6. 사회 안에 있는 개인의 변화들	········559 
7. 사회의 쇠퇴	················563 
8. 사유재산권과 사회의 진화	··········573 

제19장 사회 진화의 요소로서 갈등 
1. 사회 진화의 원인	··············579 
2. 다윈주의	·················580 
3. 갈등과 경쟁	················590 
4. 민족 전쟁	·················595 
5. 인종 전쟁	·················600 

제20장 계급 이해관계의 충돌과 계급전쟁 
1. 계급 개념과 계급갈등	············608 
2. 신분과 계급	················616 
3. 계급전쟁	·················625 
4. 계급전쟁의 형태들	·············638 
5. 사회 진화 요소로서 계급전쟁	········642 
6. 계급전쟁 이론과 역사의 해석	········649 
7. 요약	···················653 

제21장 유물론적 역사관 
1. 사고와 존재	················658 
2. 과학과 사회주의	··············666 
3. 사회주의의 심리학적 전제들	·········670 

2편 자본의 집중과 사회주의 예비 단계로서 독점의 형성 

제22장 문제가 되는 것 
1. 마르크스주의 집중이론	···········677 
2. 반독점 정책의 이론	·············683 

제23장 시설들의 집중 
1. 노동 분업의 요소로서 시설들의 집중	·····686 
2. 1차 산업과 수송에서 시설들의 최적 규모	···688 
3. 공장제에서 시설들의 최적 규모	·······691 

제24장 기업들의 집중 
1. 기업들의 수평적 집중	············694 
2. 기업들의 수직적 집중	············695 

제25장 재산 집중 
1. 문제가 되는 것	···············699 
2. 시장경제 바깥에서 재산의 근거	·······700 
3. 시장경제 안에서 재산의 형성	········705 
4. 빈곤이 증대한다는 이론	···········715 

제26장 독점과 그 효과 
1. 독점의 본성과 가격 형성에서 그 의미	·····722 
2. 고립된 독점의 경제적 효과	·········728 
3. 독점 형성의 한계들	·············731 
4. 1차 산업에서 독점의 중요성	·········734 

제IV부 도덕적 명령으로서 사회주의 

제27장 사회주의와 윤리학 
1. 윤리학에 대한 사회주의자의 태도	······741 
2. 행복주의 윤리학과 사회주의	·········744 
3. 행복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기여	·······754 

제28장 금욕주의의 발현으로서 사회주의 
1. 금욕주의 관점	···············761 
2. 금욕주의와 사회주의	············769 

제29장 그리스도교와 사회주의 
1. 종교와 사회윤리학	·············772 
2. 그리스도교 윤리학의 원천인 복음서	·····777 
3. 원시 그리스도교와 사회	···········781 
4. 교회법의 이자 금지	·············789 
5. 그리스도교와 재산권	············792 
6.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802 

제30장 윤리학적 사회주의, 특히 신비판주의의 윤리학적 사회주의 
1. 사회주의의 기반으로서 정언 명령	······816 
2. 사회주의의 기반으로서 근로의 의무	·····826 
3. 윤리학적 설정으로서 소득의 평등	······830 
4. 이윤 동기에 대한 윤리학적·금욕주의적 비난	·833 
5. 자본주의의 문화적 성취들	··········838 

제31장 경제민주주의 
1. 경제민주주의라는 구호	···········843 
2. 생산의 결정 요소로서 소비자	········849 
3. 다수의 의지 표현으로서 사회주의	······858 

제32장 자본주의 윤리학 
1. 자본주의 윤리학과 사회주의의 실천 불가능성	·861 
2. 소위 자본주의 윤리학의 흠결들	·······864 

제V부 파괴주의 

제33장 파괴주의의 동기가 되는 힘 
1. 파괴주의의 본성	··············871 
2. 민중 선동	·················875 
3. 식자층의 파괴주의	·············884 

제34장 파괴주의의 방법 
1. 파괴주의의 수단	··············896 
2. 노동 입법	·················898 
3. 강제적인 사회적 보험	············908 
4. 노동조합	·················914 
5. 실업보험	·················928 
6. 사회주의화	················932 
7. 과세	···················940 
8. 인플레이션	················949 
9. 마르크스주의와 파괴주의	··········953 

제35장 파괴주의의 극복 
1. 파괴주의를 막을 장애물로서 ‘이해관계’	····958 
2. 폭력과 권위	················966 
3. 사상전	··················971 

결론: 현대 사회주의의 역사적 의의 
1. 역사 속의 사회주의	···········980 
2. 문명의 위기	················983 

부록: 사회주의 공동체의 경제 계산 체제를 구축하려는 시도들에 대한 비평	···············991 

후기: ≪계획된 혼란≫	·············1005 
들어가는 글	·················1007 
1. 간섭주의의 실패	··············1010 
2. 간섭주의의 독재적, 반민주적, 사회주의적 성격	1021 
3.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1044 
4. 러시아의 침략성	··············1068 
5. 트로츠키의 이단	··············1084 
6. 악령들의 해방	··············1096 
7. 파시즘	··················1112 
8. 나치즘	··················1122 
9. 소비에트의 경험이 주는 교훈	········1130 
10. 사회주의가 불가피하다는 주장	·······1145 

해설	·····················1151 
지은이에 대해	·················1189 
옮긴이에 대해	·················119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