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통합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통합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Fogarty, Robin 박한숙, 역
서명 / 저자사항
통합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 Robin Fogarty 지음 ; 박한숙 옮김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5  
형태사항
269 p. : 삽화 ; 23 cm
원표제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3rd ed.)
ISBN
9788925409825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3-263)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Education --Curricula --United States --Handbooks, manuals, etc.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education --United States --Handbooks, manuals, etc.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46010
005 20151005095440
007 ta
008 151002s2015 ggka b 001c kor
020 ▼a 9788925409825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5z1
100 1 ▼a Fogarty, Robin ▼0 AUTH(211009)73002
245 1 0 ▼a 통합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 ▼d Robin Fogarty 지음 ; ▼e 박한숙 옮김
246 1 9 ▼a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g (3rd ed.)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5
300 ▼a 269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53-263)과 색인수록
650 0 ▼a Education ▼x Curricula ▼z United States ▼v Handbooks, manuals, etc.
650 0 ▼a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education ▼z United States ▼v Handbooks, manuals, etc.
700 1 ▼a 박한숙, ▼e▼0 AUTH(211009)109126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15z1 등록번호 1117425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을 현장에서 개발할 수 있을 정도로 개념, 실제 예시, 장단점, 개발 과정, 범례 등을 상세하고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철저히 현장 중심적이며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쓰여졌다. 저자가 제시한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열 가지 아이디어 하나하나 단계에 따라서 실제로 개발해 보고 현장 사례로 예시를 들었다.

이 책의 내용은 재미있다. 간략하면서도 명쾌하다. 개념, 실제 예시, 장단점, 개발 과정, 범례 제시 등으로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을 현장에서 금방이라도 개발해 볼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고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철저히 현장 중심적이라는 것이다. 화려하고 거창한 이론만 제시하고 나머지는 독자가 알아서 하라는 식이 아니라 개발이 완성되는 단계까지 독자들과 함께 하려고 한 노력이 엿보이는 책이다. 저자가 제시한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열 가지 아이디어도 훌륭하지만 그 열 가지 아이디어 하나하나 단계에 따라서 실제로 개발해 보고 현장 사례로 예시를 들어 현재까지 나온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어떤 저서보다도 현장 실제 개발에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다. 개념의 뜻과 모형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사용 시기 등을 제시함에 있어 본 저서의 내용은 저자가 현장 교사 출신으로서 대학 강의에 이르기까지 몸으로 겪은 총체적인 경험의 결정체라고 하지 아니할 수 없다. ‘교사들의 활동 상황’이라는 관련 전공 교사끼리의 통합의 고민에 대해 주고받는 대화를 보면 본 저자는 분명 현재 교사들이 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고민을 함께 하면서 현장에서 교사들과 이러한 작업들을 오랫동안 꾸준히 해 왔다는 것을 알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저서는 다른 어떤 저서에서 볼 수 없는 통합 교육과정 ‘개발’로서의 큰 가치를 지니며 이에 대한 훈련과 연습의 과정을 현장 교사들에게 충분히 제공해 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Robin Fogarty(지은이)

그녀는 Chicago에 있는 Loyola University에서 교육과정 및 인적자원 개발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고력 수업에 있어 많은 저작들과 연구를 해 왔으며,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 평가 전략 분야에 있어 세계 여러 나라에 자문 활동을 해 왔다. 그녀는 유치원 교사로 시작하여 대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티칭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에서 교육행정가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주 교육국과 미국 국가 교육부를 비롯하여 푸에르토리코, 러시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독일, 영국, 싱가포르, 한국 및 네덜란드 교육부 컨설턴트로 활동해 왔으며, Brain-Compatible Classroom (2009) 외 다수의 저작들이 있다.

박한숙(옮긴이)

학력 및 경력 부산교육대학교 학사(교육학사)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박사(교육과정 및 방법 전공) Oklahoma State University STCL Post-Doc. 약 16년의 초등학교 교사 경험을 가지고 있고, 2005년 이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근무했으며 지금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및 역서 초등 특별활동 운영론(공저, 2001, 양서원) 미국 초등교육 다시 보기(2003, 푸른사상)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이해(공저, 2004, 양서원) 학습기술의 진단과 처방(2005, 양서원)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 탐구(공저, 2009, 양서원) 프로젝트 학습, 초등 교사를 위한 안내(공역, 2014, 아카데미프레스) 다중지능 활용 통합 교육과정 만들기(공역, 2014, 교육과학사) 통합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역, 2015, 교육과학사) 논문 기타 통합 교육과정 및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논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 문 3 
한국어판 서문 해석 3 
한국어판 서문 8 
추천사 12 
감사의 말씀 13 
저자에 대한 소개 18 

들어가는 말 25 
1. 이 책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26 
2. 왜 교육과정을 통합해야 하는가? 29 
1) 이론가들의 입장: 두뇌와 학습에 대한 연구 30 
2) 현장 실천가들의 입장: 교육과정 과중화 없애기와 성취기준(standards) 고수 35 
3) 학부모 입장: 우리 아이들에게 지금으로부터 향후 25년 동안 필요한 것들은 무엇일까? 39 
4) 학생들 입장: 학교 교육은 백신인가? 42 
3. 교육과정은 어떻게 통합되어지는가? 43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10가지 모형 45 
4. 도입 활동: 찬성과 반대 표하기 46 
5.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전개를 위한 4단계 활동 54 
6. 4단계 개념 전개 활동의 예 56 
7. 교사들이 이 책을 이용하는 방법 59 

모형 1 셀룰러형 61 
1. 셀룰러형이란 무엇인가? 62 
2. 셀룰러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63 
3. 셀룰러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63 
4. 셀룰러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64 
5. 셀룰러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65 
6. 셀룰러형은 언제 유용한가? 66 
7. 모형 1: 셀룰러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68 

모형 2 연결형 75 
1. 연결형이란 무엇인가? 76 
2. 연결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76 
3. 연결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77 
4. 연결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78 
5. 연결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78 
6. 연결형은 언제 유용한가? 79 
7. 모형 2: 연결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84 

모형 3 둥지형 87 
1. 둥지형이란 무엇인가? 88 
2. 둥지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88 
3. 둥지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89 
4. 둥지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91 
5. 둥지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92 
6. 둥지형은 언제 유용한가? 92 
7. 모형 3: 둥지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95 

모형 4 계열형 103 
1. 계열형이란 무엇인가? 104 
2. 계열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105 
3. 계열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105 
4. 계열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106 
5. 계열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107 
6. 계열형은 언제 유용한가? 107 
7. 모형 4: 계열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110 

모형 5 공유형 119 
1. 공유형이란 무엇인가? 120 
2. 공유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120 
3. 공유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122 
4. 공유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122 
5. 공유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123 
6. 공유형은 언제 유용한가? 123 
7. 모형 5: 공유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129 

모형 6 거미줄형 133 
1. 거미줄형이란 무엇인가? 134 
2. 거미줄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134 
3. 거미줄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135 
4. 거미줄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137 
5. 거미줄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137 
6. 거미줄형은 언제 유용한가? 138 
7. 모형 6: 거미줄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150 

모형 7 실로꿴형 155 
1. 실로꿴형이란 무엇인가? 156 
2. 실로꿴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156 
3. 실로꿴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161 
4. 실로꿴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162 
5. 실로꿴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162 
6. 실로꿴형은 언제 유용한가? 163 
7. 모형 7: 실로꿴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171 

모형 8 통합형 175 
1. 통합형이란 무엇인가? 176 
2. 통합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177 
3. 통합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178 
4. 통합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178 
5. 통합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179 
6. 통합형은 언제 유용한가? 180 
7. 모형 8: 통합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182 

모형 9 몰입형 191 
1. 몰입형이란 무엇인가? 192 
2. 몰입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192 
3. 몰입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193 
4. 몰입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194 
5. 몰입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194 
6. 몰입형은 언제 유용한가? 195 
7. 모형 9: 몰입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200 

모형 10 네트워크형 203 
1. 네트워크형이란 무엇인가? 204 
2. 네트워크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204 
3. 네트워크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205 
4. 네트워크형의 장점은 무엇인가? 206 
5. 네트워크형의 단점은 무엇인가? 206 
6. 네트워크형은 언제 유용한가? 207 
7. 모형 10: 네트워크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통합하는 방법 212 

[부록] 통합 교육과정 평가하기 학습 단원 215 
1. 통합 교육과정의 평가 215 
2. 통합 단원의 폭과 깊이, 통합성에 대한 평가 216 
루브릭 활용의 예 #1: 사회/역사 단원: 전쟁은 어떻게 평화를 만드는가? 222 
루브릭 활용의 예 #2: 과학/수학/언어 단원: 길 위에 다리 놓기 226 
3. 통합 단원에서 효율적인 학생 성취도 평가 230 
일반적 루브릭 230 
역사 영역 루브릭 233 
언어 영역 루브릭 233 
4. 결론 236 

역자의 변 237 
참고문헌 253 
찾아보기 26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