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5864 | |
005 | 20151002172319 | |
007 | ta | |
008 | 150930s2015 ulk b AU 000c kor | |
020 | ▼a 9788974640064 ▼g 94700 | |
020 | 1 | ▼a 9788974649142 (세트) |
035 | ▼a (KERIS)BIB000013871201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18/.02 ▼2 23 |
085 | ▼a 418.02 ▼2 DDCK | |
090 | ▼a 418.02 ▼b 2014z4 ▼c 9 | |
245 | 0 0 | ▼a 통번역 과정의 심층 탐구 / ▼d 소냐 티르코넨-콩디, ▼e 리타 야스켈라이넨 편저 ; ▼e 김대진 옮김 |
246 | 1 9 | ▼a Tapping and mapping the processes of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
260 | ▼a 서울 : ▼b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c 2015 | |
300 | ▼a 246 p. ; ▼c 23 cm | |
440 | 0 0 | ▼a 존 벤자민스 통번역 총서 ; ▼v 09 |
504 | ▼a 참고문헌 : p. 219-246 | |
536 | ▼a 이 번역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2012-0373)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 |
650 | 0 | ▼a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x Research ▼x Methodology |
700 | 1 | ▼a Tirkkonen-Condit, Sonja, ▼e 편 |
700 | 1 | ▼a Jääskeläinen, Riitta, ▼e 편 |
700 | 1 | ▼a 김대진, ▼e 역 ▼0 AUTH(211009)135786 |
900 | 1 0 | ▼a 티르코넨-콩디, 소냐, ▼e 편 |
900 | 1 0 | ▼a 야스켈라이넨, 리타,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8.02 2014z4 9 | Accession No. 11174246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1-05-2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존 벤자민스 통번역 총서 9권. 통역번역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통역 번역사가 성공적으로 통역번역 임무를 수행하면서 어떠한 인지과정을 경험하고 통번역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고 있는지에 대해 깊은 흥미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 번역서는 이러한 궁금증과 지적호기심 해결의 단초를 제공한다.
통역번역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통역 번역사가 성공적으로 통역번역 임무를 수행하면서 어떠한 인지과정을 경험하고 통번역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고 있는지에 대해 깊은 흥미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 번역서는 이러한 궁금증과 지적호기심 해결의 단초를 제공한다. 이 책의 연구자들은 직접 통역번역을 수행하면서 통역번역 과정을 심층적으로 연구했다. 이들 연구자들에 따르면 통번역 과정 연구의 가장 큰 어려움은 연구의 목적 설정, 일관성 있고 신뢰도 높은 연구 방법 사용, 그리고 새로운 지식을 통번역 연구에 이용하는 일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갖는 일이다. 이들의 연구를 통해 통번역 연구자들이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면서 신뢰성 있는 과정 연구를 진행했는지 자세히 살필 수 있다. 이 책이 통번역 과정의 모든 질문에 대한 해답을 줄 수는 없겠지만 통번역 과정 연구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연구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소냐 티르코넨-콩디(지은이)
사본린나 번역 학교 (Savonlinna School of Translation Studies) 핀란드 요핸수 대학교 (University of Joensuu, Finland)
리타 야스켈라이넨(지은이)
김대진(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통역 번역학 석사, 미국 University of Geogia에서 영어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4년부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국제회의 통역교육』(한국출판사)이 있다. 통번역 관련 주요 논문으로는 Strategic collaboration as a means of mediation in translating culturally ambiguous text: A case study, Meta, 2006 등이 있으며, 현재 연구 관심분야는 이중 언어 구사와 통번역의 인지과정 및 통역사의 창의성 발현 등이다.

Table of Contents
발간사 ● 5 서문 : 과정 연구의 난제와 우선순위 ● 9 제 1 부 통역: 동시통역 과정의 탐구 ● 17 통역의 인지과정 : 통역 과정에 대한 본질적 접근 ● 19 통역 상황중 통역사간 토론 ● 34 동시통역 연구 회상 기법 활용 ● 45 번역과 통역에 대한 복합 기술 접근 ● 74 제 2 부 방법론: 데이터에서 정보 끌어내기 ● 93 번역의 소리내어 생각하기 연구방법 중점 탐구 ● 95 (인지) 언어학이 (문학) 번역에 도움이 되는가? ● 111 소리 내어 생각하기, 인터뷰, 텍스트 분석 ● 127 번역사들의 실제 활동 연구 ● 144 제 3 부 과정 연구에서 도출된 특성 ● 159 번역 과정의 불확실성 ● 161 번역 과정에서 조정 문제 ● 182 번역에서의 의식과 보조 수단의 전략적 사용 ● 190 과정 연구의 다학제성 ● 207 참고 문헌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