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5837 | |
005 | 20151001101222 | |
007 | ta | |
008 | 150930s2014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3003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3427420 | |
040 | ▼a 222001 ▼d 222001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4 ▼2 23 |
085 | ▼a 616.8914 ▼2 DDCK | |
090 | ▼a 616.8914 ▼b 2014z5 | |
100 | 1 | ▼a Maroda, Karen J. |
245 | 2 0 | ▼a (초보상담자를 위한) 정신역동 상담 : ▼b 상담자와 내담자의 감정 다루기 / ▼d Karen J. Maroda 저 ; ▼e 허재홍, ▼e 진현정, ▼e 박명희 공역 |
246 | 1 9 | ▼a Psychodynamic techniques : ▼b working with emotion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4 | |
300 | ▼a 411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389-407)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dynamic psychotherapy |
650 | 0 | ▼a Psychotherapist and patient |
650 | 0 | ▼a Emotions |
700 | 1 | ▼a 허재홍, ▼e 역 ▼0 AUTH(211009)25831 |
700 | 1 | ▼a 진현정, ▼e 역 ▼0 AUTH(211009)76529 |
700 | 1 | ▼a 박명희, ▼e 역 ▼0 AUTH(211009)56220 |
900 | 1 0 | ▼a 마로다, 카렌 J.,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 2014z5 | 등록번호 11174244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1-05-0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신역동 접근은 감정을 다루는 이론이면서도 정작 정신역동 이론에서는 감정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직접 언급하고 있는 책은 많지 않습니다. 더욱이 실제 사례를 다루는 책에서도 감정을 다루는 방법을 직접 제시한 책은 많지 않습니다.
이 책에서는 내담자의 감정이나 문제뿐만 아니라 상담자의 감정이나 문제가 상담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어떤 기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언급은 별로 없습니다. 그 대신 내담자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내담자의 반응에 상담자가 어떻게 반응했을 때 상담효과가 있는지 또는 없는지에 대해 저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상담에서 감정을 어떻게 다루는지 간접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실제 상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Karen J. Maroda(지은이)
미국 위스콘신 의과대학에서 임상조교수로 있으면서 위스콘신 주 밀위키에서 개인상담소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심리학회 39분과인 정신분석 분과 회원이며, 윤리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정신분석 분과의 3섹션인 ‘여성, 성 그리고 정신분석’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Psychoanalytic Psychology와 The Journal of Gay & Lesbian Psychotherapy의 편집위원이며, Contemporary Psychoanalysis의 편집위원장이다. 저자는 동료들에게 상담자로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집필하고 강연하도록 적극 독려하고 있다.
허재홍(옮긴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철학 박사) 상담심리사 1급(한국상담심리학회 247호) 전 꽃동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현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주요 역서 및 논문 『정신역동 상담』(공역, 학지사, 2014) 『아동상담(제7판)』(공역, 시그마프레스, 2008) 「사회불안 발생과정에 자기효능감과 체험회피가 미치는 영향: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2008)
진현정(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박사 정일학원 부설 한마음교육심리연구소 상담원 현 가천대학교 종합상담실 상담실장
박명희(옮긴이)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박사과정 현 세종 정부센터 상담지원센터 센터장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서론 = 7 제1장 감정 개입과 상호영향 - 상담초기의 기본 문제들 = 21 상담자-내담자 궁합의 중요성 = 24 정서교류의 실패 = 32 내담자가 자기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기 = 36 내담자 경험에 몰입하기 = 37 상담자의 이해도 측정 = 40 기본 공감 = 42 공감에 대한 과도한 요구 = 45 질문하기 = 47 상담목표 설정하기 = 53 ''소강상태'' 다루기 = 55 요약 = 58 제2장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영향과 협력 - 주고받는 영향 = 59 내담자와 상담자의 과거 반복 = 61 관계 맺는 방식 알아내기 = 64 상담자에게 반복되는 과거 = 65 협력관계 형성하기 = 70 안드레아 사례 = 73 로라 사례 = 80 상담자-내담자 상호영향과 내담자가 약하다는 미신 = 90 요약 = 99 제3장 퇴행을 다시 정의하기 - 치료적인 나약함을 촉진시키기 = 101 퇴행의 증상과 징후 = 107 퇴행 이해하기 = 110 상담효과가 있는 퇴행 = 111 샐리 사례 = 113 상담효과가 없는 퇴행 = 120 상담시간 외 전화 = 123 상담효과가 없는 퇴행 사례 = 125 상담자가 퇴행을 일으킬 수 있는가 = 134 외상경험이 있는 내담자에게 존재하는 퇴행의 위험성 = 136 어떻게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 퇴행을 유지하는가 = 137 요약 = 139 제4장 상담자 개입 평가하기 - 내담자의 반응 추적하기 = 141 내담자가 상담시간을 어떻게 시작하는지 주목하기 = 144 개별 개입 평가하기 = 146 확증 반응 = 149 비확증 반응 = 151 레베카 사례 = 155 행동화 = 166 상담궤도에서 약간 이탈하는 것 = 169 "그건 좋은 질문입니다." = 174 요약 = 176 제5장 자기개방과 조언 - 상담자의 자기개방이 언제 그리고 어떻게 효과가 있는가 = 179 자기개방은 자발적인 반응이어야 하는가 = 187 자기개방이 자발적이지 않은 이유 = 191 무엇이 상담효과가 있는 자기개방인가 = 193 자기개방을 위한 기본 지침 = 198 분노 = 203 슬픔 = 204 기쁨 = 204 제임스 사례 = 205 레베카 사례 = 207 제니퍼 사례 = 209 조언하기 = 215 개방하지 않는 것 = 216 자발적인 정보 제공 = 218 요약 = 220 제6장 감정 다루기 - 감정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역할 = 223 유전 대 환경 = 226 감정 처리와 정신병리 = 227 감정과 상담효과가 있는 행동 = 228 다룰 수 있는 수준의 감정 촉진하기 = 230 얼굴에 나타난 감정 파악하기 = 235 감정과 전이-역전이 상호작용 = 236 빅토리아의 상담 내 상호작용 검토 = 244 내담자의 고통을 함께 나누기 = 245 요약 = 247 제7장 경계성 성격장애 상담에서 정서조절 문제 = 249 경계성 성격에서 유전과 환경 = 250 낸시와 레베카 = 253 기본 신뢰와 그 이상 = 256 수치심 = 260 거짓 정서 = 262 힘과 무력함 = 264 경계성 성격장애 내담자의 우수한 감정-읽기 능력 = 266 감정폭풍 관리 = 267 상담과 내담자 교육 = 270 자살 = 275 비통해 하기와 감정관리 = 279 비유와 뇌 = 282 요약 = 285 제8장 직면과 역전이 분노 - 갈등에 대한 상담자의 혐오감 극복하기 = 289 돈과 직면 = 292 지각과 관련된 직면 = 294 분명한 모순에 대한 직면 = 296 직면 사례: 몰리 = 300 위험한 행동과 관련된 직면 = 303 상담자의 피학적 굴복 = 307 자신이 아는 사실을 말할 수 없는 내담자를 직면시키기 = 309 내담자의 분노 대처 = 311 역전이 분노와 증오 = 313 상담자의 수동공격 행동 = 316 분노표현을 위한 지침 = 321 요약 = 324 제9장 성적인 감정 - 성적인 감정이 도움이 되는 때와 방해가 되는 때 = 327 상담에 도움이 되는 성적인 전이와 도움이 되지 않는 성적인 전이 구분하기 = 330 성적인 감정을 드러내기 꺼리는 내담자 다루기 = 333 사랑인가 혹은 권력인가 = 334 성적인 역전이를 수용하고 다루기 = 339 외상경험 피해자들과 ''오이디푸스 승리자들'' = 341 성적인 애착 유형의 상담자 = 343 성적인 전이와 역전이에서 성차 = 344 동성애 감정에 대한 방어로서 이성애 연애감정 = 345 성적인 역전이 개방하기 = 346 성적인 역전이와 사랑 역전이 수용하기 = 347 상호성과 비대칭 = 349 내담자의 표현 촉진하기 = 350 전이와 역전이에서 성적인 충동 다루기 = 351 요약 = 353 제10장 내담자에게 권한 주기 - 독립의 길 = 355 자신과 타인을 읽는 것을 배우기 = 362 경쟁욕구 이해하기 = 363 사랑하고 사랑받기 = 366 관계 향상시키기: 주제 다양화 = 369 종결에 대해 이야기하기 = 375 요약 = 379 결론 = 381 주석 문헌 목록 = 385 참고문헌 = 389 찾아보기 =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