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5514 | |
005 | 20151104161907 | |
007 | ta | |
008 | 150930s2015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30088220 ▼g 94330 | |
020 | 1 | ▼a 9788930080019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3.4 ▼2 23 |
085 | ▼a 323.4 ▼2 DDCK | |
090 | ▼a 323.4 ▼b 2015z1 | |
245 | 0 0 | ▼a 인권과 사회복지 / ▼d 배화옥 [외]지음 |
246 | 1 1 | ▼a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
260 | ▼a 파주 : ▼b 나남, ▼c 2015 | |
300 | ▼a 431 p. : ▼b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1822 |
500 | ▼a 공저자: 심창학, 김미옥, 양영자 | |
500 | ▼a 기획: 국가인권위원회 | |
504 | ▼a 참고문헌(p. 407-419)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배화옥, ▼e 저 ▼0 AUTH(211009)9499 |
700 | 1 | ▼a 심창학, ▼e 저 ▼0 AUTH(211009)134270 |
700 | 1 | ▼a 김미옥, ▼e 저 ▼0 AUTH(211009)121651 |
700 | 1 | ▼a 양영자, ▼e 저 ▼0 AUTH(211009)60073 |
900 | 1 0 | ▼a Bae, Hwa-ok, ▼e 저 |
900 | 1 0 | ▼a Shim, Chang-hack, ▼e 저 |
900 | 1 0 | ▼a Kim, Mi-ok, ▼e 저 |
900 | 1 0 | ▼a Yang, Yeung-ja,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4 2015z1 | Accession No. 1117423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4 2015z1 | Accession No. 11174379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사회복지대학 교육의 강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집필된 책. 국가인권위원회에서는 <사회복지 분야 대학교 인권과목 개설을 위한 기초 연구>에서 사회복지 분야 대학교의 인권과목 개설 필요성을 밝힌 바 있다. 사회복지와 인권의 관계를 이론적.실천적 측면에서 조망한다.
1부에서는 인권에 대한 기본적 이해, 인권과 사회복지의 관련성,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인권 관점의 적용 등 인권과 사회복지를 총괄적으로 다루었다. 이어 2부에서는 사회복지 영역별로 국내.외 인권 관련 규정, 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인권기반 사회복지의 개입 및 적용 등 보다 실천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사회복지야, 인권을 부탁해!
국가인권위원회 기획, 사회복지대학 인권교육을 위한 최초의 강의 교과서
27년 만에 전모가 밝혀진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책과 영화로 알려져 세간을 뜨겁게 달군 《도가니》 사건 등,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종종 경악을 금치 못할 비인간적인 일이 발생한다. 한편, 사회복지사의 자살 등 사회복지전문인들이 겪는 인권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이는 제도의 손길이 필요한 우리 사회의 그늘진 자리가 인권침해의 사각지대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렇듯 현장에서 다양한 인권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있는 예비 사회복지사들은 학교를 떠나기 전 인권과 사회복지에 대해 충분히 학습해야 한다. 그러나 사회복지대학에는 개설된 인권 관련 교과목의 수가 절대적으로 적을뿐더러, 마땅한 교육과정과 기본 교재가 없는 실정이었다. 개설된 몇몇 과목이 인권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는 있으나, 다루는 내용이 지엽적이고 이론 열거에 그치는 등 실천적인 면에서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이에 국가인권위원회에서는 “사회복지 분야 대학교 인권 과목 개설을 위한 기초 연구” (2013)에서 사회복지대학의 인권 과목 개설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인권과 사회복지》는 그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사회복지대학의 인권교육 강의 교재로 활용되도록 집필된 책이다. 국가인권위원회 기획으로 경상대 배화옥 교수 등 네 명의 사회복지학 전공 교수가 필자로 참여했다.
책의 1부에서는 인권에 대한 기본적 이해, 인권과 사회복지의 관련성,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인권 관점의 적용 등 인권과 사회복지의 기초 내용을 총괄적으로 다루었다. 이어 2부에서는 아동ㆍ청소년, 노인, 장애인, 정신장애인, 여성, 이주민, 노숙인 등 사회복지 대상별로 국내ㆍ외 인권 관련 규정, 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인권기반 사회복지의 개입 및 적용 등 더욱 실천적인 내용을 다루기 위해 노력했다. 각 장의 말미에는 토론거리를 마련하여 학습자들이 배운 내용을 스스로 적용해 볼 수 있게 했다.
책의 집필을 위해 국내외 인권 관련 저서와 보고서, 사회복지학과 교재, 국가인권위원회를 포함한 정부 자료 및 통계, 관련 입법 자료, 그 외 학술 논문 및 저서 등을 두루 활용했다. 또한 인권과 교육 분야의 전문가, 인권위원회의 담당자, 사회복지 관계자 및 종사자 등 관련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자문회의를 열고, 다각도로 의견을 수렴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기본적으로 사회복지는 인권존중에 바탕을 두며, 사회복지직은 곧 인권직이다. 국가인권위원회 이성호 위원장은 발간사에서 “사회복지 분야에 뜻을 두는 것은 사회적 약자가 내미는 손을 잡아 주겠다는 선한 의지에서 출발하여, 이들의 동반자가 되고,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보편적 인권의 옹호자가 되겠다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인권의 보호와 증진이 시대적 명제로 자리하는 오늘날,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인권 구현은 특히 더 중요하다. 이 책의 발간이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과 연구자, 예비 사회복지전문인들의 인권 역량을 키우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배화옥(지은이)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졸업.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임연구원 재직. 현재 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로《아동과 복지》,《장애와 복지》, 논문으로 “아동학대 발생추이에 미치는 부부폭력의 영향에 대한 연구”, “아동방임 재발유형과 관련요인”, “Re-reporting to child protective services among initial neglect services” 등.
심창학(지은이)
파리4대학(Universite de Paris-Sorbonne)에서 “프랑스 사회보장제도 입법과정(1944-1949): 보편주의와 통합주의의 비양립성”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비교사회정책, 빈곤 및 사회적 배제, 사회보호 활성화레짐, 이민레짐 및 이민자의 사회권 등이다. 최근의 주요 연구실적으로 “캐나다 고용보험제도와 이민자의 사회권: 지역적 차등을 중심으로”(2016), “청년실업에 대한 프랑스 국가의 대응양식: 청년고용정책의 정체성은 존재하는가?”(2017) 등의 논문과, 사회보호 활성화 레짐과 복지국가의 재편(2014, 단독 저서), 그리고 인권과 사회복지(2015), 각국 공공부조제도 비교연구: 프랑스 편(2015), 외국인고용제도개선과 인권(2016), 사회갈등과 정치적 소통(2016), 청년실업, 노동시장 그리고 국가: 학제간·국가비교(2017), 프랑스의 사회보장제도(2018), 포용복지와 사회정책방향(2019), 복지국가쟁점 2: 사회보장 분야별 과제(2020) 등의 공동저서가 있다.
김미옥(지은이)
이화여대 사회사업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이화여대 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임상복지과장,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대우전임강사 역임. 현재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로 《장애인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론》(공저),《장애와사회복지》(공저), 《가족과 레질리언스》(공역), 논문으로 “Living arrangement, social connected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ults from the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이용자 옹호의 관계”,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등.
양영자(지은이)
독일 오스나브뤽대학교 대학원 교육과학ㆍ문화학부 노인복지 전공 졸업(철학박사). 동 대학원 학술교원(Wissenschaftliche Mitarbeiterin). 한국노년학회 이사, 한국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편집위원 역임. 현재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독일 노동기술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질적연구학회 편집위원장. 저서로 Prekarisierung Transnationaler Carearbeit: Ambivalente Anerkennung(공저),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공저), 논문으로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 재독한인노동이주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주여성의 생애사에 재현된 젠더의 구성과정: 재독한인여성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등.
국가인권위원회(기획)
모든 사람의 존엄, 자유, 평등, 연대가 보장되는 인권 사회 실현을 위해 2001년 11월 출범한 국가 인권 기구입니다. 입법, 사법, 행정에 소속되지 않은 독립 기구로서 인권 보호 및 향상에 관한모든 일을 다루고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서론 1부 이론편 제1장 인권의 이해 1. 인권의 개념 2. 인권 발달의 역사 3. 인권 관련 법과 기구 제2장 인권과 사회복지 1. 인권과 사회복지의 만남 2. 인권 기반 사회복지의 정체성 3.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인권의 영향 제3장 인권과 사회복지전문직 1. 사회복지전문직의 위상과 역할 2.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강령과 인권의식 3. 사회복지전문직의 인권 문제 제4장 인권 관점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 1. 인권 관점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의 배경 2. 인권 관점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3. 인권 관점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 모델 4. 인권 관점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의 유용성 2부 실천편 제5장 아동ㆍ청소년과 인권 1. 국내ㆍ외 관련 규정 2. 인권의 유형과 보장 내용 3.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 4. 사례개입과 적용 제6장 노인과 인권 1. 국내ㆍ외 관련 규정 2. 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 3.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 4. 사례개입과 적용 제7장 장애인과 인권 1. 국내ㆍ외 관련 규정 2. 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 3.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 4. 사례개입과 적용 제8장 정신장애인과 인권 1. 국내ㆍ외 관련 규정 2. 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 3.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 4. 사례개입과 적용 제9장 여성과 인권 1. 국내ㆍ외 관련 규정 2. 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 3.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 4. 사례개입과 적용 제10장 이주민과 인권 1. 국내ㆍ외 관련 규정 2. 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 3.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 4. 사례개입과 적용 제11장 노숙인과 인권 1. 국내ㆍ외 관련 규정 2. 인권 유형과 보장 내용 3. 인권침해 현황과 실태 4. 사례개입과 적용 제12장 인권과 사회복지 전망 1. 인권침해 사례 증가 2. 인권과 사회복지의 연계 3. 인권교육의 필요성 증대 4. 사회복지학과 인권 관련 교과목 개설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