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수·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Loan 2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성숙 金星淑, 저 김희경 金熙卿, 저 서민희 徐愍熙, 저 성태제 成泰濟, 저
Title Statement
(교수·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 Formative assessment for classroom practice / 김성숙 [외]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5  
Physical Medium
380 p. : 삽화, 도표 ; 21 cm
ISBN
9788999707353
General Note
공저자: 김희경, 서민희, 성태제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63-377)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45419
005 20150928145001
007 ta
008 150928s2015 ulkad b 001c kor
020 ▼a 9788999707353 ▼g 93370
035 ▼a (KERIS)BIB000013854296
040 ▼a 211031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26 ▼2 23
085 ▼a 371.26 ▼2 DDCK
090 ▼a 371.26 ▼b 2015z3
245 2 0 ▼a (교수·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 ▼x Formative assessment for classroom practice / ▼d 김성숙 [외]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300 ▼a 380 p. : ▼b 삽화, 도표 ; ▼c 21 cm
500 ▼a 공저자: 김희경, 서민희, 성태제
504 ▼a 참고문헌(p. 363-377)과 색인수록
700 1 ▼a 김성숙 ▼g 金星淑, ▼e
700 1 ▼a 김희경 ▼g 金熙卿, ▼e▼0 AUTH(211009)123891
700 1 ▼a 서민희 ▼g 徐愍熙, ▼e▼0 AUTH(211009)95873
700 1 ▼a 성태제 ▼g 成泰濟, ▼e▼0 AUTH(211009)54721
900 1 0 ▼a Kim, Sung-sook, ▼e
900 1 0 ▼a Kim, Hee-kyoung, ▼e
900 1 0 ▼a Seo, Min-hee, ▼e
900 1 0 ▼a Seong, Tae-je,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5z3 Accession No. 1117422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edical Library/Departmental Collection/ Call Number 의인문학 371.26 2015z3 Accession No. 931001125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5z3 Accession No. 1117422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Departmental Collection/ Call Number 의인문학 371.26 2015z3 Accession No. 931001125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3년 8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창립 15주년을 기념하는 단행본 ‘2020 한국 초·중등 교육의 향방과 과제’ 중 한 장인 ‘학습지향적 평가를 위한 형성평가 실천’을 함께 집필한 것이 오늘의 자리를 만들게 된 단초가 되었다. 삶의 자리가 다른 네 명의 저자는 단지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라는 키워드에 매료되어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각별한 열정으로 함께 모였다. 집필을 시작하기에 앞서 이 책은 과연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내용을 담아 어떻게 작성해 나갈 것인지 진지하게 논의하였다. 교육평가를 전공한 네 명의 관계는 동료, 선후배, 스승과 제자로 각자 연륜과 경험이 다양하다. 하지만 최근 학생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하여 전적으로 공감하면서, 이 책을 집필하였다.
10여년 전부터 형성평가는 교실에서의 새로운 활용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지만 이미 교사와 학생에게 익숙한 개념이었기에 이제는 형성평가를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학생들의 학습을 증진시키는 데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 안내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이 책은 대학, 대학원, 그리고 연수원 학생과 선생님들이 이해하기 쉽고 교수 · 학습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이론과 실제가 함께 담긴 친절한 가이드북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성숙(지은이)

University of Virginia, Ph.D.(교육측정 및 평가 전공)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BEAR센터 교수 (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 저자 서문 
◎ 일러두기 

제1장 교육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 
1. 교육의 개념 
2. 교육평가 
3. 교육평가의 새로운 동향 

제2장 교수·학습 진행과정과 평가 
1. 진단평가 
2. 형성평가 
3. 총합평가 

제3장 형성평가의 재조명 
1. 평가 기능의 변화 
2. 형성평가의 정의 
3. 형성평가의 활용 

제4장 학생에 대한 정보수집 
1. 학생 정보수집의 유형 
2. 구조화된 정보수집 방법 
3. 비구조화된 정보수집 방법 

제5장 교수·학습의 피드백 
1. 피드백의 정의와 형식 
2. 피드백의 모형 
3. 성공적인 피드백 

제6장 수행평가와 형성평가 
1. 수행평가의 개요 
2. 수행평가의 적용 
3. 형성평가에서의 수행평가 활용 

제7장 형성평가의 실제 
1. 형성평가의 일반적 절차 
2. 형성평가의 목적 확인 
3. 학습목표 확인 
4. 형성평가 계획 
5. 형성평가 도구 개발 
6. 채점 
7. 피드백 

제8장 형성평가 실행 기법 
1. 형성평가 실행의 의의 
2. 과제물 부여 시 활용 가능한 형성평가 기법 
3. 수업 도중 활용 가능한 형성평가 기법 
4. 프로젝트 수행 시 활용 가능한 형성평가 기법 
5. 총합평가 이전 활용 가능한 형성평가 기법 
6. 총합평가 이후 활용 가능한 형성평가 기법 

제9장 언어영역 형성평가의 적용 사례 
1. 비구조적 형성평가 사례 
2. 수행평가를 활용한 형성평가 사례 
3. 미국 차세대 평가체제의 형성평가 사례 

제10장 과학 및 수학 영역 형성평가의 적용 사례 
1. 비구조적 형성평가 사례 
2. 수행평가를 활용한 형성평가 사례 
3. 미국 차세대 평가체제의 형성평가 사례 

제11장 온라인 형성평가와 결과 보고 
1. 온라인 형성평가 
2. 문항개발 
3. 평가 시행 
4. 채점 
5. 결과 보고 

제12장 형성평가의 성공적 적용 
1. 형성평가 지원체제 구축 
2. 교사의 역량 강화 
3. 학습을 돕는 평가 

◎ 참고문헌 
◎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