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5407 | |
005 | 20161020110207 | |
007 | ta | |
008 | 150928s2015 ulk b AK 001c kor | |
020 | ▼a 9788952117595 ▼g 937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562 ▼2 23 |
085 | ▼a 497.562 ▼2 DDCK | |
090 | ▼a 497.562 ▼b 2015 | |
100 | 1 | ▼a 신효필 ▼0 AUTH(211009)67066 |
245 | 1 0 | ▼a 한국어 사건과 시간 표현 = ▼x Events and temporal expressions in Korean / ▼d 신효필, ▼e 유현조 지음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5 | |
300 | ▼a x, 424 p. ; ▼c 24 cm | |
500 | ▼a 부록: A. 한국어 타임뱅크, B. 사건 표현 사전, C. 시간 표현 사전 | |
504 | ▼a 참고문헌(p. 405-415)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유현조, ▼e 저 ▼0 AUTH(211009)63544 |
900 | 1 0 | ▼a Shin, Hyo-pil, ▼e 저 |
900 | 1 0 | ▼a You, Hyun-jo,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62 2015 | 등록번호 1117422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62 2015 | 등록번호 5110315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텍스트에 나타나는 사건과 시간 표현을 포착하고 텍스트 시간 정보를 해석하여 사건들의 연대기를 구성하고 텍스트의 흐름 속에서 사건들 사이의 시간 관계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어에서 사건과 시간 표현에 관한 연구는 시제, 상, 법, 시간 부사, 내포, 접속 등 여러 문법 영역에 걸치는 포괄적인 연구다.
텍스트의 흐름 속에서 사건들 사이의 시간 관계를 분석
이 책은 텍스트에 나타나는 사건과 시간 표현을 포착하고 텍스트 시간 정보를 해석하여 사건들의 연대기를 구성하고 텍스트의 흐름 속에서 사건들 사이의 시간 관계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어에서 사건과 시간 표현에 관한 연구는 시제, 상, 법, 시간 부사, 내포, 접속 등 여러 문법 영역에 걸치는 포괄적인 연구다. 지금까지 한국어에 있어 내포문이나, 복합문, 사건 명사와 술어의 결합, 본동사와 보조 용언의 결합에 의해 나타나는 시간 관계에 대한 연구가 별로 없었다.
이론언어학 및 자연언어처리에 직접 활용
이 책은 이런 상황에서 영어의 시간과 사건 표현의 마크업 언어를 구축하려는 TimeML을 차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 사건 및 시간 표현을 다루는 여러 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이를 실제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실제 사건 표현과 시간 표현의 형식화를 부록으로 제시하고 있어 이론언어학 및 자연언어처리에 직접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v 제 1 장 서론 1 제 2 장 텍스트 시간 정보 7 2.1 시간 정보의 형식화 9 2.1.1 시점 시간 정보 9 2.1.2 시구간 및 양적 시간 정보 11 2.1.3 시간 관계 정보 13 2.2 시간 정보 마크업 14 2.2.1 STAG 14 2.2.2 TimeML 15 2.2.3 ISO-TimeML 18 2.3 시간 정보 주석 말뭉치 22 2.4 한국어 텍스트 시간 정보 23 2.4.1 한국어 TimeML 23 2.4.2 행내 주석과 격리 주석 25 2.4.3 어절 단위 주석과 형태소 단위 주석 26 2.4.4 토큰 주석과 범위 주석 28 제 3 장 사건 표현 31 3.1 사건 표현의 개념 33 3.2 사건의 판별 34 3.2.1 어휘의미론적 판별 34 3.2.2 텍스트 내에서 시간성의 확보 35 3.2.3 사건 판별의 대상 단위 37 3.3 어휘 부류와 사건 표현 39 3.3.1 행위 명사 40 3.3.2 사건 명사 43 3.3.3 상태 명사 45 3.3.4 구체 명사 46 3.3.5 수량 표현 49 3.3.6 형식 용언 및 형식 명사 50 3.3.7 어미 53 3.4 사건의 부류 56 3.4.1 분류 목적과 기준 56 3.4.2 발생 부류 59 3.4.3 상태 부류 59 3.4.4 상적 부류 60 3.4.5 보고 부류 61 3.4.6 지각 부류 62 3.4.7 내포 행위 부류 64 3.4.8 내포 상태 부류 66 3.5 사건의 시간 속성 67 3.5.1 문법적 속성과 시간 의미 67 3.5.2 시상 체계 68 3.5.3 상 69 3.5.4 시제 72 3.5.5 법과 양상 73 3.6 사건 정보의 형식화 73 제 4 장 시간 표현 77 4.1 시간 표현의 개념 78 4.2 시간 표현의 판별 82 4.2.1 어휘론적 기준 82 4.2.2 텍스트 내 시간성의 확보 83 4.3 시간 표현의 유형 86 4.3.1 시간 86 4.3.2 날짜 87 4.3.3 기간 87 4.3.4 집합 88 4.4 시간 표현의 속성 89 4.4.1 기본 속성 89 4.4.2 시점 표현의 속성 91 4.4.3 시구간 표현의 속성 92 4.4.4 집합 시간 표현의 속성 93 4.4.5 시간 값의 형식화 94 4.5 시간 정보의 추론 99 제 5 장 시간 관계 103 5.1 시간 관계의 체계 104 5.2 시간 관계의 언어 정보 105 5.3 상적 연결 106 5.3.1 상적 연결 분석의 필요성 106 5.3.2 상적 연결의 유형 107 5.3.3 상적 연결과 문형 108 5.3.4 상적 연결에 의한 유형 강제 110 5.4 종속적 연결 112 5.4.1 종속적 연결의 분석 대상 112 5.4.2 종속적 연결의 유형 114 5.4.3 종속적 연결과 문형 122 5.5 시간적 연결 128 5.5.1 분석 대상 128 5.5.2 시간적 연결의 유형과 속성 134 5.5.3 시간적 연결과 문형 136 제 6 장 결론 153 부록 157 A 한국어 타임뱅크 158 B 사건 표현 사전 165 C 시간 표현 사전 312 참고 문헌 405 찾아보기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