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4563 | |
005 | 20150917101940 | |
007 | ta | |
008 | 150917s201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2006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55.6 ▼2 23 |
085 | ▼a 155.6 ▼2 DDCK | |
090 | ▼a 155.6 ▼b 2013 | |
100 | 1 | ▼a 정옥분 ▼0 AUTH(211009)41303 |
245 | 1 0 | ▼a 성인ㆍ노인심리학 / ▼d 정옥분 지음 |
246 | 1 1 | ▼a Adult psychology |
250 | ▼a 2판(개정판) |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3 | |
300 | ▼a 645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595-638)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6 2013 | 등록번호 1117418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6 2013 | 등록번호 1117438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6 2013 | 등록번호 11174407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1-06-02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옥분(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가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아동학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박사과정 졸업(인간발달 전공 Ph.D.) 한국아동학회 회장,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교환교수, ISSBD 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고려대학교 사회정서발달연구소 소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의료원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어린이집 고문 저서 아동연구와 통계방법(학지사, 2010) 성인·노인심리학(학지사, 2008) 아동학 연구방법론(학지사, 2008) 유아교육 연구방법(학지사, 2008) 청년발달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08)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개정판, 학지사, 2007) 사회정서발달(학지사, 2006) 청년심리학(학지사, 2005) 발달심리학(학지사, 2004) 영유아발달의 이해(학지사, 2004) 아동발달의 이론(학지사, 2003) 아동발달의 이해(학지사, 2002) 성인발달과 노화(교육과학사, 2001) 공저 아동복지론(학지사, 2012) 보육과정(학지사, 2009) 애착과 발달(학지사, 2009) 노인복지론(학지사, 2008) 보육학개론(학지사, 2008) 부모교육(학지사, 2008) 예비부모교육(학지사, 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학지사, 2007) Parenting beliefs, behavior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cross-cultural perspective(공편, Psychology Press, 2006) 결혼과 가족의 이해(시그마프레스, 2005) 고등학교 인간발달(교육인적자원부, 2003)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123집(집문당, 2003) 부모교육: 부모역할의 이해(양서원, 2000) 개정판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교문사, 1997) 사랑으로 크는 아이(계몽사, 1996) 유아의 심리(중앙적성출판사, 1994)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교문사, 1989) 가족과 환경(교문사, 1986) 역서 학위논문작성법: 시작에서 끝내기까지(공역, 시그마프레스, 2004) 청년발달의 이론(공역, 양서원, 1999) 인간발달의 이론(교육과학사, 1995) 인간발달 Ⅱ: 청년기, 성인기, 노년기(교육과학사, 1992) 부모교육 이론과 적용(공역, 국민서관, 1989) 논문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amo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University of Maryland 박사학위논문, 1983) 전통 ‘효’ 개념에서 본 부모역할인식과 자녀양육행동(1997) 영아기 기질 및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른 2~4세 아동의 행동억제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8개국 비교문화연구를 위한 기초연구(2003) Behavioral Inhibition in Toddlers: Initial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for the Study of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2004) A Cross-Cultural Study of Behavioral Inhibition in Toddlers: East-West-North-South(2006) A Mediated Moderation Model of Conformative Peer Bullying(2012) 외 논문 다수

목차
개정판 머리말 = 3 초판 머리말 = 5 제1부 성인발달의 기초 제1장 성인발달 연구의 역사적 배경과 전망 = 23 1. 성인발달 연구의 역사적 배경 = 24 2. 인간발달의 전생애 접근 = 25 3. 성인발달의 단계 = 30 4. 연령의 의미 = 31 5. 성인발달과 영향요인 = 33 6. 21세기 성인발달 연구의 전망 = 36 제2장 성인발달의 이론 = 43 1. 규범적 위기 모델 = 44 2. Neugarten의 사건의 발생시기 모델 = 77 제3장 성인발달의 연구방법 = 85 1. 과학적 연구의 과정 = 86 2. 과학적 연구의 요소 = 89 3. 표집의 문제 = 92 4. 자료수집의 방법 = 94 5. 연구설계 = 97 6. 성인발달 연구의 접근법 = 101 7. 성인발달 연구의 윤리적 문제 = 106 제2부 성년기 제4장 신체발달 = 113 1. 신체상태 = 114 2. 외모 = 117 3. 건강과 질병 = 120 제5장 인지발달 = 137 1. 지능의 본질 = 138 2. 지적 기능의 평가 = 142 3. 성인기 사고의 특성 = 149 4. 지능과 연령 = 154 5. 성인기 지능의 성차 = 161 6. 창의성의 개념 = 162 7. 창의성과 연령 = 166 제6장 직업발달 = 169 1. 직업발달의 이론 = 170 2. 직업선택과 영향요인 = 176 3. 직업만족도 = 179 4. 직업상의 스트레스 = 180 5. 직업과 개인적 성장 = 183 6. 여성과 직업발달 = 185 제7장 도덕성발달 = 191 1. 콜버그의 정의지향적 도덕성이론 = 192 2. 튜리엘의 영역구분이론 = 199 3. 길리간의 배려지향적 도덕성이론 = 203 4. 정의지향적 도덕성과 배려지향적 도덕성에 관한 우리나라의 연구 = 210 5. 성인기의 도덕적 사고 = 213 제8장 성역할발달 = 219 1. 심리적 성차의 실상 = 220 2. 성역할발달의 이론 = 222 3. 새로운 성역할 개념 = 229 4. 성인기의 성역할 변화 = 233 제9장 성격발달 = 239 1. 특성모델 = 240 2. 자아개념 모델 = 243 3. 사건의 발생시기 모델 = 244 4. 단계 모델 = 246 제10장 가족생활 = 257 1. 가족의 의미 = 258 2. 가족의 형성 = 267 3. 가족의 해체 : 이혼 = 286 4. 가족의 재형성 : 재혼 = 288 5. 가족구조의 변화 = 289 제3부 중년기 제11장 신체변화 = 299 1. 외적 변화 = 300 2. 내적 변화 = 305 3. 감각 기능의 변화 = 307 4. 생식 및 성적 능력의 변화 = 309 5. 건강과 질병 = 319 제12장 인지변화 = 329 1. 검사의 종류 = 330 2. 자료수집의 방법 = 332 3. 기억 = 337 4. 문제해결능력 = 347 5. 창의성 = 349 제13장 직업발달과 직업전환 = 353 1. 직무수행과 성공 = 354 2. 직업만족도 = 357 3. 직업전환 = 359 4. 실직 = 363 5. 여가생활 = 367 제14장 성격 및 사회적 발달 = 371 1. 중년기 위기인가 전환기인가 = 372 2. 중년기 성격의 안정성 = 376 3. 중년기 성격의 변화 = 378 4. 중년기 여성의 성격발달 = 387 5. 한국 중년 세대의 특성 = 388 6. 중년기의 자아실현 = 389 제15장 가족생활 = 397 1. 중년기의 부부관계 = 398 2. 자녀와의 관계 = 405 3. 노부모와의 관계 = 408 제4부 노년기 제16장 신체변화 = 415 1. 수명과 노화 = 416 2. 외적 변화 = 421 3. 내적 변화 = 423 4. 감각기능의 변화 = 428 5. 건강관리와 질병 = 435 6. 건강 서비스 = 439 제17장 인지변화 = 441 1. 지능검사의 종류 = 442 2. 자료수집의 방법 = 443 3. 노년기의 지적 능력과 영향요인 = 445 4. 기억 = 448 5. 문제해결능력 = 459 6. 지혜 = 463 제18장 직업과 은퇴 = 471 1. 은퇴의 의미 = 472 2. 은퇴의 영향 = 473 3. 은퇴의 적응 = 479 4. 은퇴생활 준비 = 486 5. 정년퇴직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 489 6. 여가생활 = 494 제19장 성격 및 사회적 발달 = 497 1. 노년기 성격의 안정성 = 498 2. 노년기 성격의 변화 = 499 3. 성공적 노화이론 = 503 4. 성공적인 노화와 성격유형 = 508 5. 성공적 노화모델 = 513 6. 노년기의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 521 7. 노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 523 제20장 가족생활 = 529 1. 부부관계 = 530 2. 부모자녀관계 = 536 3. 손자녀와의 관계 = 542 4. 형제자매관계 = 544 제5부 인생의 마무리 제21장 죽음과 임종 = 549 1. 죽음의 정의 = 550 2. 발달단계와 죽음의 의미 = 552 3. 죽음에 대한 태도 = 555 4. 죽음 전의 심리적 변화 = 558 5. 호스피스 간호 = 562 6. 죽음에 관한 쟁점 = 564 제22장 사별과 비탄 = 571 1. 사별 = 572 2. 비탄 과정 = 576 3. 비탄과 영향요인 = 577 4. 비탄치료 = 579 5. 장례 : 애도의식 = 580 제23장 인생의 회고 = 587 1. 삶과 죽음의 의미 = 588 2. 인생의 회고 = 589 3. 인생회고 기법 = 591 4. 에필로그 = 594 참고문헌 = 595 찾아보기 = 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