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3071 | |
005 | 20160525094849 | |
007 | ta | |
008 | 150907s2015 ggka 001c kor | |
020 | ▼a 9791185890265 ▼g 93000 | |
035 | ▼a (KERIS)BIB000013816612 | |
040 | ▼a 242002 ▼c 242002 ▼d 242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004.6 ▼2 23 |
085 | ▼a 004.6 ▼2 DDCK | |
090 | ▼a 004.6 ▼b 2015z1 | |
245 | 2 0 | ▼a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 ▼x IT infrastructure / ▼d 야마자키 야스시 [외]지음 ; ▼e 김완섭 옮김 |
246 | 1 9 | ▼a 繪で見てわかるITインフラの仕組み |
246 | 3 | ▼a E de mite wakaru aiti infura no shikumi |
260 | ▼a 파주 : ▼b 제이펍, ▼c 2015 ▼g (2016 3쇄) | |
300 | ▼a xxiii, 360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미나와 요시코, 아제카츠 요헤이, 사토 타카히코 | |
500 | ▼a 감수: 오다 케이지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山崎泰史, ▼e 저 |
700 | 1 | ▼a 三縄慶子, ▼e 저 |
700 | 1 | ▼a 畔勝洋平, ▼e 저 |
700 | 1 | ▼a 佐藤貴彦, ▼e 저 |
700 | 1 | ▼a 김완섭, ▼e 역 |
700 | 1 | ▼a 小田圭二, ▼e 감수 |
900 | 1 0 | ▼a 야마자키 야스시, ▼e 저 |
900 | 1 0 | ▼a Yamazaki, Yasushi, ▼e 저 |
900 | 1 0 | ▼a 미나와 요시코, ▼e 저 |
900 | 1 0 | ▼a Minawa, Yoshiko, ▼e 저 |
900 | 1 0 | ▼a 아제카츠 요헤이, ▼e 저 |
900 | 1 0 | ▼a Azekatsu, Yohei, ▼e 저 |
900 | 1 0 | ▼a 사토 타카히코, ▼e 저 |
900 | 1 0 | ▼a Sato, Takahiko, ▼e 저 |
900 | 1 0 | ▼a 오다 케이지, ▼e 감수 |
900 | 1 0 | ▼a Oda, Keiji, ▼e 감수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1174151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212341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2123663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212366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212366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310496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513483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1174151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212341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2123663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212366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212366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310496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004.6 2015z1 | Accession No. 1513483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한 토대인 ‘IT 인프라’ 구조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 책. 이 책의 저자들은 현장에서 인프라 구축을 담당했던 컨설턴트들이다. 다양한 환경에서 체득한 인프라 기술의 핵심을 포함해서 어떤 식으로 이 책을 집필해야 독자들이 이해하기 쉬울지에 주안점을 뒀다.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해 두면 몰랐던 영역이나 새로운 기술을 접하더라도 그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시스템 전체 구성을 파악하기 쉬워져서 업무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한 토대인 ‘IT 인프라’ 구조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최근 들어 시스템의 고도화, 복잡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인프라 전체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엔지니어는 자신이 담당하는 업무 외의 영역에 대해서 본질적인 구조를 이해할 기회가 거의 없다. 하지만 고성능, 안정성을 추구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한다면 전체를 파악한 후에 담당 영역을 최적화해야 한다.
IT 인프라 전반에 대한 상식을 그림으로 이해하자!
이 책은 시스템이 동작하기 위한 토대인 ‘IT 인프라’ 구조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최근 들어 시스템의 고도화, 복잡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인프라 전체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엔지니어는 자신이 담당하는 업무 외의 영역에 대해서 본질적인 구조를 이해할 기회가 거의 없다. 하지만 고성능, 안정성을 추구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한다면 전체를 파악한 후에 담당 영역을 최적화해야 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현장에서 인프라 구축을 담당했던 컨설턴트들이다. 다양한 환경에서 체득한 인프라 기술의 핵심을 포함해서 어떤 식으로 이 책을 집필해야 독자들이 이해하기 쉬울지에 주안점을 뒀다.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해 두면 몰랐던 영역이나 새로운 기술을 접하더라도 그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시스템 전체 구성을 파악하기 쉬워져서 업무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인프라 엔지니어를 포함해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DB 관리자에게 적극 추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야마자키 야스시(지은이)
오라클에서 사이트 신뢰성 엔지니어(Site Reliability Engineer)로 근무하고 있다. 셸 스크립트로 세계를 정복하려고 한다.
미나와 요시코(지은이)
스윔웨어 주식회사 프로페셔널 서비스 통합 본부에서 비즈니스 솔루션 기획자로 근무하고 있다. 가상화 기반 및 퍼블릭 클라우드 활용을 위한 IT 중장기 계획이나 주부로서의 감각을 살린 ROI 시뮬레이션,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등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의 인프라 본질에 대해 컨설팅하고 있다.
아제카츠 요헤이(지은이)
아마존 웹 서비스 재팬에서 빅데이터 컨설턴트로 근무 중이다. 인터넷 벤처기업에서 개발 및 인프라 운영 등 폭넓게 경험을 쌓은 후 금융 시스템 엔지니어로 일했으며, 주식회사 도완고(DWANGO)에서 DBA 및 개발팀 관리자로 일했다. 전 직장인 일본 오라클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컨설턴트로 금융기관의 핵심 시스템을 설계 및 운용했다. 2017년 4월부터 현 직장인 아마존 재팬에서 근무하고 있다.
사토 타카히코(지은이)
클라우데라(Cloudera)에서 솔루션 엔지니어로 근무 중이다. 애플리케이션이 좋아서 나라 첨단과학기술 대학원대학(NAIST)에서 네트워크를 전공했고, 오라클에서 배운 데이터베이스로 인프라의 매력에 빠졌다. 최근에는 데이터 자체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김완섭(옮긴이)
네덜란드 ITC에서 Geoinformation for Disaster Risk Management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약 9년간 일본과 한국의 기업에서 IT 및 GIS/LBS 분야 업무를 수행했다. 일본에서는 세콤 계열사인 파스코에서 일본 외무부, 국토지리정보원 같은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한 시스템 통합(SI) 업무를 담당했다. 이후 야후 재팬에서 야후 맵 개발 담당 시니어 엔지니어로 근무하다 한국으로 돌아와 SK에서 내비게이션 지도 데이터 담당 매니저로 일했다. 지금은 싱가포르에 있는 일본계 회사에서 은행 관련 IT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으며 저자 및 역자로도 왕성히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나는 도쿄 롯폰기로 출근한다』가 있으며, 역서로는 『알고리즘 도감』, 『처음 만나는 HTML5 & CSS3』, 『인공지능 70』, 『처음 만나는 자바스크립트』, 『다양한 언어로 배우는 정규표현식』,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그림으로 공부하는 시스템 성능 구조』 등 40여종이 있다. 또한 블로그를 통해 IT 번역 관련 이야기와 싱가포르 직장 생활을 소개하고 있다.
오다 케이지(감수)
일본 오라클 주식회사에서 컨설팅서비스사업 총괄 디렉터로 근무. 관리자로 일하면서 IT 노하우 공유와 엔지니어 육성에 힘을 쏟고 있다. 주요 저서로 《그림으로 공부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오라클 설계》, 《그림으로 공부하는 오라클 구조》, 《그림으로 공부하는 OS/저장소/네트워크》, 《44개 안티 패턴으로 배우는 DB 시스템》, 《신 비장의 오라클 현장 기술》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Chapter 1 인프라 아키텍처를 살펴보자 1 1.1 | 시작하며 2 Column 궁극의 아키텍처와 최적의 아키텍처 3 1.2 | 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 4 1.3 |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10 Column 웹은 클라이언트-서버형을 대체할 수 있을까? 14 1.4 |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14 Column 가상화 진행 상황 18 1.5 |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 19 Column 기술은 대물림되고 있다 23 Chapter 2 서버를 열어 보자 25 2.1 | 물리 서버 26 2.2 | CPU 31 2.3 | 메모리 33 2.4 | I/O 장치 36 Column 코드네임의 정체 36 Column 조립 PC 추천 43 2.5 | 버스 43 Column 불사조 InfiniBand 48 2.6 | 정리 49 Chapter 3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51 3.1 | 3계층형 시스템의 구성도 52 3.2 | 주요 개념 설명 53 Column 막대 인간의 모험 57 Column 커널은 결코 견고하지 않다 62 3.3 | 웹 데이터 흐름 63 Column 데이터와 함께 전달되는 당신을 향한 마음 71 Column RDBMS와 KVS의 소리 없는 전쟁 75 Column 높은 하늘을 날다 ― 조감도 78 Chapter 4 인프라를 지탱하는 기본 이론 79 4.1 | 웹 데이터 흐름 80 Column 병렬과 병행 86 4.2 | 동기/비동기 86 Column C10K 문제 93 4.3 | 큐 94 4.4 | 배타적 제어 101 Column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배타적 제어가 어렵다 106 4.5 | 상태 저장/상태 비저장 107 4.6 | 가변 길이/고정 길이 113 4.7 | 데이터 구조(배열과 연결 리스트) 119 4.8 | 탐색 알고리즘(해시/트리 등) 124 Chapter 5 인프라를 지탱하는 응용 이론 133 5.1 | 캐시 134 5.2 | 끼어들기 139 5.3 | 폴링 144 5.4 | 핑퐁 149 5.5 | 저널링 156 Column 변화는 항상 순식간에 일어난다 162 5.6 | 복제 163 5.7 | 마스터-슬레이브 168 5.8 | 압축 172 5.9 | 오류 체크/오류 수정 178 Chapter 6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185 6.1 | 네트워크 186 6.2 | 【기초】 계층 구조란? 187 6.3 | 【기초】 프로토콜이란? 191 Column 표준화 단체에 대해서 194 6.4 | TCP/IP를 이용하고 있는 현재의 네트워크 196 6.5 | 【레이어 7】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 HTTP 199 Column 한 번 잡으면 놓아주지 않는다 204 6.6 | 【레이어 4】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 205 Column 인터넷의 주인은 누구? 207 6.7 | 【레이어 3】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IP 216 Column IP 주소 고갈과 IPv6 221 Column IP 헤더에서 체크섬이 사라진 날 224 6.8 | 【레이어 2】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 이더넷 224 6.9 | TCP/IP를 이용한 통신 이후 231 Column NIC의 끼어들기와 패킷 처리 235 Chapter 7 무정지를 위한 인프라 구조 237 7.1 | 안정성 및 이중화 238 Column 장애 보호 240 7.2 | 서버 내 이중화 241 7.3 | 저장소 이중화 248 7.4 | 웹 서버 이중화 256 Column 장애 괴담 첫 번째 이야기, ‘벌써 시간이 다 됐어?’ 256 Column DSR(Direct Server Return) 264 7.5 | AP 서버 이중화 265 7.6 | DB 서버 이중화 270 Column 장애 괴담 두 번째 이야기, ‘진단 때문에 죽었다’ 279 7.7 | 네트워크 장비 이중화 279 Column 장애 괴담 세 번째 이야기, ‘브로드캐스트 스톰’ 289 7.8 | 사이트 이중화 290 7.9 | 감시 293 7.10 | 백업 301 7.11 | 정리 305 Chapter 8 성능 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조 307 8.1 | 응답과 처리량 308 Column 가장 중요한 응답 시간은? 311 8.2 | 병목 현상이란? 315 Column CAP 정리를 익혀서 초능력자가 되자 317 Column 병목 현상의 숙명의 적, 데이터베이스 321 8.3 | 3계층형 시스템 그림을 통해 본 병목 현상 321 Column 여유가 있는 노련한 시스템 324 Column C는 자바보다 빠르다? 333 Column 아이들을 공원에서 놀게 하자 341 Column ORDER(N) ? 일인분 나왔습니다 344 Column 대역이 가장 중요한 것일까? 347 8.4 | 정리 354 찾아보기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