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요약
제1장 서론 (김재훈)
제2장 집행과학의 개념과 필요성 (금현섭)
제1절 서론
제2절 정책집행의 의의
1. 정책집행의 개념과 연구 경향
2. 정책집행의 접근법
3. 정책집행의 실패
제3절 집행과학의 의의
1. 집행과학의 개념
2. 집행과학의 성격
제4절 집행과학과 성과관리
1. 목표의 명확화와 공유
2. 강력한 관리: 모니터링과 평과(M&E) 중심
3. 고객욕구 중심의 집행
제3장 정부 효율성/효과성 국제비교 (김재훈)
제1절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1. 정부지출의 낭비(wastefulness of government spending)
2. 정부규제의 부담(burden of government regulation)
3. 정부정책결정의 투명성
(transparency of government policymaking)
제2절 세계경쟁력연감(2013)
제3절 소결
제4장 정책집행 효과성 제고를 위한 과제 (김현준)
제1절 서론
제2절 정책집행 총괄기능의 취약성 극복
제3절 국민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집행 운용기반의 확보
제4절 정보ㆍ자원의 공유를 위한 의사소통체계 확보
제5장 조정과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을 위한 유인체계 (김재훈)
제1절 서론
제2절 모형과 분석 결과
1. 행동제약이 없는 경우의 사전 의사소통
2. 행동제약이 있는 경우의 사전 의사소통
3. 상한이 존재하는 음이 아닌 행동공간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제6장 집행관리의 운영 실제: 영국의 PMDU 사례 (금현섭)
제1절 서론
제2절 영국에서의 집행과학
1. 집행과학(Science of Delivery)
2. 행정개혁으로서의 집행관리
3. 집행관리조직(Delivery or Implementation Unit)
제3절 집행관리과제(PSA)와 집행관리조직(PMDU)
1. PSA(Public Service Agreements)
2. PMDU(Prime Minister''s Delivery Unit)의 설치
3. PSA/PMDU의 확대
제4절 집행관리와 집행관리조직의 특성
1. PMDU의 조직 측면의 특성
2. PMDU의 운영 측면의 특성
제5절 시사점 및 소결
1. 영국 사례로부터의 시사점
2. 소결
제7장 호주의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Centrelink (김현준)
제1절 Centrelink 연구의 의의
1. 의의
2. Centrelink의 등장 배경
제2절 Centrelink의 조직설계와 운영
1. Centrelink의 조직설계상의 특성
2. Centrelink의 조직운영상의 특성
제3절 Centrelink의 거버넌스
1. 책무성(accountability) 확보
2. Centrelink 거버넌스
제4절 Centrelink의 서비스 전달체계
제5절 소결
제8장 결론 및 시사점 (김재훈)
참고문헌
부록1
부록2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