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센서란 무엇인가 = 13
1. 센서의 기본개념 = 13
2. 바이오센서의 기본개념 = 15
3. 바이오센서의 분류 = 17
제2장 화학센서 = 21
1. 화학센서 = 21
2. 전기화학의 기초 = 21
3. 산소센서 = 24
4. 과산화수소 센서 = 26
5. 이온센서 = 27
6. ISFET = 30
제3장 효소센서인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 = 33
1. 효소센서인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 = 33
2. 글루코오스 측정의 필요성 = 33
3. 종래의 글루코오스 분석방법 = 35
4.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에 이용되는 효소 = 36
4.1 단백질 = 36
4.2 효소 = 38
5.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에 이용되는 신호변환소자 = 41
6. 효소 고정화기술 = 41
6.1 물리적 흡착법 = 42
6.2 공유결합법 = 42
6.3 가교화법 = 43
6.4 포활법 = 43
7.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의 구성과 원리 = 44
8. 여러 가지 형태의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 = 48
8.1 배치형(batch type) = 48
8.2 플로형(flow type) = 48
8.3 일회용형 = 51
8.4 미소형 = 51
제4장 당뇨병과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 = 53
1. 당뇨병과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 = 53
2. 당뇨병 = 53
3. 혈당치 측정용 바이오센서의 필요조건 = 56
4. 광검출 1회용 글루코오스 바이오센서 = 60
5. 바이오센서의 의의 = 61
제5장 여러 가지 효소센서 = 63
1. 여러 가지 효소센서 = 63
2. 효소를 바꾼다 = 63
2.1 안페로 페트릭스(전류검출) 바이오센서 = 63
2.2 포텐셜 페트릭스(전류검출) 바이오센서 = 64
3. 신호변환소자를 바꾼다 = 66
3.1 수광소자를 이용하는 바이오센서 = 66
3.2 온도센서를 이용하는 바이오센서 = 69
3.3 ISFET 바이오센서 = 73
4. 복수효소를 사용한다 = 75
4.1 선도센서 = 75
4.2 수크로오스센서 = 76
5. 효소의 조해작용을 이용한다 = 77
제6장 환경계측용 미생물센서 = 79
1. 환경계측용 미생물센서 = 79
2. 수질오염 = 79
3. 미생물 = 80
4. 종래의 DOB 측정법 = 83
5. 미생물센서의 구성과 원리 = 84
6. DOB센서 = 85
7. 여러 가지 미생물센서 = 89
제7장 면역측정용 표면 플라즈마 공명 바이오센서 = 91
1. 면역측정용 표면 플라즈마 공명 바이오센서 = 91
2. 면역반응 = 91
3. 촉매바이오센서와 결합바이오센서 = 96
4. 종래의 면역반응의 측정방법 = 98
4.1 레이저 네페로메트리 = 98
4.2 면역확산법 = 98
4.3 효소항체법 = 99
4.4 라디오 이뮤노악세이 = 100
5. 표면 플라즈마 공명현상 = 100
6. 표면 플라즈마 공명바이오센서의 구성과 원리 = 104
7. 표면 플라즈마 공명바이오센서 장치 = 106
제8장 수정진동 바이오센서 = 113
1. 수정진동 바이오센서 = 113
2. 수정 = 113
3. 미량천칭 = 115
4. 수정진동자 바이오센서의 구성과 원리 = 116
5. 냄새센서 = 120
제9장 유전자 해석과 DNA칩 = 123
1. 유전자 해석과 DNA칩 = 123
2. 게놈, 유전자 및 DNA = 123
3. 종래의 유전자 해석법 = 128
3.1 서든 블롯법 = 128
3.2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 체인 신장정지법 = 131
4. DNA칩의 제작방법 = 134
5. DNA칩의 이용방법 = 136
5.1 발현 해석 = 136
5.2 SNP 검출 = 138
6. DNA칩의 응용 = 140
제10장 테크놀로지를 지탱하는 전자공학 = 143
1. 테크놀로지를 지탱하는 전자공학 = 143
2. 전기에 의한 세포융합과 유전자 도입 = 143
2.1 전기에 의한 세포융합 = 143
2.2 전기에 의한 유전자 도입 = 145
2.3 체세포 복제생물 = 146
3. 파티클건에 의한 유전자변환 작물 = 148
4. 생체 전기현상의 계측 = 151
4.1 뇌파 = 154
4.2 심전도 = 155
4.3 근전도 = 155
4.4 페티크랜프법 = 156
5. 질량분석에 의한 생체 고분자의 분석 = 158
5.1 이온화법 = 159
5.2 SNP 검출 = 161
5.3 SNP 검출 = 163
제11장 바이오센서의 신전개 = 165
1. 바이오센서의 신전개 = 165
2. 미소화학 분석 시스템 = 165
3. 화학증폭형 바이오센서 = 166
4. 생체 모방소자 = 168
5. 단백질 칩(Protein chip) = 170
6. 생물 연료전지 = 171
제12장 전자와 반도체의 센서응용 = 173
1. 전자와 반도체의 센서응용 = 173
2. 반도체 = 173
3. 다이오드 = 178
4. 트랜지스터 = 181
5.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 184
6. 오페암프 = 185
7. 아날로그-디지털변환 = 187
제13장 실용화 된 각종 센서 = 191
1. 생물 분석 = 191
1.1 세균 수 = 191
2. 검출기술(PCR법) = 195
3. 초고속 동정 기술 = 201
제14장 바이오센서에 의한 성분분석 = 207
1. 바이오센서의 원리 = 107
2. 바이오센서의 사용 = 109
3. 품질관리와 바이오센서 = 210
4. 리액터형 바이오센서의 제작 = 215
5. 맛, 냄새의 센싱 시스템 = 215
5.1 미각센서의 개발 = 215
5.2 식품의 식별과 맛의 인식 = 216
제15장 변원성 물질측정과 선단센서 = 217
1. 변원성 = 217
2. 현재 사용되는 변원성 시험 = 219
3. 이후 기대되는 변원성 시험법 = 221
4. Na+ 채널 초고감도 센서(신경성 독) = 222
5. ATPase센서의 응용 = 227
제16장 혈액자기공진 활성요법 치료(BMI) = 235
1. BMI치료의 기초이론 = 235
1.1 무엇을 BMI(혈액자기공진 활성요법)이라 하는가? = 235
1.2 BMI(혈액자기공진 활성요법)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주요 메커니즘 = 235
2. BMI치료의 8대 기능 = 237
3. BMI치료의 일반의학에서의 적용 = 238
4. BMI치료 시 주의 및 반응 = 241
5. BMI 치료프로그램 = 242
6. BMI치료 단계별 요령 = 244
7. BMI채혈, 수혈 주의사항 = 247
8. BMI치료기 작동 요령 = 248
9. 급성 뇌경색 BMI 치료이론 = 249
제17장 21세기에 기대되는 센싱 시스템과 기기분석법 = 255
1. 생체광자 측정을 위한 관증배관 기기분석법 = 255
1.1 기기분석 원리 = 255
1.2 실험대상과 목적 = 255
1.3 기기분석 방법 = 256
1.4 결과 = 258
1.5 데이터에 대한 결론 및 전망 = 260
1.6 총론 = 261
2. 양자물리파동 이론 기기분석법(퀀턴파파) = 262
2.1 양자물리학(파동이론)을 접목한 의료시스템 구축 예 = 262
2.2 양자의학의 진단 원리 = 263
2.3 파동발생장치를 이용한 질병의 치료 = 269
2.4 파동정보-에너지장을 이용한 바이러스 치료 = 270
2.5 물이 갖고 있는 파동정보를 이용한 질병의 치료 = 270
2.6 장기가 가지고 있는 파동정보를 이용한 질병의 치료 = 271
2.7 개인 무의식과 양자의학 치료 = 272
2.8 표면 의식(좋은 마음)과 질병의 치료 = 274
2.9 양자물리학(파동이론)을 접목한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 = 275
3. 21세기 고령화 사회 대비 재택의료시스템 구축 = 276
〈참고문헌〉 = 279
찾아보기 = 281
Index =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