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2012 | |
005 | 20150825135057 | |
007 | ta | |
008 | 150824s2015 ulka 000c kor | |
020 | ▼a 9788959063543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3833745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02 ▼2 23 |
085 | ▼a 302 ▼2 DDCK | |
090 | ▼a 302 ▼b 2013z11 ▼c 4 | |
100 | 1 | ▼a 강준만 |
245 | 1 0 | ▼a 독선 사회 / ▼d 강준만 |
260 | ▼a 서울 : ▼b 인물과사상사, ▼c 2015 | |
300 | ▼a 367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세상을 꿰뚫는 50가지 이론 ; ▼v 4 |
945 | ▼a KLPA | |
949 | ▼a 세상을 꿰뚫는 오십가지 이론 ; ▼v 4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2 2013z11 4 | Accession No. 1212339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상을 꿰뚫는 50가지 이론 시리즈의 네 번째 책. 강준만 교수의 메시지의 한결같다. “자신의 확신을 의심하라!”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대부분 우리 인간이 똑똑함과는 거리가 먼 감정적·습관적 판단에 얼마나 취약하고 허약한가 하는 걸 잘 말해준다. 즉, 우리가 독선을 범해선 안 될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걸 깨닫자는 것이다. 정치 이야기만 나오면 이성이 마비되니, 정치 아닌 다른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한계와 모자람을 인정하자고 꼬드기는 것이다. 그런 우회적 설득 시도를 정치에 접목시킨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될 것이다.
한국 정치의 개혁과 사회적 진보를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건 똑똑해지는 게 아니라 자신의 똑똑함과 확신의 한계를 깨닫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 세력을 쓰레기로 매도하면서 면책 심리를 키우고 반대 세력을 악마화하는 ‘증오 마케팅’으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버릇을 버리는 게 왜 필요한지 생각해보자. 또 정치적 판단을 할 때 인간의 뇌는 이성이 아니라 감정 영역이 작동한다는 걸 인정하고 자신을 되돌아보면서 소통과 타협과 화합의 길로 갈 수 있게끔 노력해보자는 것이다.
왜 ‘독선적인 사람’의 똑똑함은 독약이 될 수 있는가?
우리는 대체적으로 나라가 잘되기 위해서는 국민이 똑똑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국민이 똑똑해진다고 해서 나라가 반드시 잘되는 것일까? 혹시 ‘똑똑해진 사람들’이 자신의 똑똑함을 과신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견해나 생각은 무시하고 자신만 옳다고 생각하는 독선에 빠질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 우리는 인간관계에서 독선적인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 사람이 아무리 똑똑해도 ‘싸가지 없는 인간’이라며 상종하길 꺼린다. 그러나 우리는 정치를 대할 땐 특정 당파 집단의 일원이 되거나 익명성을 얻는 순간 전혀 다른 인간으로 태어난다. 자신이 갖고 있는 어떤 이념이나 당파성의 옹호자가 되면서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노골적으로 경멸감이나 적대감을 드러낸다. 그런 토양에서 정치인이나 논객의 인기는 반대편을 조롱하거나 아프게 만드는 언어를 잘 구사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언론은 “이게 웬 떡이냐” 하는 자세로 그런 증오의 언어를 미주알고주알 열심히 보도하는 ‘증오 상업주의’에 탐닉한다. 지지자들의 환호와 언론의 관심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시대의 논쟁이란 상처를 주고받는 게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젠가 고종석이 잘 지적했듯이, 그런 게임에선 아픔을 느끼는 능력이 가장 모자란 사람이 최후의 승자가 된다. 독선은 이성일까? 아니다. 감성이다. 독선적인 사람의 똑똑함은 독약이 될 수 있다. 소통과 타협과 화합을 원초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이성은 감성의 노예”라고 했는데, 이 말은 갈등이라는 밥을 먹고사는 정치에선 진리에 가깝다. 감성의 지배를 받는 이성의 용량을 아무리 키워봐야 나라가 똑똑해지는 데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왜 한국은 ‘독선 사회’가 되었는가?
거시적으로 보자면, ‘독선 사회’는 ‘다름’을 인정하지 않았던 한국 특유의 사회문화적 동질성이 만든 것이다. 그런데 그게 나쁘기만 했던 건 아니라는 데에 우리의 고민이 있다. 한국 사회는 다양성을 박해하면서 획일성을 예찬해왔기 때문에 전 국민이 ‘전쟁 같은 삶’을 살면서 “잘 살아보세”라는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게 만들 수 있었다. 그래서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로 대변되는 압축성장이 가능했다. 성공과 행복의 기준이 다양했다면, 우리가 그렇게 미친 듯이 일하고 공부할 수 있었을까? 그러나 ‘다름’의 불인정은 물질이 아닌 정신 영역에서는 재앙을 몰고 왔다. 우리는 각기 다른 생각과 소통하고 타협하면서 화합하는 삶을 살아오지 못했다.
물론 독재자들의 독선만이 독야청청했던 독재정권 때문이다. 폭력적 독선에 대항하는 길은 신념적 독선 이외엔 없었다. “싸우면서 닮아간다”는 말은 사실상 “일방적으로 당하면서 독선을 강요당했다”는 걸 표현한 것이지만, 한 번 형성된 체질은 세상이 바뀌어도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가 온갖 갈등과 분란과 이전투구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이유도 바로 그 후유증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세월이 해결해주겠지만, 그렇게 넋 놓고 기다리다간 나라가 망할지도 모르니, 우리는 소통과 타협과 화합을 모색하기 위해 애를 써야만 한다. 우리의 진정한 적은 좌도 우도, 진보도 보수도 아닌, 독선이다.
왜 ‘순수’와 ‘정치’의 만남은 문제가 되는가?
독선이 가장 문제가 되는 영역은 정치다. 왜 그런가? 순수주의자들은 가능성을 추구하는 정치를 이상을 추구하는 종교처럼 대하기 때문에 타협을 거부하는 극단적 강경파로 활약하기 마련이다. 어느 집단에서건 이런 강경파는 소수이지만 지배력을 행사한다. 그들의 강점은 뜨거운 정열과 헌신이기 때문이다. 순수는 독선과 동전의 양면 관계를 이룬다. 순수주의자들은 자신의 순수를 무기와 명분으로 삼아 정쟁을 종교 전쟁으로 몰고 간다. 정치를 혐오하고 저주하는 유권자들은 그런 명쾌한 접근법에 환호한다. 대다수의 유권자들은 정치에 등을 돌린 가운데 그런 소수의 전사들은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정치권 역시 그런 ‘시장 논리’에 굴복한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바로 ‘10대 0’의 정치다.
여야 싸움에서건 같은 당내 싸움에서건, 정치인들은 자신의 정당성을 10, 상대편의 정당성을 0이라고 주장하는 고질병을 앓고 있다. 진실은 7대 3이거나 6대 4이거나 5대 5일 텐데도 언행은 ‘10대 0’에 근거한 과장과 과격과 극단을 치닫는다. 그래야 열성 지지자들의 피를 끓게 만들 수 있다는 생각 또는 그렇게 해온 체질 때문이겠지만, 이게 나중엔 부메랑이 되어 타협의 발목을 잡는다. 양쪽 진영 모두에서 타협을 야합이라고 욕해대니 죽으나 사나 출구가 없는 격돌의 길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순수와 정치가 만나면서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날이 갈수록 우리 언론의 당파성은 심화되고 있다. 날이 갈수록 분열로 온 사회가 찢어지는 ‘사이버발칸화(cyber-balkanization)’는 극단을 치닫고 있다. 상대편을 향해 서로 독선적이라고 손가락질을 해대지만, 피차 역지사지를 하지 않는 독선 공방 속에서 모든 건 권력 쟁탈의 의지로 환원되고 있을 뿐이다.
‘자신의 확신’을 의심하라!
이 책은 강준만 교수가 『감정 독재: 세상을 꿰뚫는 50가지 이론』(2013), 『우리는 왜 이렇게 사는 걸까?: 세상을 꿰뚫는 50가지 이론 2』(2014), 『생각의 문법: 세상을 꿰뚫는 50가지 이론 3』(2015)에 이어 내놓는 ‘세상을 꿰뚫는 50가지 이론’ 시리즈의 4번째에 해당한다. 강준만 교수의 메시지의 한결같다. “자신의 확신을 의심하라!”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대부분 우리 인간이 똑똑함과는 거리가 먼 감정적·습관적 판단에 얼마나 취약하고 허약한가 하는 걸 잘 말해준다. 즉, 우리가 독선을 범해선 안 될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걸 깨닫자는 것이다. 정치 이야기만 나오면 이성이 마비되니, 정치 아닌 다른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한계와 모자람을 인정하자고 꼬드기는 것이다. 그런 우회적 설득 시도를 정치에 접목시킨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될 것이다.
한국 정치의 개혁과 사회적 진보를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건 똑똑해지는 게 아니라 자신의 똑똑함과 확신의 한계를 깨닫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 세력을 쓰레기로 매도하면서 면책 심리를 키우고 반대 세력을 악마화하는 ‘증오 마케팅’으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버릇을 버리는 게 왜 필요한지 생각해보자. 또 정치적 판단을 할 때 인간의 뇌는 이성이 아니라 감정 영역이 작동한다는 걸 인정하고 자신을 되돌아보면서 소통과 타협과 화합의 길로 갈 수 있게끔 노력해보자.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준만(지은이)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송건호언론상을 수상하고, 2011년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국의 저자 300인’, 2014년에 『경향신문』 ‘올해의 저자’에 선정되었다. 저널룩 『인물과사상』(전33권)이 2007년 『한국일보』 ‘우리 시대의 명저 50권’에 선정되었고, 『미국사 산책』(전17권)이 2012년 한국출판인회의 ‘백책백강(百冊百講)’ 도서에 선정되었다. 2013년에 ‘증오 상업주의’와 ‘갑과 을의 나라’, 2014년에 ‘싸가지 없는 진보’, 2015년에 ‘청년 정치론’, 2016년에 ‘정치를 종교로 만든 진보주의자’와 ‘권력 중독’, 2017년에 ‘손석희 저널리즘’와 ‘약탈 정치’, 2018년에 ‘평온의 기술’과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2019년에 ‘바벨탑 공화국’과 ‘강남 좌파’, 2020년에 ‘싸가지 없는 정치’와 ‘부동산 약탈 국가’, 2021년에 ‘부족주의’ 등 대한민국의 민낯을 비판하면서 한국 사회의 이슈를 예리한 시각으로 분석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공감의 비극』, 『정치 무당 김어준』, 『퇴마 정치』, 『반지성주의』, 『정치적 올바름』, 『엄마도 페미야?』, 『정치 전쟁』, 『좀비 정치』, 『발칙한 이준석』, 『단독자 김종인의 명암』, 『부족국가 대한민국』, 『싸가지 없는 정치』,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부동산 약탈 국가』, 『한류의 역사』, 『쇼핑은 투표보다 중요하다』, 『강남 좌파 2』, 『바벨탑 공화국』,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평온의 기술』, 『약탈 정치』(공저), 『손석희 현상』, 『박근혜의 권력 중독』, 『힐러리 클린턴』, 『도널드 트럼프』, 『전쟁이 만든 나라, 미국』, 『정치를 종교로 만든 사람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싸가지 없는 진보』, 『감정 독재』,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 『갑과 을의 나라』, 『증오 상업주의』,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책』(전23권), 『한국 근대사 산책』(전10권), 『미국사 산책』(전17권) 외 다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왜 우리는 독선에 중독되었는가? _ 005 제1장 언어의 신비와 함정 01 왜 우리는 ‘왜냐하면’에 쉽게 넘어가는가? 왜냐하면 효과 _025 02 왜 매년 15만 명이 자신의 이름을 바꾸는가? 이름 효과 _031 03 왜 우리는 대화를 하면 상황이 나아질 거라고 착각하는가? 메라비언의 법칙 _037 04 왜 페미니스트는 일부 남성의 적이 되었는가? 본질주의 _042 05 왜 날이 갈수록 ‘~처럼’이라고 말하는 게 위험해지나? 유추의 오류 _047 제2장 콤플렉스의 독재 06 왜 우리는 ‘개천에서 난 용’ 신화를 포기하지 않는가? 앨저 콤플렉스 _055 07 왜 근육질 몸매를 과시하는 식스팩 열풍이 부는가? 아도니스 콤플렉스 _061 08 왜 인간은 몸을 길게 보이려고 애를 쓰는 동물과 다를 바 없나? 하이티즘 _067 09 왜 정치인들은 대형 건축물에 집착하는가? 거대건축 콤플렉스 _073 10 왜 세계적인 마천루는 아시아·중동 지역에 몰려 있나? 마천루 콤플렉스 _079 제3장 증후군 또는 신드롬 11 왜 여배우 엠마 왓슨은 자신을 사기꾼처럼 여기는가? 가면 증후군 _087 12 왜 사이버공간은 관심을 받기 위한 아수라장이 되었나? 뮌하우젠 증후군 _092 13 왜 한국 정치는 ‘리셋 버튼’ 누르기에 중독되었는가? 리셋 증후군 _097 14 왜 한국의 가족주의를 ‘파시즘’이라고 하는가? 빈 둥지 신드롬 _103 15 왜 우리는 ‘자신 속의 아이’에 빠져드는가? 피터팬 신드롬 _109 제4장 지능과 고정관념 16 왜 인간의 평균 IQ는 30년 만에 20점이나 올랐는가? 플린 효과 _117 17 왜 인간을 한 가지 지능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되는가? 다중 지능 _122 18 왜 무식한 대통령이 훌륭한 지도자가 될 수 있는가? 감성 지능 _129 19 왜 고정관념에 세금을 물려야 하는가? 고정관념 _135 20 왜 지능의 유연성을 믿으면 학업성적이 올라가는가? 고정관념의 위협 _141 제5장 능력과 경쟁 21 왜 ‘능력주의’는 불공정하며 불가능한가? 능력주의 _149 22 왜 경쟁은 우리의 종교가 되었는가? 초경쟁 _154 23 왜 성공한 사람들이 자살을 할까? 지위 불안 _161 24 왜 기업과 정치는 피 튀기는 싸움에만 몰두하는가? 블루오션 _167 25 왜 한국 TV드라마는 방송 당일까지 촬영하고 방송 직전까지 편집할까? 붉은 여왕 이론 _173 제6장 우연과 확률 26 왜 우연은 준비된 자에게만 미소 짓는가? 세렌디피티 _181 27 왜 ‘우연한 발견의 즐거움’이 누군가에겐 악몽이 될 수도 있나? 디지털 세렌디피티 _186 28 왜 마이클 조던은 흑인 청소년들에게 해악을 끼쳤는가? 기저율 무시 _193 29 왜 동전을 6번 던지면서 앞뒤가 반반씩 나오길 기대하나? 작은 수의 법칙 _199 30 왜 우리는 집단의 특성으로 개인을 평가하는가? 통계적 차별 _205 제7장 공동체와 다양성 31 왜 대형마트가 들어선 지역의 투표율은 하락하는가? 사회적 자본 _213 32 왜 동성애자가 많은 지역에서 첨단산업이 꽃을 피우는가? 게이 지수 _219 33 왜 독일은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우승할 수 있었는가? 필수적 다양성의 법칙 _225 34 왜 친구가 해준 소개팅은 번번이 실패할까? 약한 연결의 힘 _230 35 왜 ‘최고 이의 제기자’가 필요한가? 악마의 변호인 _237 제8장 소수와 다수 36 왜 세상은 자꾸 ‘20대 80의 사회’로 가는가? 파레토의 법칙 _243 37 왜 1,000개의 단어만 알아도 75퍼센트의 일상대화를 이해할 수 있나? 지프의 법칙 _249 38 왜 어떤 기업들은 소비자를 일부러 쫓아내려고 애쓰는가? 디마케팅 _255 39 왜 1퍼센트의 사람들이 전체 조직을 뒤흔들 수 있는가? 1퍼센트 법칙 _260 40 왜 꼬리가 머리 못지않게 중요해졌을까? 롱테일 법칙 _267 제9장 공포·분노·충동 41 왜 결정을 내리는 걸 두려워하는가? 결정공포증 _275 42 왜 ‘마녀사냥’이 일어나는가? 도덕적 공황 _280 43 왜 폭력의 공포에 떠는 사람들은 정치적으로 보수화되는가? 배양효과 이론 _287 44 왜 미국 정부가 9·11 테러를 공모했다고 믿는가? 음모론 _294 45 왜 양극화 해소를 더이상 미루어선 안 되는가? 야성적 충동 _301 제10장 위험과 재난 46 왜 작은 변화가 예측할 수 없는 엄청난 결과를 낳는가? 나비효과 _311 47 왜 극단적인 0.1퍼센트의 가능성이 모든 것을 바꾸는가? 블랙 스완 이론 _317 48 왜 우리는 재앙의 수많은 징후와 경고를 무시하는가? 하인리히 법칙 _323 49 왜 사고는 반드시 일어나게 되어 있는가? 정상 사고 _331 50 왜 재난은 때로 축복일 수 있는가? 재난의 축복 _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