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1853 | |
005 | 20220808090043 | |
007 | ta | |
008 | 150821s2013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724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289590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373.0114 ▼2 23 |
085 | ▼a 373.0114 ▼2 DDCK | |
090 | ▼a 373.0114 ▼b 2013 | |
245 | 2 0 | ▼a (중등학교 인성교육을 이끌어가는) 도덕수업, 어떻게 해야 할까? / ▼d 박병기 [외]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3 | |
300 | ▼a 388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공저자: 김국현, 김민재, 김동창, 이철훈, 신희정, 양현주, 이슬비, 이연수, 박지혜, 이인화, 김은미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병기, ▼e 저 ▼0 AUTH(211009)50979 |
700 | 1 | ▼a 김국현, ▼e 저 ▼0 AUTH(211009)30014 |
700 | 1 | ▼a 김민재, ▼e 저 ▼0 AUTH(211009)82619 |
700 | 1 | ▼a 김동창, ▼e 저 ▼0 AUTH(211009)95742 |
700 | 1 | ▼a 이철훈, ▼g 李哲勳, ▼e 저 ▼0 AUTH(211009)108854 |
700 | 1 | ▼a 신희정, ▼e 저 ▼0 AUTH(211009)50046 |
700 | 1 | ▼a 양현주, ▼e 저 ▼0 AUTH(211009)95881 |
700 | 1 | ▼a 이슬비, ▼e 저 ▼0 AUTH(211009)23953 |
700 | 1 | ▼a 이연수, ▼e 저 ▼0 AUTH(211009)118649 |
700 | 1 | ▼a 박지혜, ▼e 저 ▼0 AUTH(211009)14315 |
700 | 1 | ▼a 이인화, ▼e 저 ▼0 AUTH(211009)36875 |
700 | 1 | ▼a 김은미, ▼e 저 ▼0 AUTH(211009)50045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3.0114 2013 | 등록번호 11174065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1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주로 ‘도덕수업’이라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을 전제로 해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해온 지난한 과정의 산물이다. 도덕수업은 물론 도덕 교과를 전제로 해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지칭하는 개념이지만, 동시에 학교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활동들을 배제하지 않는 개념이기도 하다. 이는 도덕수업을 중심에 두고 다른 교과와 교과 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거나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도덕교육 활동을 포괄하는 관점을 전제로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 학교는 안녕한가? 이 뜬금없는 질문은 우선 우리들을 당황하게 만든다. 학교가 안녕한가라고 묻다니 도대체 무슨 의도를 갖고 던지는 질문인지 하는 의구심이 생기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 과연 안녕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는 망설임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그렇지만 조금만 주변을 살펴보면 이런 물음들이 이미 낯설지 않게 되었음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교실 붕괴나 교권 추락, 학생 자살 같은 불유쾌한 말들이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바로 우리 이야기가 되어 가까이에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문제들이 지니는 절박성에 비하면 대안과 대응책은 늘 느리거나 초점을 벗어나곤 해서 별다른 반응을 얻어내지 못한 채 짧은 시간 안에 사라지고 만다. 어떤 정권이 들어서도 늘 교육의 변화와 개혁을 말했지만,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는 보고는 접하기 어렵고 오히려 더 나빠졌다는 지표와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고 보면 교육 문제는 특정 정권의 힘만으로 어찌해볼 수 없는 거대하고 복잡한 문제임이 이미 입증된 셈이다. 그럼 우리에게는 어떤 대안이 남아있을까?
이 책은 주로 ‘도덕수업’이라는 특정한 시간과 공간을 전제로 해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해온 지난한 과정의 산물이다. 도덕수업은 물론 도덕 교과를 전제로 해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지칭하는 개념이지만, 동시에 학교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활동들을 배제하지 않는 개념이기도 하다. 이는 도덕수업을 중심에 두고 다른 교과와 교과 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거나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도덕교육 활동을 포괄하는 관점을 전제로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과라는 학문공동체 구성원들이다. 그중에는 도덕과 교육학(道德科 敎育學)이라는 실천학문을 전공으로 삼아 대학에서 강의하는 사람들도 있고, 대학원생이라는 이름으로 주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중등학교 현장에서 도덕과 윤리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도 있다. 우리들의 문제의식은 일차적으로 어떻게 하면 중등학교 도덕수업을 전문성을 가지고 해낼 수 있을까에 맞춰져 있지만, 더 나아가 그것을 제대로 해낼 수 있다면 도덕교육과 인성교육 전반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도 함께 지니고 있다.
불교와 유교를 전통으로 지녀온 동아시아 문화권의 독특하면서도 보편적인 도덕교육적 접근인 도덕 교과는 도덕교사와 도덕 교과서를 전제로 하는 독립된 도덕수업으로 구체화된다. 도덕수업은 그런 점에서 도덕 교과의 정점인 동시에 학교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출발점이자 귀결점이기도 하다. 특히 도덕수업에 주목해야만 하는 이유는 그것이 전문성을 갖춘 도덕교사에 의해 이끌어질 것이라는 기대 위에 서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덕수업의 전문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도덕교사의 전문성은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그것은 또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일까? 이 책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학문공동체의 답을 모색하는 한 과정의 중간 결산물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우리는 이 책의 제 1부를 통해서 도덕교사의 삶과 도덕수업의 전문성이 무엇인지를 명료화하면서 동시에 ‘평가’라는 렌즈를 통해서 그 전문성의 영역을 재구성하고자 했다. 그런 후에 도덕교사의 눈으로 현재 우리 중등학교의 교실 상황과 도덕수업 상황을 질적인 방법론에 주로 의존하면서 그려보고자 했다.
제 2부는 도덕수업의 전문성을 주로 도덕수업의 목표를 중심으로 구체화하는 노력을 하는 부분이다. 우리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도덕수업의 주요 목표로 수용되고 있는 ‘도덕적 성찰함’(4장)과 ‘도덕적 탐구 능력 함양’(5장)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만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한편, 미국의 도덕 심리학자인 레스트(J. Rest)의 도덕성 구성요소 이론에서 제시된 ‘도덕적 민감성’(7장)과 ‘판단력’(6장), ‘동기화’(7장) 및 ‘품성’(8장)이라는 네 가지 구성요소를 도덕수업을 통해 어떻게 길러줄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있기도 하다. 제 2부는 그런 점을 고려하여 이론적 배경과 수업 사이의 연결고리에 주목하고자 했다.
제 3부는 도덕수업의 전문성을 어떻게 하면 구현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 좀 더 실천적인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는 그런 이유로 이론적인 논의와 배경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실제 도덕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기법들을 제안해 보고자 노력했다. 특히 ‘사회적 쟁점을 활용하는 도덕수업’(9장), ‘윤리학 고전을 활용하는 도덕수업’(10장), ‘배움과 돌봄의 도덕 공동체를 지향하는 도덕수업’(11장), ‘프로젝트형 도덕수업’(12장), ‘철학함을 위한 도덕수업’(13장) 등으로 구체화하여 학교 현장의 도덕교사들이 직접 활용해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해보려고 하였다.
2부와 3부가 이렇게 차별화된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유기적인 연관성 속에서 ‘전문가로서의 도덕교사’와 ‘도덕수업의 전문성’이라는 화두를 공유하고 있고, 더 나아가 1부와의 연결고리 속에서 중등학교 전반의 인성교육을 이끌어가는 도덕수업과 도덕교사라는 목표점을 공유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은 이 책을 구상한 박병기와 김국현이 책임 집필자가 되어 출간한 <도덕수업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인간사랑, 2011)에서 이미 시작되었고, 본서의 자매편으로 출간되는 <도덕과 평가의 9가지 레시피>(교육과학사, 2013)와도 이어지고 있다.
이 책은 집필에 참여한 모든 필자들의 노력이 모아진 결과물이지만, 그 과정에서 특히 원고 수합과 편집에 중요한 역할을 한 김민재 박사의 노력과 각각 2부와 3부의 편집 책임을 맡은 김은미, 김동창 선생의 노력이 돋보였음을 기억하고 싶다. 아직 완성도에 있어서는 많이 부족하지만, 우리의 문제의식과 참여의식만은 완성도가 높았다는 사실에 위안을 느끼면서 도덕수업과 도덕교육, 더 나아가 중등학교 인성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들은 물론 학부모들과 도덕교육학자들, 교육정책가들에게 이 책이 현장의 문제의식과 학문공동체 사이의 연결고리를 모색하고자 노력한 것임을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다. 모쪼록 읽는 분들의 우정 어린 충고와 질책을 기꺼이 기다리고자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여는 글 = 3 Part 1 도덕교사의 전문성과 도덕수업 Chapter 01 도덕교사의 삶, 도덕수업의 전문성 = 13 1. 교사의 일상과 실존(實存) = 14 2. 도덕수업의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 17 3. 이 책을 통해 함께 나누고 싶은 화두들 = 21 Chapter 02 윤리학적 접근을 구현하는 도덕교사의 수업 및 평가 전문성 = 27 1. 들어가는 말 = 28 2. 도덕과 교육은 무엇을 지향하는가? = 29 3. 도덕교사의 수업과 평가에 대한 전문성 = 32 Chapter 03 도덕교사가 바라보는 도덕수업, 도덕교사가 바라는 도덕수업 = 53 1. 들어가는 말 : 불난 집과 웃픈 현실 = 54 2. 아이들의 도덕적 수준과 발달 단계 바로보기 = 60 3. 도덕적 정체성 찾아주기 = 67 4. 도덕적 정서와 실천이 있는 도덕수업 = 70 5. 맺는말 : 궁하면 변해야 한다(窮則變) = 76 Part 2 도덕교육의 목표를 구현하는 도덕수업 Chapter 04 ''도덕적 성찰함''을 길러주는 도덕수업 = 81 1. 들어가는 말 : 이 시대의 도덕교사의 삶에서 온 성찰 메시지 = 82 2. 도덕교사가 ''지금, 여기에서'' 학생들을 도덕적으로 성찰하는 삶으로 이끌어야 하는 이유 = 85 3. 도덕적 성찰함을 길러주기 위한 도덕수업의 전제 = 91 4. 수업의 실제와 활용 시 유의할 점 = 94 5. 맺는 말 : 성찰과 탐구의 변주곡으로서의 도덕수업 = 107 Chapter 05 ''도덕적 탐구 능력''을 길러주는 도덕수업 = 111 1. 들어가는 말 = 112 2. 도덕적 탐구의 필요성 = 112 3. 도덕적 탐구의 의미 = 115 4. 수업시간 속 도덕적 탐구 = 121 5. 맺는 말 : 도덕적 탐구가 나아갈 방향 = 140 Chapter 06 ''도덕적 판단력''을 길러주는 도덕수업 = 143 1. 들어가는 말 = 144 2. 도덕적 판단력 수업의 이론적 배경 = 145 3. 도덕적 판단력을 길러주는 도덕수업의 교육적 효과 = 158 4. 도덕적 판단력을 길러주는 도덕수업 사례와 활용 시 유의점 = 160 5. 맺는 말 = 172 Chapter 07 ''도덕적 민감성''과 ''동기''를 길러주는 도덕수업 = 175 1. 들어가는 말 = 176 2. 수업모형 구안을 위한 경험적 연구 = 178 3. 수업의 이론적 배경 = 188 4. 수업모형의 구안과 그 실제 = 192 5. 맺는 말 : 코치이자 선수로서의 도덕교사 = 199 Chapter 08 ''도덕적 품성''을 길러주는 전통 도덕수업 = 203 1. 들어가는 말 = 204 2. 도덕교육의 지향점으로서 ''도덕적 품성'' = 205 3. 도덕적 품성의 함양을 위한 전통 도덕수업 : 강(講)과 놀이 = 211 4. 전통 도덕수업의 현대적 적용과 유의점 : 강(講)을 중심으로 = 218 5. 맺는 말 = 219 Part 3 도덕수업의 전문성을 살리는 기법들 Chapter 09 ''사회적 쟁점''을 활용하는 도덕수업 = 237 1. 들어가는 말 = 238 2. 쟁점 중심 수업모형의 이론적 배경 = 239 3. 쟁점 중심 도덕과 토론수업의 과정 = 241 4. 쟁점을 활용한 도덕과 토론수업의 실제 = 251 5. 맺는 말 = 258 Chapter 10 ''윤리적 고전''을 활용하는 도덕수업 = 261 1. 들어가는 말 = 262 2. 도덕수업 내 ''윤리학 고전''의 활용 방향 = 263 3. ''윤리학 고전''을 활용하는 도덕수업의 실제 = 272 4. ''윤리학 고전''을 활용하는 도덕수업의 응용 방안 = 279 5. 맺는 말 = 284 Chapter 11 배움과 돌봄의 ''도덕 공동체''를 지향하는 도덕수업 = 289 1. 들어가는 말 : 도덕교사의 고민 = 290 2. ''도덕 공동체'' 구축을 위한 일련의 연구 = 292 3. ''배움의 공동체''를 위한 수업전략 = 298 4. ''배움의 공동체''를 위한 수업의 실제 = 303 5. 맺는 말 : 도덕교사의 다짐 = 308 Chapter 12 ''프로젝트형'' 도덕수업 = 311 1. 들어가는 말 = 312 2. 도덕적 행동을 위한 수업의 이론적 배경 = 314 3. ''201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프로젝트형 인성교육의 이론적 배경 = 318 4. 프로젝트형 도덕수업의 사례 = 324 5. 스토리텔링을 활요한 프로젝트형 도덕수업 사례 = 328 6. 도덕적 가치 탐구 프로젝트를 위한 교수ㆍ학습지도안 = 333 7. 프로젝트형 도덕수업의 교육적 효과 = 337 8. 맺는 말 = 341 Chapter 13 ''철학함''을 위한 도덕수업 = 345 1. 들어가는 말 = 346 2. ''철학함''을 위한 도덕수업의 이론적 배경 = 348 3. ''철학함''을 위한 도덕수업의 과정 = 351 4. 수업의 실제와 활용 시 유의할 점 = 358 5. 맺는 말 = 367 닫는 글 = 371 미주 = 375 찾아보기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