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41831 | |
005 | 20190718145226 | |
007 | ta | |
008 | 150821s2013 ggka b 000c kor | |
020 | ▼a 978892540746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324916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370.118 ▼2 23 |
085 | ▼a 370.118 ▼2 DDCK | |
090 | ▼a 370.118 ▼b 2013 | |
100 | 1 | ▼a 신재한 ▼0 AUTH(211009)61549 |
245 | 1 0 | ▼a 창의ㆍ인성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전략 : ▼b 창의ㆍ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별 수업 컨설팅 / ▼d 신재한, ▼e 김현진, ▼e 오동환 지음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3 ▼g (2016 3쇄) | |
300 | ▼a 395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 393-395 | |
700 | 1 | ▼a 김현진, ▼e 저 ▼0 AUTH(211009)14179 |
700 | 1 | ▼a 오동환, ▼e 저 ▼0 AUTH(211009)56158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0.118 2013 | Accession No. 1118122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0.118 2013 | Accession No. 1117406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초등 교육에서 창의ㆍ인성교육은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초등학교 선생님들은 지금도 다양한 교재 연구들을 통해 더 나은 수업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실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피드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본 교재는 교육부 창의ㆍ인성교육 수업 모델 연구진, 창의인성 교과연구회 등 관심과 실력을 가진 교육 전문가들이 집필진으로 참여하여 제1부에서는 창의ㆍ인성교육의 이해를 소개하였고, 제2부에서는 교실 속에서 이루어지는 초등 교과교육에 대한 다양한 창의ㆍ인성 교육 방법에 대한 실제를 소개하고 있다.
지난 40년간 추진해온 추격형 경제 전략이 한계에 봉착함으로써 창의와 융합을 근간으로 하는 창조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존 호킨스(John Howkins)가 “지식ㆍ정보 사회가 객체인 지식ㆍ정보에 중점을 둔 반면, 창조경제는 ‘사람의 아이디어’를 강조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창조경제에서 ‘사람’은 국가혁신역량 강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간, 정부는 ‘창의성ㆍ인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ㆍ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으나 교육 환경은 여전히 바뀌지 않고 있다. 입시ㆍ경쟁 위주의 교육으로 교육 현장에서 창의인재 양성은 곤란하며 불경기로 인한 취업난에 따라 ‘안정적 직장’ 선호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대학생들은 학과공부보다 스펙 쌓기에 치중하고 있으며, 우수인재의 글로벌 유ㆍ출입도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또한, 학벌 위주의 채용문화가 기업에 잔존하고 있으며, 아이디어, 창의성, 능력 등이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개선하고자 ’13. 6월 발표된 ‘창조경제 실현계획’의 부문별 계획으로서 전략 4. ‘꿈과 끼, 도전 정신을 갖춘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창조경제를 견인할 창의인재 육성 방안」을 수립하였다.
대부분의 교육 전문가들은 미래인재들의 핵심역량으로 ‘창의성’과 ‘인성’ 혹은 이들이 ‘융합된 역량’을 꼽고 있다. 글로벌 지식사회에서는 창의성뿐 아니라 더불어 살 줄 아는 능력이 요구되는 ‘창의성’과 ‘인성’을 함께 갖춘 인재상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창의성을 ‘새롭고 가치 있는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역량’이라고 정의한다면 인성은 ‘창의성을 사회 속에서 의미 있게 발현시킬 수 있는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창의ㆍ인성교육은 어디선가 갑자기 나타나서 새롭게 시행되는 것이 아니고 기존의 교수-학습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조금 더 창의적이며 그 과정상에서 바른 생각을 갖으며 학습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등 교육에서 창의ㆍ인성교육은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초등학교 선생님들은 지금도 다양한 교재 연구들을 통해 더 나은 수업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실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피드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본 교재는 교육부 창의ㆍ인성교육 수업 모델 연구진, 창의인성 교과연구회 등 관심과 실력을 가진 교육 전문가들이 집필진으로 참여하여 제1부에서는 창의ㆍ인성교육의 이해를 소개하였고, 제2부에서는 교실 속에서 이루어지는 초등 교과교육에 대한 다양한 창의ㆍ인성 교육 방법에 대한 실제를 소개하고 있다. 끝으로 집필진의 노력으로 인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기꺼이 출판을 허락해주신 출판사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현진(지은이)
교육부 창의인성교육 수업모델 개발 연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술형 평가 핵심교원 2009 개정 교육과정 현장 적합성 검토위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개발위원 비상교육 스마트교육 컨텐츠 자문위원 현)인천해송초등학교 교사
오동환(지은이)
인하대학교 교육학 석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성취수준 현장적합성 검토위원 비상교육 스마트 교육 연수위원 비상교육 초등학교 서술형 평가 문항 출제위원 티처빌 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콘텐츠 개발위원 인천삼목초등학교 교사
신재한(지은이)
-대구교대 국어교육학 학사 -경북대 석,박사(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논문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뇌교육 기반 인성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효과 ·뇌교육 기반 인성계발 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이 청소년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집중력 스톤을 활용한 자석놀이가 초등학생의 집중력과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테니스 운동 경력자와 비경력자의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의 차이 분석 ·두뇌활용능력의 이론 및 원리 탐색 학술연구 ·인성교육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 연구 ·2015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연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장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진로캠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저서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뇌기반 자기주도학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실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전략 ·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자유학기제의 이론과 실제 ·구조중심 협동학습 전략 ·수업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Table of Contents
머리말 3 PART 1 창의・인성교육의 이해 CHAPTER 1 창의・인성교육의 특징 15 1. 창의・인성교육의 개념 16 2. 창의・인성교육의 방향 16 3. 창의・인성교육의 요소 18 CHAPTER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업설계 21 1. 수업설계의 개념 22 2. 수업설계의 접근 방법 23 3. 수업설계의 원리 25 4. 수업설계의 요소 및 절차 26 5. 수업설계의 모형 29 CHAPTER 3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33 1.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학교급별 교육과정 34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방법 38 3. 창의・인성교육 교육 방법 40 4. 창의・인성교육의 수행평가 42 CHAPTER 1 국어과 수업 설계 47 I. 국어과와 창의인성교육 48 1. 국어과와 창의인성요소 48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국어과 수업모형 49 3. 국어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68 II. 국어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1 69 1. 단원명 69 2. 단원 개관 69 3. 단원 목표 70 4. 창의인성중심의 교육과정 융합 71 5.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73 6. 본시 평가 계획 77 부록: 학습지 79 III. 국어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88 1. 단원명 88 2. 단원 개관 88 3. 단원 목표 89 4. 창의・인성 학습 목표 89 5. 단원의 재구성 계획 90 6. 교과 및 창의・인성 평가 계획 92 7.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93 8. 본시 평가 계획 97 부록: 창의・인성 학습지 98 CHAPTER 2 수학과 수업 설계 99 I. 수학과와 창의인성교육 100 1. 수학과와 창의인성요소 100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학과 수업모형 101 3. 수학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110 II. 수학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111 1. 단원명 111 2. 단원 개관 111 3. 단원 목표 111 4. 학습의 흐름 112 5. 수학동화를 활용한 단원의 전개 계획 113 6. 단원의 평가 계획 114 7.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15 부록: 활동 3 학습지 120 III. 수학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123 1. 단원명 123 2. 단원 개관 123 3. 단원 목표 123 4. 창의・인성 학습 목표 124 5. 단원의 구성 계획 124 6. 교과 및 창의・인성 평가 계획 125 7.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26 CHAPTER 3 사회과 수업 설계 129 I. 사회과와 창의인성교육 130 1. 사회과와 창의인성요소 130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사회과 수업모형 131 3. 사회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146 II. 사회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147 1. 단원명 147 2. 단원 개관 147 3. 단원 목표 147 4. 창의・인성 학습 목표 148 5. 단원의 구성 계획 149 6. 창의・인성 중심의 단원 재구성 150 7. 교과 및 창의인성 평가 계획 151 8.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52 부록: 학습지 156 III. 사회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158 1. 단원명 158 2. 단원 개관 158 3. 단원 목표 159 4. 단원의 지도 계획 159 5. 단원 평가 계획 160 6. 단원 학습 구조 162 7.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63 부록: 학습지 168 CHAPTER 4 과학과 수업 설계 169 I. 과학과와 창의인성교육 170 1. 과학과와 창의인성요소 170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과학과 수업모형 171 3. 과학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176 II. 과학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177 1. 단원명 177 2. 단원 개관 177 3. 단원 목표 178 4. 단원의 학습 체계 178 5. 단원의 평가 계획 179 6. 본시 창의・인성 관찰 탐구 학습의 구조 180 7.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81 III. 과학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187 1. 단원명 187 2. 단원 개관 187 3. 단원의 학습 목표 188 4. 주요 학습 내용 및 활동 189 5. 창의・인성 성취 기준 189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90 부록: 학습지 195 CHAPTER 5 영어과 수업 설계 197 I. 영어과와 창의인성교육 198 1. 영어과와 창의인성요소 198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영어과 수업모형 199 3. 영어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210 II. 영어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210 1. 단원명 210 2. 단원 개관 211 3. 단원의 학습 구성 211 4. 차시별 창의・인성 요소 212 5. 학습 단원의 개요 212 6. 평가 계획 213 7.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14 부록: 학습지 219 III. 영어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222 1. 단원명 222 2. 단원 개관 222 3. 단원 학습 목표 222 4. 주요 학습 내용 및 활동 223 5. 본시 평가 계획 224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26 부록: 5. May I Help You 230 CHAPTER 6 체육과 수업 설계 231 I. 체육과와 창의인성교육 232 1. 체육과와 창의인성요소 232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체육과 수업모형 233 3. 체육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244 II. 체육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244 1. 단원명 244 2. 단원 개관 245 3. 단원 목표 245 4. 단원의 지도 계획 246 5. 평가 계획 246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47 III. 체육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251 1. 단원명 251 2. 단원 개관 251 3. 단원의 학습 목표 252 4. 주요 학습 내용 및 활동 252 5. 창의・인성 평가계획 253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55 CHAPTER 7 음악과 수업 설계 259 I. 음악과와 창의인성교육 260 1. 음악과와 창의인성 요소 260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음악과 수업모형 261 3. 음악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265 II. 음악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265 1. 단원명 265 2. 단원 개관 266 3. 단원의 학습 목표 267 4. 주요 학습내용 및 활동 268 5. 창의・인성 평가 계획 269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70 부록: 학습지 274 III. 음악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278 1. 단원명 278 2. 단원 개관 278 3. 통합 단원 목표 279 4. 통합 단원의 지도 계획 279 5. 통합 단원의 평가 계획 280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280 부록: 학습지 286 CHAPTER 8 미술과 수업 설계 289 I. 미술과와 창의인성교육 290 1. 미술과와 창의인성요소 290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미술과 수업모형 291 3. 미술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310 II. 미술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310 1. 단원명 310 2. 단원 개관 311 3. 단원 학습 목표 311 4. 주요 학습 내용 및 활동 312 5. 창의・인성 평가 계획 312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14 부록: 학습지 319 III. 미술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320 1. 단원명 320 2. 단원 개관 320 3. 단원 학습 목표 320 4. 창의・인성 학습 목표 321 5. 창의・인성중심의 단원 재구성 321 6. 창의・인성 평가 계획 321 7.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22 부록: 동기 유발 자료 325 CHAPTER 9 실과 수업 설계 327 I. 실과와 창의인성교육 328 1. 실과와 창의인성요소 328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실과 수업모형 329 3. 실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335 II. 실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336 1. 단원명 336 2. 단원 개관 336 3. 통합 단원 목표 336 4. 통합 단원의 평가 계획 337 5.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38 III. 실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341 1. 단원명 341 2. 단원 개관 341 3. 단원 학습 목표 342 4. 주요 학습 내용 및 활동 342 5. 창의・인성 평가 계획 343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45 부록: 학습지 347 CHAPTER 10 도덕과 수업 설계 349 I. 도덕과와 창의인성교육 350 1. 도덕과와 창의인성요소 350 2.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도덕과 수업모형 351 3. 도덕과에서의 창의인성수업 방법 예시 364 II. 도덕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365 1. 단원명 365 2. 단원 개관 365 3. 단원 학습 목표 365 4. 창의・인성 학습 목표 366 5. 단원의 구성 계획 366 6. 단원 평가 계획 366 7.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67 III. 도덕과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369 1. 단원명 369 2. 단원 개관 369 3. 단원 목표 370 4. 단원의 지도 계획 370 5. 단원 평가 계획 371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72 부록: 학습자료 및 학습지 375 CHAPTER 11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 설계 377 I. 창의적 체험활동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1 378 1. 단원명 378 2. 단원 개관 378 3. 창의・인성 학습 목표 379 4. 단원의 구성 계획 380 5. 독서・재량활동 및 창의・인성 평가 계획 382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83 부록: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 채민석 386 II. 창의적 체험활동 창의인성수업의 실제 2 388 1. 단원명 388 2. 단원 개관 388 3. 단원 학습 목표 389 4. 창의・인성 학습 목표 389 5. 단원 구성 계획 390 6.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91 참고문헌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