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경제통계 입문 = 1
1.1 통계의 개념 = 3
1.1.1. 통계와 국가통계 = 5
1.1.2. 국가통계의 승인 = 5
1.2 통계의 종류 = 7
1.2.1. 조사통계와 보고(행정, 업무)통계 = 7
1.2.2. 1차 통계와 2차 통계(가공통계) = 8
1.2.3. 지정통계와 일반통계 = 10
1.3 경제통계학과 경제통계 = 11
제2장 경제통계의 작성방법 = 15
2.1 자료의 기술 = 17
2.1.1. 자료의 구분 = 17
2.1.2. 자료의 정리 = 20
2.2 조사방법 = 41
2.2.1. 조사와 오차 = 41
2.2.2. 표본규모 = 43
2.2.3. 표본추출 방법 = 45
2.3 시계열과 계절조정 = 51
2.3.1. 시계열과 시계열의 변동요인 = 51
2.3.2. 계절변동조정 = 55
2.4 지수 = 65
2.4.1. 개별지수 = 65
2.4.2. 종합지수 = 65
2.4.3. 연쇄지수 = 70
2.4.4. 주요경제지수 = 72
제3장 물가 및 가계통계 = 77
3.1 물가와 물가지수 = 79
3.2 소비자물가지수 = 82
3.2.1. 소비자물가지수의 작성 = 84
3.2.2. 생활물가지수 및 기타 특수분류지수 = 88
3.2.3. 소비자물가지수의 해석 = 93
3.2.4. 소비자물가지수의 이용과 공포 = 96
3.3 생산자물가지수 = 97
3.4 수출입물가지수 = 101
3.5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지수 = 106
3.6 가계동향조사 = 110
제4장 인구통계 = 117
4.1 인구통계 관련 용어의 정의 = 119
4.1.1. 가구 및 인구 = 119
4.1.2. 인구이동 및 통근/통학 = 124
4.1.3. 고령화사회 = 125
4.2 인구통계 주요지표 = 127
4.2.1. 출생율과 사망률 = 127
4.2.2 혼인율과 이혼율 = 130
4.2.3 고령화 = 131
4.3 인구총조사와 인구동향조사 = 132
4.3.1. 인구총조사 = 132
4.3.2. 인구동향조사 = 151
4.4 생명표 = 158
제5장 고용 및 노동통계 = 169
5.1. 고용 및 노동통계의 조사방법 = 172
5.1.1. 가구조사와 사업체조사 = 172
5.1.2. 고용 및 노동통계의 측정기준 = 173
5.1.3. 고용 및 노동통계의 주요 개념(노동력접근법에 의한 조사의 경우) = 175
5.2 고용 및 노동통계의 주요 지표 = 182
5.2.1. 경제활동참가율 = 182
5.2.2. 취업자 = 184
5.2.3. 실업률 = 184
5.2.4. 고용률 = 188
5.2.5. 불완전 취업자와 구직단념자 = 190
5.3 고용 및 노동통계조사 = 193
5.3.1. 고용통계조사 = 193
5.3.2. 노동통계조사 = 197
5.3.3. 임금통계조사 = 200
제6장 산업구조통계와 동향통계 = 203
6.1 산업구조통계 = 205
6.1.1. 산업구조통계의 종류 = 208
6.1.2. 산업구조통계의 작성현황 = 210
6.2 산업동향통계 = 264
6.2.1. 광업ㆍ제조업동향조사 = 267
6.2.2. 서비스업동향조사 = 275
6.2.3. 건설경기동향조사(2013) = 281
6.2.4. 기계수주동향조사(2014) = 286
6.2.5. 산업동향을 나타내는 가공통계 = 290
제7장 경기통계 = 299
7.1 경기와 경기순환 = 301
7.2 경기종합지수 = 304
7.2.1. 경기종합지수와 구성지표 = 304
7.2.2. 구성지표의 선정방법 = 306
7.2.3. 경기종합지수의 보조지표 = 306
7.3 기업경기실사지수 = 309
7.3.1. 기업경기조사 개요 = 309
7.3.2. 기업경기조사(2014년 6월) 결과 = 310
7.4 소비자동향조사 = 312
7.4.1. 소비자동향조사 개요 = 313
7.4.2. 소비자동향지수 = 314
7.4.3. 소비자심리지수 = 315
7.4.4. 경제심리지수 = 317
제8장 통화금융통계 = 321
8.1 통화금융통계 개요 = 324
8.2 통화통계 = 326
8.2.1. 통화의 정의와 기능 = 326
8.2.2. 통화량과 통화지표 = 327
8.3 금융통계 = 336
8.4 증권ㆍ파생상품시장 통계 = 341
8.4.1. 증권ㆍ파생상품시장 통계 = 341
8.4.2. 종합주가지수 = 342
제9장 국제수지통계와 환율 = 345
9.1 국제수지통계 = 347
9.1.1. 국제수지통계의 의의 = 348
9.1.2. 국제수지표의 작성 기준과 구성 = 349
9.1.3. 우리나라의 국제수지통계 현황 = 351
9.2 국제투자대조표와 대외채권ㆍ채무 통계 = 353
9.2.1. 국제투자대조표 = 354
9.2.2. 대외채권ㆍ채무 통계 = 358
9.3 무역수지와 교역조건 = 361
9.3.1. 무역지수 = 362
9.3.2. 교역조건지수 = 367
9.4 환율 = 369
제10장 국민계정통계 = 373
10.1 국민계정통계 = 376
10.2 국민소득통계 = 378
10.2.1. 국민소득통계 작성 개요 = 379
10.2.2. 국민소득통계의 추계 = 380
10.2.3. 국민소득 통계의 개념 = 385
10.2.4. 국민소득통계를 이용한 경제분석 지표 = 394
10.3 산업연관표 = 404
10.3.1. 산업연관표 개요 = 404
10.3.2. 산업연관표의 구조 = 407
10.3.3. 2010 기준년 산업연관표 작성결과 = 411
10.4 자금순환표 = 412
10.5 국민대차대조표 = 413
10.5.1. 국민대차대조표 개요 = 413
10.5.2. 국민대차대조표의 특성 = 415
10.5.3. 국민대차대조표 편제 결과 = 416
부록 : 통계분포표 = 421
찾아보기 =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