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전자증거법

전자증거법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오기두
서명 / 저자사항
전자증거법 / 오기두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5  
형태사항
viii, 656 p. ; 26 cm
ISBN
9791130326351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9472
005 20150727161936
007 ta
008 150724s2015 ulk 001c kor
020 ▼a 9791130326351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7.519064 ▼2 23
085 ▼a 347.53064 ▼2 DDCK
090 ▼a 347.53064 ▼b 2015
100 1 ▼a 오기두 ▼0 AUTH(211009)103146
245 1 0 ▼a 전자증거법 / ▼d 오기두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15
300 ▼a viii, 656 p. ; ▼c 26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7.53064 2015 등록번호 1117394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오기두(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박사 미국 Yale Law School 초빙 연구원 고려대학교 ICP 최고위정보통신과정 제36기 수료 제30회 사법시험합격, 제20기 사법연수원 수료 1994년 전주지방법원 판사 임관 2003년 헌법재판소 파견 법관 2010년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현 서울동부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 광진구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편 전자증거에 관한 일반론 

제1장 서 론 / 3 

제2장 수사절차상 전자증거의 수집 / 7 
제1절 전자증거 수집의 특징	7 
제2절 전자증거에 대한 임의수사	8 
제3절 전자증거의 압수?수색	10 
1. 개 설	10 
2. 데이터의 압수가능성	11 
3. 영장주의의 적용	19 
4. 압수, 수색의 범위	30 
5. 압수물의 처분	43 
제4절 전자증거에 대한 수사기관의 검증	46 
1. 서 설	46 
2. 실황조사	46 
3. 검증장소의 특정	47 
4. 검증시 피처분자의 컴퓨터 이용 48 
5. 수사기관의 디지털 포렌식 절차	48 
제5절 전자증거의 보전	50 
제6절 컴퓨터 이용자 등의 수사협력의무	53 
1. 문 제 점	53 
2. 피처분자의 컴퓨터 이용 54 
3. 제3자의 컴퓨터 이용 57 
4. 수사상 컴퓨터 전문가의 협력 60 
제7절 전자통신정보의 탐색	63 
1. 서 설	63 
2. 일반 감청에 관한 문제 66 
3. 컴퓨터 통신관련 기본권의 형사소송법상 보장	70 
4. 통신비밀보호법의 규정	89 
5. 결 론	98 

제3장 전자증거를 활용한 공판절차 / 100 
제1절 서 설	101 
1. 전자증거의 특징	101 
2. 전자증거의 분류	101 
제2절 전자증거채택의 전제	103 
1. 요증사실과의 관련성	103 
2. 전자증거의 서면성 104 
3. 전자증거의 작성명의 문제	113 
4. 컴퓨터 출력자료에 관한 문제	119 
제3절 전자증거의 증거능력	124 
1. 서 설	124 
2. 미국의 전자증거법제	125 
3. 우리 형사소송법상 전자증거의 일반적 증거능력	129 
4.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과의 관계	130 
5. 녹음테이프의 증거능력과의 관계	131 
제4절 전문법칙의 예외와 전자증거	135 
1. 서 설	135 
2. 전문증거가 아닌 경우	136 
3. 전자증거와 전문법칙 적용에 관한 미국법상 논의	139 
4. 진술증거인 컴퓨터 기록의 증거능력 
인정을 위한 공통요건	142 
5. 전문증거와 업무기록	143 
6. 현행 형사소송법의 구체적 적용	149 
제5절 전자증거에 대한 증거조사	153 
1. 서 설	153 
2. 일본 학설상의 논의	155 
3. 우리 형사소송법의 해석	158 
4. 전자증거에 대한 증거동의 162 
5. 전자증거와 감정	165 
제6절 전자증거의 증명력	171 
1. 자유심증주의의 적용	171 
2. 법관의 심증형성방법	173 
제7절 법원에 의한 강제처분	175 

제4장 전자증거의 국제적 전송과 형사절차상 대응 / 177 
제1절 서 설 177 
제2절 국가간 컴퓨터 관련범죄 수사	178 
1. 쌍방가벌성원칙의 완화	178 
2. 국외범의 국외수사	179 
제3절 외국정부가 수집한 전자증거	181 
1. 증거조사의 촉탁	181 
2. 증거능력	182 

제5장 결 론 / 184 

제2편 전자증거법론의 분야별 적용 

제1장 전자증거의 관련성과 위법수집증거론 / 193 
제1절 증거의 관련성과 전자증거	193 
1. 서 론	194 
2. 증거의 관련성에 관한 일반론	197 
3. 관련성 요건의 전자증거에의 적용	213 
4. 결 론	222 
제2절 전자증거의 수색?검증, 압수에 관한 
2011년 개정 형사소송법의 함의 224 
1. 전자정보의 수색?검증, 압수에 관하여 개정된 법, 
규칙의 내용	224 
2. 새 제도의 함의	246 
3. 실무상 함의	256 
4. 맺는 말 269 
제3절 주관적 관련성 있는 전자정보만의 수색?검증, 압수	281 
1. 서 론	282 
2. 주관적 관련성의 체계적 지위	283 
3. 현행 법률과 규칙에 대한 검토	293 
4. 주관적 관련성을 특별히 검토해야 할 영역	324 
5. 결 론	331 

제2장 개별 전자기술증거 / 333 
제1절 휴대전화 녹음파일	333 
1. 서 언	336 
2. 이 사건 녹음파일의 기술적, 법적 특성	336 
3. 통신비밀보호 등 기본권과 영장주의	338 
4. 관련성 원칙의 일반론	340 
5. 이 사건에서 위법수집증거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345 
6. 이 사건에서 해당 녹음파일의 증거능력을 
배제해야 하는지 여부(적극)	348 
7. 압수수색영장 집행 참여권 보장	350 
8. 결 론	351 
제2절 이 메 일	352 
1. 판례의 입장	352 
2. 이메일에 대한 탐색 및 압수	352 
제3절 전자금융정보	365 
1. 서 론	365 
2. 금융정보추적시 고려할 사항	368 
3. 수사절차상 금융정보추적	375 
4. 추적된 금융정보의 공판절차상 이용	394 
5. 관련문제	420 
6. 결 론	422 
제4절 전자통신정보	425 
1. 서 론	425 
2. 관련 법령 및 수사기법	427 
3. 미국제도 고찰	436 
4. 전자통신자료 취득에 관련된 헌법 문제	445 
5. 헌법소원심판청구의 적법요건	464 
6. 고지제도에 관하여	472 
7. 결 론	473 
제5절 전자적 위치정보	476 
1. 서 론	477 
2. 위치정보 추적이 문제되는 상황들	481 
3. 미국의 위치정보 추적 관련 법제 및 실무	495 
4. 전자적 위치정보에 관련된 기본권 보장	507 
5. 영장주의와 위치정보 추적 수사활동 제한	518 
6. 전자적 위치정보 추적과 기본권 제한범위	542 
7. 위치정보 추적 수사권 행사에 대한 헌법재판	551 
8. 결 론	557 

제3장 전자증거와 전문법칙 / 559 
제1절 전자증거의 증거능력 인정요건	559 
1. 전자증거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기본 관점 설정	559 
2. 전자증거의 수색?검증, 압수와 
위법수집증거 배제법칙 적용	560 
3. 증거능력 규정상 무결성?동일성의 체계적 지위	564 
4. 논리적 추론 순서	565 
5. 진술내용 자체가 요증사실인 경우	572 
6. 전문증거인 진술증거	574 
7. 결 론 579 
제2절 피고인의 공판정 진술과 전자문서의 진정성립	580 
1. 서 언	580 
2. 풀 이	581 
3. 결 론	627 

판례색인	633 
사항색인	64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