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강 한국어의 기본 성격 / 이익섭
1.1. 들어가기 = 2
1.2. 한국어의 순위 = 2
1.3. 한국어의 장래 = 3
1.4. 외국인의 한국어 공부 = 5
1.5. 한글의 우수성 = 7
1.6. 한글 맞춤법의 특징 = 11
1.7. 한국어 문법의 기본 성격 = 15
제2강 한국어의 유형적 특성 / 고성환
2.1. 머리말 = 20
2.2. 형태론적 특성 = 20
2.3. 통사론적 특성 = 26
2.4. 담화언어적 특성 = 31
제3강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음운론 / 허용
3.1. 머리말 = 40
3.2. 발음의 오류 = 41
3.2.1. 문자와 발음의 관계 = 41
3.2.2. 발음의 혼란 = 42
3.3. 한국어의 모음과 자음 = 45
3.3.1. 모음 = 46
3.3.2. 자음 = 51
3.4 한국어의 음절 = 56
3.5 소리의 변동 = 58
3.5.1. 받침의 발음 = 58
3.5.2. 자음동화(consonant assimilation) = 61
3.5.3. ''ㅎ''의 발음과 변동 = 67
3.5.4. 불규칙 활용 = 68
3.5.5. 구개음화 = 70
3.6. 맺음말 = 71
제4강 한국어의 형태론과 어휘론 / 구본관
4.1. 형태론 = 76
4.1.1.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 = 76
4.1.2. 형태론을 위한 기본 개념들 = 77
4.1.3. 품사 분류와 품사별 특성 = 84
4.1.4. 단어 형성의 원리 = 96
4.2. 어휘론 = 104
4.2.1. 한국어의 어휘적 특성 = 104
4.2.2. 어휘론을 위한 기본 개념들 = 106
4.2.3. 고유어의 특성 = 109
4.2.4. 한자어 및 외래어의 특성 = 112
4.2.5. 한국어 어휘론과 한국어 교육 = 115
제5강 한국어의 문장 성분 / 이홍식
5.1. 도입 = 124
5.2. 주성분 = 125
5.2.1. 주어 = 125
5.2.2. 목적어 = 129
5.2.3. 보어 = 132
5.2.4. 서술어 = 134
5.3. 부속 성분 = 137
5.3.1. 관형어 = 137
5.3.2. 부사어 = 139
5.4. 독립 성분 = 142
5.5. 성분론의 문제 = 145
제6강 한국어 문장의 유형 / 고성환
6.1. 머리말 = 152
6.2. 평서문 = 152
6.3. 감탄문 = 158
6.4. 의문문 = 162
6.5. 명령문 = 166
6.6. 청유문 = 172
제7강 한국어의 조사 / 임동훈
7.1. 조사의 분류 = 178
7.1.1. 격조사 = 178
7.1.2. 보조사 = 183
7.1.3. 접속조사 = 186
7.1.4. 조사의 결합 관계 = 187
7.2. 격조사의 의미와 기능 = 188
7.2.1. 주격 조사 = 188
7.2.2. 목적격 조사 = 190
7.2.3. 관형격 조사 = 191
7.2.4. 처소격 조사 = 193
7.2.5. 도구격 조사 = 196
7.2.6. 공동격 조사 = 198
7.2.7. 호격 조사 = 200
7.2.8. 격조사의 생략과 비실현 = 201
7.3. 보조사의 의미와 기능 = 202
7.3.1. ''은/는, 이야/야'' = 202
7.3.2. ''만, 뿐, 밖에'' = 206
7.3.3. ''도, 까지, 조차, 마저'' = 208
7.3.4. ''이나/나, 이나마/나마, 이라도/라도'' = 210
7.3.5. ''처럼, 만큼, 보다'' = 211
제8강 한국어의 어미 / 임동훈
8.1 어미의 분류 = 216
8.1.1. 음운론적 속성에 따른 분류 = 216
8.1.2. 분포에 따른 분류 = 218
8.1.3. 어말어미의 분류 체계 = 219
8.2. 선어말어미 = 221
8.2.1. 선어말어미의 결합 순서 = 221
8.2.2. 사회적 지시와 {시} = 223
8.2.3. 과거 시제와 {었} = 224
8.2.4. 인식 양태와 {겠} = 226
8.2.5. 증거 양태와 {-더-} = 228
8.2.6. 현재 시제와 {-느-} = 229
8.3. 어말어미 = 231
8.3.1. 어말어미의 식별 = 231
8.3.2. 종결어미 = 232
8.3.3. 연결어미 = 235
제9강 한국어 문장의 기본 구조와 확대 / 박동호
9.1. 문장구조 = 248
9.1.1. 어순 = 248
9.1.2. 기본 문형 = 251
9.2. 문장의 확대 = 252
9.2.1. 접속 = 252
9.2.2. 내포 = 259
제10강 한국어의 역사 / 이호권
10.1. 머리말 = 274
10.2. 한국어의 계통 = 275
10.2.1. 언어의 계통적 분류와 한국어 = 275
10.2.2. 알타이어족과 한국어 = 276
10.3. 한국어의 형성과 시대 구분 = 278
10.3.1. 한국어의 형성 = 278
10.3.2. 한국어사의 시대 구분 = 279
10.4. 고대 한국어 = 280
10.4.1. 고대 한국어의 언어 자료 = 280
10.4.2. 신라어의 특징 = 281
10.5. 중세 한국어 = 283
10.5.1. 한글의 창제 = 284
10.5.2. 음운의 특징 = 288
10.5.3. 문법의 특징 = 291
10.5.4. 어휘의 특징 = 296
10.6. 근대 한국어에서의 변화 = 297
10.6.1. 음운의 변화 = 297
10.6.2. 문법의 변화 = 298
10.6.3. 어휘의 변화 = 299
제11강 한국어의 언어 규범 / 정희창
11.1. 한글 맞춤법 = 304
11.1.1. ''한글 맞춤법''의 원리 = 304
11.1.2. ''한글 맞춤법''의 실제 = 306
11.1.3. 띄어쓰기의 원리 = 314
11.1.4. 자립성과 의존성 = 315
11.1.5. 조사의 띄어쓰기 = 319
11.1.6. 어미와 의존 명사의 띄어쓰기 = 320
11.2. 표준어 = 324
11.2.1. 표준어의 원리 = 324
11.2.2. 표준어의 실제 = 325
11.3.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 327
11.3.1. 외래어 표기법 = 327
11.3.2. 로마자 표기법 =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