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9271 | |
005 | 20160825090951 | |
007 | ta | |
008 | 150724s2015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84115255 ▼g 04100 | |
020 | 1 | ▼a 9788984113503 (세트) |
035 | ▼a (KERIS)BIB000013792098 | |
040 | ▼a 211015 ▼c 244002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001.3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09z1 ▼c 32 | |
100 | 1 | ▼a 엄정식 |
245 | 1 0 | ▼a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 / ▼d 엄정식 지음 |
260 |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15 | |
300 | ▼a 407 p. ; ▼c 23 cm | |
440 | 0 0 | ▼a 석학人文강좌 ; ▼v 32 |
504 | ▼a 참고문헌(p. 399-402)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교육부 주최, 한국연구재단 주관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의 지원을 받아 출판된 책임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09z1 32 | Accession No. 1118289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01.3 2009z1 32 | Accession No. 15132625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09z1 32 | Accession No. 1118289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01.3 2009z1 32 | Accession No. 15132625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사색하는 일이 인간에게 항상 중요하고 모든 시대에 걸쳐서 필요한 것이지만 특히 우리가 살고 있는 격동의 시대에는 매우 절박한 요청이라는 것을 말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격동의 시대에는 조난을 당한 선박에서처럼 모든 것이 제자리를 잃고 요동치게 되므로 우선 각자가 다시 자기 자리를 찾아서 본연의 자세를 유지하고 할 수 있는 일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나 자신은 무수한 인간의 하나일 뿐이며 무한한 우주의 극히 작은 한 부분일 뿐이다. 그러므로 나에 대한 사색은 나의 가족과 사회, 인간과 자연, 혹은 존재 그 자체를 이해하려는 목표의 시발점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책은 우리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사색하는 일이 인간에게 항상 중요하고 모든 시대에 걸쳐서 필요한 것이지만 특히 우리가 살고 있는 격동의 시대에는 매우 절박한 요청이라는 것을 말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격동의 시대에는 조난을 당한 선박에서처럼 모든 것이 제자리를 잃고 요동치게 되므로 우선 각자가 다시 자기 자리를 찾아서 본연의 자세를 유지하고 할 수 있는 일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그것보다 더 긴요한 것은 이 시대가 격동의 시대라는 사실을 자각하는 일이다. 그러한 자각 없이는 이에 대처할 적당한 방법을 강구할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엄정식(지은이)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철학과와 서울대학교 신문대학원을 졸업했으며, 국제 로타리 장학생으로 도미해 웨인 주립대학교 인문학 석사학위와 미시간 주립대학교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아메리카학회 회장, 분석철학회 회장, 철학연구회 회장, 서강대학교 대학원장, 하버드대학교 철학과 풀브라이트 교환교수,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문진포럼 기획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로 활동했다. 현재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지혜의 윤리학』 『비트겐슈타인과 분석철학』 『확실성의 추구』 『분석과 신비』 『철학으로 가는 길』 『자아와 자유』 『비트겐슈타인의 사상』 『철학기행 : 우리는 누구인가』 『당진일기』 『길을 묻는 철학자』 『나루터 가는 길』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_책머리에·5 제 1 장 | 소크라테스적 자아의 인식 I. 머리말·17 II. 소크라테스의 등장과 그 시대적 배경·19 1. 역사적 상황과 그 함축 | 2. 소크라테스의 등장과 자아의 탄생 III. 도덕적 추론과 변증술·48 IV. 철학적 순교와 지식인·58 V. 맺는 말·63 제 2 장 | 과학기술시대와 비판적 합리성 I. 머리말·77 II. 비판적 사고의 형성·80 III. 과학의 이해와 과학의 세 국면 ·90 IV. 과학정신과 비판적 합리성·107 V. 과학적 합리성 비판과 그 수용·120 VI. 맺는 말·130 제 3 장 | 한국의 민족사상과 공동체적 자아 I. 머리말·137 II. 민족 사상과 비판적 종합·139 1. 머리말 | 2. 단군신화와 비판적 종합의 특성 | 3. 불교 사상과 비판적 종합 4. 유교사상과 비판적 종합 | 5. 비판적 종합의 수준과 반성 | 6. 맺는 말 III. 공동체적 자아와 한국민족주의·198 1. 머리말 | 2. 인격체와 인격적 자아 | 3. 공동체와 공동체적 자아의 개념 4. 맺는 말 IV. 한민족의 정체성과 민족적 자아·226 1. 머리말 | 2. 민족적 자아와 일제시대 | 3. 분단시대의 민족적 자아 4. 민족적 자아의 확인과 정립 | 5. 민족현실과 민족적 자아 | 6. 맺는 말 제 4 장 | 행복과 자아의 인식 I. 머리말 ·277 II. 행복의 의미·278 1. 머리말 | 2. 행복과 심리적 만족감 | 3. 행복과 윤리적 당위성 4. 행복과 합리적 인생계획 | 5. 행복과 섭리적 우연성 6. 과학기술과 인간의 행복 | 7. 맺는 말 III. 자아 인식의 구조와 그 한계·315 1. 머리말 | 2. 자아 인식의 구조: 욕구와 능력과 당위 3. 자아 인식의 한계 | 4. 맺는 말 제 5 장 | 종합토론 I.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에 대한 논평·349 II. “선도적 자아의 조건”에 대한 논평·359 III.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에 대한 논평·370 IV. 청중들의 질문·382 _참고문헌·399 _찾아보기·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