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문성화 文盛和, 1961-
Title Statement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 Historical recogniti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Samguksaki and Samgukyusa / 문성화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소명출판,   2015  
Physical Medium
282 p. ; 24 cm
Series Statement
한국연구총서 ;87
ISBN
979118635665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72-275)과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김부식   金富軾,   1075-1151.   三國史記  
일연   一然,   1206-1289.   三國遺事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9138
005 20150725103720
007 ta
008 150723s2015 ulk b 001c kor
020 ▼a 9791186356654 ▼g 93910
035 ▼a (KERIS)BIB000013811840
040 ▼a 222003 ▼c 222003 ▼d 222003 ▼d 211009
082 0 4 ▼a 951.901072 ▼2 23
085 ▼a 953.03072 ▼2 DDCK
090 ▼a 953.03072 ▼b 2015
100 1 ▼a 문성화 ▼g 文盛和, ▼d 1961- ▼0 AUTH(211009)9729
245 1 0 ▼a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 ▼x Historical recogniti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Samguksaki and Samgukyusa / ▼d 문성화 지음
260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15
300 ▼a 282 p. ; ▼c 24 cm
440 0 0 ▼a 한국연구총서 ; ▼v 87
504 ▼a 참고문헌(p. 272-275)과 색인수록
536 ▼a 이 총서는 (재)한국연구원의 학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지급되는 연구비로 출간함
600 1 4 ▼a 김부식 ▼g 金富軾, ▼d 1075-1151. ▼t 三國史記
600 0 4 ▼a 일연 ▼g 一然, ▼d 1206-1289. ▼t 三國遺事
900 1 0 ▼a Mun, Seong-hwa,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3072 2015 Accession No. 11173929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953.03072 2015 Accession No. 1513288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3072 2015 Accession No. 11173929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953.03072 2015 Accession No. 1513288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는 현재 기성세대뿐만 아니라 이제 막 역사를 배우기 시작하는 후손들에게 우리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시키고 가르치기 위해서 이 책을 저술하였다. 흔히 정사와 야사라고 알려져 있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우리 역사서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이 어떠한지를 고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어째서 역사를 바로 알아야 하는가
세계화 시대인 현재에도 세계 곳곳에서 역사왜곡은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 일본의 역사왜곡과 중국의 동북공정은 역사왜곡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모든 것이 변할지라도 역사적 사실은 불변한다. 그렇다고 해서 역사는 우리에게 단순히 지식만을 강요하지도 않는다. 역사는 그 안에서 살아가는 모든 구성원으로 하여금 현실에 대처하는 지혜와 관점을 가지기를 원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역사를 배우고 가르쳐야 할 까닭이 없다. 각각의 민족이나 나라마다 역사의 내용이 다르듯이,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도 반드시 같을 수는 없다. 이것은 마치 지구상의 많은 국가가 민주주의를 정치적 이념으로 삼고 있지만, 현실에서 적용되고 실현되는 모습은 각양각색인 것과 같다.
역사는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힘의 우열에 따라서 진행되고 있으며, 힘이 우월한 쪽은 그 힘을 더욱 키워나가기를 원하고, 힘이 약한 쪽은 자신들을 지배하는 힘으로부터 어떻게든 벗어나기 위해서 힘을 키우고자 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힘의 우열에 따른 세계의 주도권 경쟁은 계속되고 있는 게 현실인데, 자신들의 이익을 최우선시 하지 않는 민족이나 국가가 어디 있겠는가? ‘세계화’라는 구호는 그렇게 시작되고 진행되었으며, 지금도 여전히 세계화는 힘의 논리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상대적으로 우월한 힘의 논리에 바탕을 두고 다른 민족이나 국가에 대해 지배권을 행사해도 된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역사를 왜곡하는 일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바로 이 때문에 역사를 바로 알아야 한다는 역설이 성립하는 것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소명출판, 2015)의 저자는 현재 기성세대뿐만 아니라 이제 막 역사를 배우기 시작하는 후손들에게 우리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시키고 가르치기 위해서 이 책을 저술하였다. 이 책은 흔히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라고 알려져 있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우리 역사서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이 어떠한지를 고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일반적으로 <삼국사기>를 정사라고 하고 <삼국유사>를 야사라고 칭하는데, ‘정사’와 ‘야사’라는 명칭 때문에, 사람들은 <삼국사기>는 정통적인 역사서술의 체계에 따라서 서술된 올바른 역사서이고 <삼국유사>는 개인이 사사로이 서술한 역사서이므로 왜곡된 내용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정사와 야사라는 명칭이 역사서에 기록된 내용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점을 알아야만 한다.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역사인식은 구체적 현실에 대한 객관적 역사서술을 고찰의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과거와 현재가 대상이라면, 역사의식은 객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미래의 역사를 어떻게 전개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멀지 않은 미래의 남북한 ‘통일 역사관 정립을 위한 한국 역사철학의 단초’를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간의 삶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들, 예를 들어 지리, 인간, 정치, 종교 등을 역사의 요소로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분석하면서 심도 있게 다루었다. 그리고 과거와 현재의 ‘역사에 대한 인식’의 문제는 ‘역사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고찰하는 것으로 답을 내리려고 하였다. 또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인용되고 있는 전거(典據)가 지금의 우리에게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역사철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역사의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다시 고찰
이 책이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역사는 ‘미래의식’과 연결되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미래는 현재 존재하는 구체적인 어떤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사유의 활동은 의식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과거의 역사인식에 근거를 두는 ‘역사의식’은 철학적으로 탐구해야만 한다. 역사인식의 대상은 가시적인 반면에, 역사의식의 대상은 비가시적이다. 현재의 인간에 의해 인식된 역사가 미래의 역사와 관련을 맺는다는 것은 필연적이며, 여기에 인간의 의식이 작용하게 된다. 그렇기에 우리는 철저한 자기반성을 해야 할 것이며, 따라서 철학적 사유에 근거하여 역사의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다시 고찰해야 한다.
모든 가치의 기준을 경제적 측면에 두고 있는 오늘날, 설자리를 잃어버린 역사교육은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이것은 과거 사실의 진실성 탐구에만 매몰되어 있는 역사학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역사의 진실성 탐구는 말하지 않아도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은 지금까지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을 새롭게 일깨워 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문성화(지은이)

* 계명대학교 철학과와 동대학원 졸업 (석사) * 독일 뒤셀도르프대학교(Heinrich-Heine-Universitat Dusseldorf) 철학부 졸업 (철학박사) * 現) 계명대학교 Tabula Rasa College 교수 저서 * BERKELEY UND HEGEL - Eine Untersuchung zur logischen Dingkonstitution und zur dialektischen Bewußtseinsdeskription, Dusseldorf 1997 (박사학위 논문) * 버클리의 관념론과 헤겔의 경험론(2019, 계명대학교 출판부) * 백두대간 종주라이딩 로드맵 (2018, 소명출판)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2015, 소명출판) *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기초 (공저, 2014, 계명대학교 출판부) * 논증적 글쓰기 (공저, 2010, 이문출판사) * 교양글쓰기 (공저, 2009, 계명대학교 출판부) * 철학의 눈으로 본 민족사 (2007, 계명대학교 출판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역사, 세계사, 민족사 = 9
 1. 역사란 무엇인가? = 9
 2. 세계사란 무엇인가? = 19
 3. 민족사란 무엇인가? = 26
제2장 역사인식의 문제 = 31
 1. 역사의 시간성 - 통시적(通時的) 역사 = 31
  1)「삼국사기」와 통시적 역사 = 35
  2)「삼국유사」와 통시적 역사 = 42
 2. 역사의 공간성 - 공시적(共時的) 역사 = 50
  1)「삼국사기」와 공시적 역사 = 54
  2)「삼국유사」와 공시적 역사 = 60
 3. 역사의 요소 = 68
  1) 자연연관성과 지리 = 68
  2) 인간 = 80
  3) 정치 = 102
  4) 종교 = 126
 4. 역사와 전거(典據) = 139
제3장 역사의식의 문제 = 153
 1. 역사와 인식론 - 역사해석과 역사이해 = 158
  1)「삼국사기」와 역사해석 = 161
  2)「삼국유사」와 역사이해 = 170
 2. 역사와 인간학 - 역사적 존재로서 인간 = 178
  1)「삼국사기」와 인간존재 = 182
  2)「삼국유사」와 인간존재 = 187
 3. 역사와 실천철학 - 실천의 토대로서 역사 = 194
  1)「삼국사기」와 실천적 역사 = 198
  2)「삼국유사」와 실천적 역사 = 206
 4. 역사와 형이상학 - 역사의 이념 = 213
  1)「삼국사기」와 역사의 이념 = 221
  2)「삼국유사」와 역사의 이념 = 228
제4장 역사학, 역사철학, 역사교육 = 239
 1. 역사학과 역사교육 = 239
 2. 역사철학과 역사교육 = 248
 3. 새로운 역사교육 = 258
참고문헌 = 272
찾아보기 = 27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