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9120 | |
005 | 20150724110413 | |
007 | ta | |
008 | 150723s2015 ulka 000c kor | |
020 | ▼a 9791158580445 (v.2) ▼g 04330 | |
020 | 1 | ▼a 9791158580407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5.0330519 ▼2 23 |
085 | ▼a 355.033053 ▼2 DDCK | |
090 | ▼a 355.033053 ▼b 2015z1 | |
100 | 1 | ▼a 한민국 |
245 | 1 0 | ▼a 한사람을 기다리며 천안함을 고발하다 : ▼b 심리분석으로 파헤친 천안함의 진실과 거짓 / ▼d 한민국 지음 |
260 | ▼a 서울 : ▼b 밥북, ▼c 2015 | |
300 | ▼a 2책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 |
500 | ▼a v.2. 287 p.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33053 2015z1 2 | Accession No. 1117392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천안함 사건 관계자들에 대한 심리분석을 통해서 신뢰도가 높은 증거들을 선정하고, 상기 증거들에 기초해서 천안함 사건의 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분석은 물리적 증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국방부의 천안함 발표에 의문을 제기하는 신상철의 좌초 후 충돌설, 이종인의 좌초설, 그리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가 모두 물리적 증거중심의 접근이다.
이러한 물리적 증거중심의 접근은 국방부가 제시하는 증거들의 모순을 발견하고, 국방부가 주장하는 ‘북한의 어뢰공격에 의한 천안함 침몰’이 허구라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물리적 증거중심의 접근은 국방부가 제시하는 잘못된 물리적 증거의 선택과 함께 천안함 사건을 엉뚱하게 해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자신들이 이미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 ‘국방부가 제시한 물리적 증거’로 천안함 사건을 엉뚱하게 해석한다. 대표적 예로 신상철과 이종인, 그리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가 있다.
이 책은 천안함 사건 관계자들에 대한 심리분석을 통해서 신뢰도가 높은 증거들을 선정하고, 상기 증거들에 기초해서 천안함 사건의 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분석은 물리적 증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국방부의 천안함 발표에 의문을 제기하는 신상철의 좌초 후 충돌설, 이종인의 좌초설, 그리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가 모두 물리적 증거중심의 접근이다. 이러한 물리적 증거중심의 접근은 국방부가 제시하는 증거들의 모순을 발견하고, 국방부가 주장하는 ‘북한의 어뢰공격에 의한 천안함 침몰’이 허구라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물리적 증거중심의 접근은 국방부가 제시하는 잘못된 물리적 증거의 선택과 함께 천안함 사건을 엉뚱하게 해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자신들이 이미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 ‘국방부가 제시한 물리적 증거’로 천안함 사건을 엉뚱하게 해석한다. 대표적 예로 신상철과 이종인, 그리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가 있다.
신상철과 이종인, 그리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는 국민들에게 국방부가 주장하는 천안함 사건의 문제를 전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동시에 국민들에게 천안함 사건에 대한 잘못된 사실을 전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국민들이 생각하는 좌초설은 일반적으로 이종인의 좌초설이며, 국민들이 생각하는 좌초 후 충돌설은 일반적으로 신상철씨의 좌초 후 잠수함 충돌설이다. 그러면 신상철과 이종인, 그리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가 국민들에게 전한 잘못된 주장은 무엇인가?
신상철과 이종인은 2010년 3월 27일 해군이 실종자 가족에게 설명한 해군작전도의 “최초좌초” 지점에서 천안함이 밤 9시 15분에 좌초하고, 이후 국방부가 최종 발표한 지점으로 이동해서 9시 22분에 반파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이러한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증거는 매우 많은데, 핵심증거 2가지만 살펴보자.
첫째, 천안함이 백령도 “최초좌초” 지역에서 좌초한 후에 다시 깊은 바다(국방부가 발표한 반파위치)로 들어갈 이유가 없다. 세상에 해안가에서 좌초한 후에 침수하는 함정을 이끌고 깊은 바다로 나아가는 바보가 있단 말인가? 더구나 신상철은 좌초 후에 함미로 쏟아지는 바닷물의 수압에 의해서 수밀문(탈출로)이 차단되었다고 주장한다. 좌초 후에 함미의 장병들이 바닷물에 곧 사망하는 상황인데, 좌초하는 함정을 이끌고 깊은 바다로 나아간단 말인가? 있을 수 없는 이야기이다.
둘째, 천안함이 백령도 “최초좌초” 지역에서 좌초한 후에 천안함이 표류하면서 국방부가 발표한 반파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사고 당시의 백령도 근해의 조류방향은 남동향인데, 소위 “최초좌초” 지역에서 반파위치로 이동하는 길은 서쪽 방향이다. 천안함이 “최초좌초” 지역에서 표류하는 경우에 반파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신상철과 이종인은 모두 천안함이 “최초좌초” 지역을 빠져나오면서 스크루 프로펠러가 손상되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그 이유는 “최초좌초” 지역을 빠져나오면서 스크루 프로펠러가 손상된 경우에 천안함은 무동력 상태가 된다. 그러나 천안함이 무동력 상태로 표류해서 국방부가 발표한 반파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최초좌초” 지역에서 표류하는 천안함이 조류방향과 다르게 국방부가 발표한 반파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이유에서 2010년 3월 27일 해군이 실종자 가족에게 설명한 백령도 근해의“최초좌초”설명은 사실이 아니며, 상기 해군의 설명에 기초한 신상철과 이종인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신상철과 이종인이 주장하는 것처럼 천안함이 해군이 발표한 “최초좌초” 지역에서 좌초하지 않았다. 또한 해군이 발표한 “최초좌초” 지역에서 좌초한 천안함이 국방부가 발표한 반파위치로 이동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이종인의 좌초설은 사실이 아니며, 또한 신상철의 좌초 후 잠수함 충돌설도 사실이 아니다. 그리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는 신상철과 이종인의 잘못된 주장을 전달한 것이다.
아울러 신상철과 이종인, 그리고 <천안함 프로젝트>가 천안함 사건에 대해서 잘못된 주장을 한 이유는 천안함 사건을 물리적 증거중심으로 접근했기 때문이다. 천안함 관계자들에 대한 심리분석적 이해가 없는 물리적 증거중심의 접근이 매우 위험하다. 국방부가 제시한 물리적 증거들의 홍수에 묻혀서 헤매거나 혹은 조작된 증거를 이용해서 천안함 사건을 엉뚱하게 해석한다. 천안함 사건에 문제를 제기하는 네티즌 역시 국방부가 제시하는 잘못된 물리적 증거들에 기초해서 천안함을 해석하는 오류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천안함 사건의 중심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다. 함장과 지휘관, 그리고 많은 생존자들이 있다. 해경과 해군을 포함하는 많은 목격자들이 있다. 그리고 천안함 사건을 조사한 주체로서 국방부 관계자들이 있다. 국방부는 왜 천안함이 북한의 어뢰공격에 의해서 피격되었다고 주장할까? 천안함 사건의 초기에 해경은 왜 “천안함이 대청도 서해에서 밤 9시 15분 좌초했다”는 사실을 전했을까? 함장은 왜 천안함이 쾅하는 소리와 함께 1초 만에 함미가 가라앉았다고 주장할까? 2010년 3월 27일(사고 다음날)에 해군은 당시의 실종자 가족들에게 왜 천안함이 백령도 근해의 “최초좌초(해군작전도)”지점에서 좌초했다고 말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오직 천안함 관계자들에 대한 심리분석적 접근으로 가능하다. 천안함 관계자들에 대한 심리분석은 누구의 말이 진실이고, 누구의 말이 거짓인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으로 신뢰도 높은 증언 및 증거를 확보하고, 이에 대한 해석으로 천안함 사건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제 신상철과 이종인, 그리고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에 의해서 국민들 사이에 형성된 천안함 사건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바로 잡아야 한다. 우리 국민들이 천안함 사건을 엉뚱하게 이해해서는 안 된다. 천안함 사건에 대한 진실은 잘못된 주장으로 결코 밝힐 수 없다. 천안함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그 시작은 국민들이 천안함 사건의 진실을 바로 아는 것이다. 천안함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그 새로운 시작에 이 책 『한사람을 기다리며 천안함을 고발하다』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민국(지은이)
심리학박사(Psy. D.) 심리학자, 임상심리학자 심리분석전문가, 임상심리전문가 대학에서 수년간 심리학 및 관련 분야 강의 정신건강 클리닉에서 십여 년 근무 자신이 상식으로 판단하고 전공인 심리학의 심리분석으로 판단해도 여전히 의문투성이인 천안함 사건이, 교과서에마저 국방부 발표대로 실리는 걸 보고 한 시민의 양심과 역사에 대한 두려움으로 방관할 수 없었다. 또 큰 사건일수록 진실을 밝히는 데 필요한 관계자에 대한 심리분석이 천안함 사건에서 다뤄지지 않고 물리적 증거 중심으로만 이뤄지면서, 사실과 다른 해석이 나오는 듯해 안타까웠다. 그래서 자신의 전공인 심리분석을 통해 사실관계를 바로 잡고 설득력 있는 주장으로 진실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 사람을 기다리며 천안함을 고발한다'를 펴냈다.

Table of Contents
여는 글 001 상식의 시작 01 기초 추론 02 시간적 재구성 03 기초추론의 시사점 04 수밀문에 대하여 05 천안함의 수밀문 06 나오는 말 002 천안함 사건의 열쇠 01 희생자로서 생존자 모습 02 인간에 대한 긍정적 믿음 03 국방부의 사건조작과 심리전 04 함장과 국방부의 범죄 동기 05 나오는 말 003 천안함 위치좌표의 해석 01 천안함 사건의 주요 좌표들 02 해경이 보고한 9시 15분 좌표 03 해경의 보고 및 부함장 기록의 신뢰도 04 백령도 근해로 피항 05 천안함의 반파 및 스크루 손상위치 06 천안함의 이동 경로와 사고위치 07 천안함의 어뢰피격이 조작이라는 위치좌표 증거 08 기타 위치좌표들 09 나오는 말 004 천안함 관계자의 심리분석 01 심리분석의 개념 02 천안함 함장 및 지휘관들의 심리분석 03 천안함 생존장병들의 심리분석 04 국방부 관계자의 심리분석 05 해경 관계자 및 목격자들의 심리분석 06 증언의 신뢰도: 누가 거짓말을 하는가? 07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