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7649 | |
005 | 20150702143329 | |
007 | ta | |
008 | 150701s2015 ggkd b 000c kor | |
020 | ▼a 9788946057890 ▼g 93330 | |
035 | ▼a (KERIS)BIB000013776728 | |
040 | ▼a 247009 ▼c 247009 ▼d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35.4 ▼2 23 |
085 | ▼a 335.4 ▼2 DDCK | |
090 | ▼a 335.4 ▼b 2015z2 | |
110 | ▼a 맑스코뮤날레조직위원회 | |
245 | 1 0 | ▼a 다른 삶은 가능한가 : ▼b 마르크스주의와 일상의 변혁 / ▼d 맑스코뮤날레 조직위원회 엮음 |
246 | 1 1 | ▼a Is another life possible? : ▼b Marxism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everyday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5 | |
300 | ▼a 415 p. : ▼b 도표 ; ▼c 24 cm |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1789 |
500 | ▼a 저자: 홍훈, 강내희, 서동진, 이진경, 최진석, 정정훈, 이현재, 추혜인, 장귀연, 심광현 | |
500 | ▼a 이진경의 본명은 '박태호'임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홍훈 ▼g 洪薰, ▼d 1955-, ▼e 저 ▼0 AUTH(211009)130100 |
700 | 1 | ▼a 강내희 ▼g 姜來熙, ▼d 1951-, ▼e 저 ▼0 AUTH(211009)48584 |
700 | 1 | ▼a 서동진, ▼e 저 ▼0 AUTH(211009)71492 |
700 | 1 | ▼a 이진경, ▼d 1987-, ▼e 저 ▼0 AUTH(211009)100189 |
700 | 1 | ▼a 최진석, ▼e 저 ▼0 AUTH(211009)78129 |
700 | 1 | ▼a 정정훈, ▼e 저 ▼0 AUTH(211009)131465 |
700 | 1 | ▼a 이현재, ▼e 저 ▼0 AUTH(211009)100155 |
700 | 1 | ▼a 추혜인, ▼e 저 ▼0 AUTH(211009)63486 |
700 | 1 | ▼a 장귀연, ▼e 저 ▼0 AUTH(211009)42228 |
700 | 1 | ▼a 심광현, ▼d 1956-, ▼e 저 ▼0 AUTH(211009)98326 |
900 | 1 0 | ▼a 박태호,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 2015z2 | 등록번호 1117383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년마다 한 번씩 개최되는 한국 최대 좌파 연합학술문화제인 맑스코뮤날레 대회에 발표되는 글 중 10편을 묶은 것이다. 올해로 7회를 맞는 맑스코뮤날레 대회에서는 그동안 다루어온 거시적인 주제들과는 달리 ‘일상생활’이라는 미시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마르크스주의적 과제를 계승·확장하기 위한 해답을 모색하는 데 주력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진보좌파 이론을 연구·실천하고 있는 연구자 및 활동가들은 이 책에서 하루하루가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장으로 전락해버린 오늘날, 일상에서 변혁을 실천할 수 있는 길을 각기 제시한다.
이 책은 2년마다 한 번씩 개최되는 한국 최대 좌파 연합학술문화제인 맑스코뮤날레 대회에 발표되는 글 중 10편을 묶은 것이다. 올해로 7회를 맞는 맑스코뮤날레 대회에서는 그동안 다루어온 거시적인 주제들과는 달리 ‘일상생활’이라는 미시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마르크스주의적 과제를 계승·확장하기 위한 해답을 모색하는 데 주력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진보좌파 이론을 연구·실천하고 있는 연구자 및 활동가들은 이 책에서 하루하루가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장으로 전락해버린 오늘날, 일상에서 변혁을 실천할 수 있는 길을 각기 제시한다.
먼저, 홍훈은 한국사회는 혈연·지연·학연 등 인간관계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욕망이 규격화·위계화되어 있어 선택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발생한다고 진단하면서, 한국사회를 지배하는 자본주의적 욕망에서 벗어나기 위해 욕망의 규범을 새로 고민해보자고 제안한다. 강내희는 금융화로 삶의 리듬이 급박해지는 오늘날 자본주의 체계의 재생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금융화에 주목하면서, 금융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금융화와 연동되지 않는 방식의 삶을 살고 다른 감각과 다른 리듬을 추구하는 방식을 전개해야 한다고 피력한다. 한편 서동진은 일상생활을 점령한 금융화와 신용물신주의를 비판하면서 부채와 소득은 서로 대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일상생활의 새로운 종교로 떠오른 신용물신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물신주의가 만들어낸 삶의 문화적·경제적 조건을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진경은 우리가 흔히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감정을 재조명하는 한편, 사회적 과정은 사실 감정에서 발원했음을 강조함으로써 대중의 정치적 감수성을 숭고의 정치, 재현의 정치, 대의의 정치, 표현의 정치라는 4가지 개념으로 구별해 분석한다. 최진석은 한국사회를 지배하는 감정의 격변과 역설적 동일화를 극복하고 공동체를 다시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감성교육과 공감의 공동체에 기반을 둔 일상을 재구성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진단한다. 정정훈은 소비사회에서 양극화 사회로 변모한 오늘의 신자유주의적 상황에서는 어떤 민주주의 형태가 걸맞은가라는 질문을 던진 뒤 1990년대와 달리 오늘날에는 급진정치가 일상의 질서를 중단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사냥꾼의 대열에 끼지 않으면 먹잇감이 될 수밖에 없는 잔혹한 일상의 질서를 중단시키기 위해서는 봉기적 사건으로서의 민주주의를 다시 모색해야 한다고 제기한다.
이현재는 여성 빈곤을 가사노동 또는 매우 낮은 임금의 빈곤(경제적 빈곤), 남성 중심 문화에서 경험하는 빈곤(문화적 빈곤), 자율적 주체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빈곤(정치적 빈곤)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는 한편, 추혜인은 주민들이 공동으로 자금을 모아 병원을 설립한 살림의원을 통해 일상에서 경제 재구조화를 실천하고 경제적 빈곤과 문화적 빈곤이라는 이중적 빈곤을 극복하고 있는 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는 자본주의 사회를 넘어선 코뮤니즘 사회에서의 삶을 각기 전망하는데, 장귀연은 ‘노동에서의 해방’과 ‘노동을 통한 해방’이라는 양면을 지닌 대안적 노동의 원리를 분석함으로써 분업의 폐지와 노동의 성격 변화를 중심으로 코뮤니즘 사회의 일상을 전망하고, 심광현은 시간해방정책과 참여계획문화라는 프레임을 통해 코뮤니즘 사회에서의 일상의 변화를 살핀다.
마르크스주의를 현실에 밀착시켜 일상과 접목시킨 이번 주제, ‘마르크스주의와 일상의 변혁’은 이제까지 맑스코뮤날레 대회의 주제가 너무 거시적이고 추상적이라서 현장이나 대중의 삶과 괴리되었다는 저간의 비판을 넘어서는 적극적인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사회를 변혁하려면 자신과 주변부터 변혁하라
지난 수십 년간 신자본주의적 착취와 폭력의 강도는 점점 심화되는 데 반해 노동자운동과 진보정당운동은 약화되거나 해체 일로를 거듭해왔음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왜 그럴까? 이 책은 이 역설의 비밀을 일상에 깊이 뿌리 내린 강력한 관성의 힘에서 찾고 있다. 오늘날과 같이 자본주의적·가부장적·반생태적 습속의 강력한 힘이 일상생활과 감성 자체에 뿌리 내리고 있는 한 국가권력 또는 자본권력과 투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마르크스주의에서는 그간 사회의 변화와 자기변화를 분리된 방식으로 논의하고 이를 별개로 실천해왔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사회 환경의 변화와 자기변화를 일치시키는 데 주목한다. 이 책은 사회를 변혁하기 위한 투쟁이 힘을 발휘하려면 일상생활에서부터 자신과 주변을 변혁하라고 우리에게 주문한다.
새로운 주체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과 실천의 길 제시
각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저자는 날카로운 현실 인식과 다양한 시각으로 일상을 진단하면서, 거의 모든 운동이 수십 년 전의 원점으로 회귀하고 있는 오늘날 우리가 당장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돌아보게 만든다. 사회 환경 전체를 변혁해서 대안세계를 만드는 거시적인 혁명은 당장 실행하기 어렵지만, 자기 자신과 일상생활을 변혁해나가는 것은 그 중요성을 깨닫기만 한다면 지금 여기에서 당장 실행에 옮길 수 있기 때문이다.
낡은 체계가 해체되고 새로운 체계가 부상하는 역사적 이행은 이미 시작되었다. 새로운 체계로의 역사적 이행이 성공하려면 일상에서부터 변혁을 시작해야 한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엮은이&지은이
엮은이: 맑스코뮤날레 집행위원회
맑스코뮤날레는 ‘맑스+코뮤니스트+비엔날레’의 합성어로서, 맑스의 사상과 코뮤니즘 운동의 발전을 위해 활동하는 각 분야의 연구자와 활동가 단체들이 공동으로 학술문화제를 개최하여 진보좌파 이론과 운동의 상호 소통과 발전을 위해 2003년 5월 출범한 한국 최대의 진보좌파 학술문화 행사 조직이다. 맑스코뮤날레는 2003년 제1회 학술문화제 ‘지구화 시대 맑스의 현재성’ 이후, ‘맑스, 왜 희망인가?’(2005년 제2회), ‘21세기 자본주의와 대안적 세계화’(2007년 제3회), ‘맑스주의와 정치’(2009년 제4회), ‘현대자본주의와 생명’(2011년 제5회), ‘세계자본주의의 위기와 좌파의 대안’(2013년, 제6회)을 슬로건으로 2년마다 학술문화제를 개최해왔으며, 제7회 학술문화제 ‘마르크스주의와 일상의 변혁’은 2015년 5월 15~17일 개최된다. 맑스코뮤날레는 2년마다 학술문화제를 개최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하면서도, 동시에 이 학술문화제에서 발표된 주요 논문들을 단행본으로 출판해왔으며, 이와 함께 분기별로 포럼을 개최하여 진보좌파의 이론 및 운동 관련 주요 쟁점을 토론하는 장을 제공해왔고, 진보좌파 학술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유인호학술상’을 주관·운영하고 있다. 맑스코뮤날레는 단일 정치조직이 아니라 반신자유주의, 반자본주의, 맑스주의 이념을 공유하는 다양한 단체와 독립적 개인들의 학술문화 영역에서의 공동전선으로서, 2015년 현재 23개 주관단체와 16개의 컨소시엄 등 총 39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50~300명의 개인회원이 참여하고 있다.
지은이
홍훈 |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강내희 |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문화연구학과
서동진 |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이진경 | 수유너머N
최진석 | 수유너머N
정정훈 | 수유너머N
이현재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추혜인 | 살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장귀연 |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심광현 |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정보제공 :

저자소개
맑스코뮤날레 집행위원회(엮은이)
‘맑스+코뮤니스트+비엔날레’의 합성어로, 2003년 5월에 출범한 한국 최대의 진보좌파 학술문화 행사 조직이다. 맑스코뮤날레는 2년마다 학술문화제를 개최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하면서도, 동시에 이 학술문화제에서 발표된 주요 논문들을 단행본으로 출판해왔으며, 이와 함께 분기별로 포럼을 개최해서 진보좌파의 이론 및 운동 관련 주요 쟁점을 토론하는 장을 제공해왔고, 진보좌파 학술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유인호학술상’을 주관, 운영하고 있다. 2013년 1월 현재 30여 개의 연구자 단체, NGO 및 정치조직과 250여 명의 개인회원이 참여하고 있다.

목차
1부. 욕망의 정치경제학과 일상의 금융화 욕망의 정치경제학과 한국사회의 욕망 _ 홍훈 일상의 금융화와 리듬 변화: 문화정치경제학적 분석과 전망 _ 강내희 착취의 회계학: 금융화와 일상생활 속의 신용물신주의 _ 서동진 2부. 감성혁명과 일상생활의 정치화 대중정치와 정치적 감수성의 몇 가지 체제 _ 이진경 새로운 감성교육과 공감의 공동체: 탈근대적 일상의 구성에 관한 시론 _ 최진석 공동의 역량을 구성하는 코뮌의 정치 _ 정정훈 3부. 사회적 재생산을 중심으로 한 일상의 재편 재생산 조건으로서의 일상에 나타난 여성빈곤의 세 가지 측면: 낸시 프레이저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_ 이현재 여성주의와 협동조합의 만남 _ 추혜인 4부. 코뮤니즘 사회의 일상에 대한 상상 대안적 노동원리: 노동에서의 해방과 노동을 통한 해방 _ 장귀연 코뮤니즘 사회에서 문화와 일상의 의미 및 위상 변화에 관한 시론 _ 심광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