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民法論. 5

民法論. 5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재형 金載亨
서명 / 저자사항
民法論. 5 / 金載亨 著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2015  
형태사항
xi, 550 p. ; 23 cm
ISBN
9791130326665 9788964546130 (세트)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7360
005 20150701161816
007 ta
008 150630s2015 ulk 001c kor
020 ▼a 9791130326665 ▼g 94360
020 1 ▼a 9788964546130 (세트)
035 ▼a (KERIS)BIB000013791040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082 0 4 ▼a 346.5195 ▼2 23
085 ▼a 346.53 ▼2 DDCK
090 ▼a 346.53 ▼b 2004n ▼c 5
100 1 ▼a 김재형 ▼g 金載亨 ▼0 AUTH(211009)13405
245 1 0 ▼a 民法論. ▼n 5 / ▼d 金載亨 著
260 ▼a 서울 : ▼b 博英社, ▼c 2015
300 ▼a xi, 550 p. ; ▼c 23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6.53 2004n 5 등록번호 1117381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6.53 2004n 5 등록번호 5210064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6.53 2004n 5 등록번호 1117381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6.53 2004n 5 등록번호 5210064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1년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발표한 논문들이 실려 있다. 민법론 Ⅳ에는 법원의 판결을 소재로 해석론을 전개한 글이 많았던 반면, 이 책은 주로 입법론에 관한 글로 채워졌다. 필자는 민법개정위원,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제정위원,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개정위원 등으로 몇몇 입법 초안을 작성하거나 검토할 기회가 있었다. 이 책에 수록한 대부분의 논문은 그 과정에서 작성하거나 토론한 내용을 토대로 한 것이다.

이 책에는 2011년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발표한 논문들이 실려 있다. 민법론 Ⅳ에는 법원의 판결을 소재로 해석론을 전개한 글이 많았던 반면, 이 책은 주로 입법론에 관한 글로 채워졌다. 필자는 민법개정위원,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제정위원,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개정위원 등으로 몇몇 입법 초안을 작성하거나 검토할 기회가 있었다. 이 책에 수록한 대부분의 논문은 그 과정에서 작성하거나 토론한 내용을 토대로 한 것이다.
성문법 국가에서 법률은 법학연구의 출발점이다. 법규정을 도외시한 해석론은 의미 있는 반향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법률 그 자체를 바꾸는 입법은 법학연구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종전에 입법론에 관한 관심이나 연구가 매우 부족했던 것은 균형을 잃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의 민법개정안이나 새로 제정·시행된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은 민법학계에서 입법에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민법개정안 중 대부분은 아직 국회에 상정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그 통과 여부와는 별개로 법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논의들은 ‘현재 있는 법’을 이해하는 데에도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해석론과 입법론은 상호 보완관계에 있다. 해석론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은 입법을 기다려야 하지만, 설득력 있는 입법안은 충실한 해석론을 기초로 한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법률문제를 적절하게 규율하기 위해서든 우리 민법의 독자성을 찾기 위해서든 입법을 통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는 적지 않다. 그동안 축적된 학계의 학문적 역량이 입법으로도 표출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현실에 맞는 진일보한 민법전을 갖기를 소망하면서 이 책을 펴낸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다. 격려와 비판을 통하여 가르침을 주신 분들께, 그리고 소중하고 유익한 의견을 주신 분들께 감사드린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재형(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법학박사(서울대학교) 서울지방법원 판사 등 역임 독일 뮌헨대학교와 미국 콜럼비아 로스쿨에서 법학연구 대법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주요 저서·역서 근저당권연구(2000) 민법론 Ⅰ·Ⅱ(2004)·Ⅲ(2007)·Ⅳ(2011)·Ⅴ(2015) 언론과 인격권(2012) 민법판례분석(2015) 계약법[민법Ⅰ](제3판 2020)(공저) 민법총칙〔민법강의Ⅰ〕(제9판 2013)(공저) 물권법〔민법강의Ⅱ〕(제8판 보정 2015)(공저) 민법주해(ⅩⅥ )(1997)(분담집필) 주석민법 물권(4)(제4판 2011)(분담집필) 주석민법 채권각칙(6)(제4판 2016)(분담집필) 기업회생을 위한 제도개선방향(2001) 채무불이행과 부당이득의 최근 동향(2013)(공편) 금융거래법강의 Ⅱ(2001)(공편) 도산법강의(2005)(공편) 통합도산법(2006)(공편) 한국법과 세계화(2006)(공편) 민법개정안연구(2019)(공편)(박영사) 판례 소법전(1993·2008·2012)(공편) Lando·Beale 편, 유럽계약법원칙 제1·2부(2013)(번역)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주요쟁점-재정안 작성과정의 논의를 토대로- 
2. 동산담보권의 법률관계 
3. 부동산 유치권의 개선방안-2011년 민법개정시안을 중심으로- 
4.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기준과 범위에 관한 개정방안 
5.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에 관한 민법개정안-2013년 민법개정위원회에서 확정된 개정안을 중심으로- 
6. [손해배상액의 예정]에서 [위약금 약정]으로 -특히 위약벌의 감액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 
7. IMF에 의한 구제금융 이후 민사법의 변화-이자제한법, 도산법, 자산유동화법을 중심으로- 
8. 2010년 민법 판례 동향 
9. 2011년 민법 판례 동향 
10. 2012년 민법 판례 동향

관련분야 신착자료

中込一洋 (2022)
Geiser, Thomas (2023)
신현탁 (2023)
이상복 (2023)
김동훈 (2023)
오성근 (2023)
민사판례연구회 (2023)
박세민 (2023)
Fankhauser, Rolan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