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7279 | |
005 | 20150630122624 | |
007 | ta | |
008 | 150630s2015 ulka 000c kor | |
020 | ▼a 9788901203775 ▼g 03180 | |
035 | ▼a (KERIS)BIB000013772187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44002 | |
082 | 0 4 | ▼a 150.1952 ▼2 23 |
085 | ▼a 150.1952 ▼2 DDCK | |
090 | ▼a 150.1952 ▼b 2015z2 | |
100 | 1 | ▼a 정도언 |
245 | 1 0 | ▼a 프로이트 레시피 = ▼x Freud recipe / ▼d 정도언, ▼e 고재선 지음 |
260 | ▼a 서울 : ▼b 웅진리빙하우스 : ▼b 웅진씽크빅, ▼c 2015 | |
300 | ▼a 283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500 | ▼a 음식을 통한 무의식의 탐구, 의식의 발견 | |
600 | 1 0 | ▼a Freud, Sigmund, ▼d 1856-1939 |
700 | 1 | ▼a 고재선,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150.1952 2015z2 | 등록번호 1513261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신분석학자와 시각디자이너가 나눈 1460일의 미각담론. 이 책에는 두 사람의 저자가 등장한다. 한 사람은 음식을 오감으로 추억하는 시각디자이너, 또 한사람은 프로이트에 정통한 정신분석학자이다. 시각디자이너는 음식에 대한 모든 정보를 컬러와 느낌으로 저장하고, 정신분석학자는 그 저장된 기억의 회로를 따라 독자와 함께 무의식으로의 여행을 떠난다. 사소하지만 결정적인, 지극히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무의식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스스로도 몰랐던 자신의 내면을 발견하게 된다.
두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대간의 소통, 남녀간의 소통, 그리고 내면과 외향의 소통을 이야기한다. 이 모든 것의 매개체는 인간이 향유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동시에 가장 오래된 취향인 ‘음식’이다. 제목에 나타난 프로이트는 이 책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기반하고 있다는 설명이지만, 한편으로는 프로이트를 전공한 정신과의사의 고백과 같은 가벼운 인문에세이다. 정신분석교과서나 심각한 인문서를 기대하는 독자들 보다는 작지만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찾는 독자들에게 더 어울릴 수 있는 책이다. 한편 레시피는 음식의 요리법이라는 의미 이외에 ‘처방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누구나 간직하고 있는 식탁 위의 무의식
“삶은 끊임없는 맛보기의 과정이다”
가히 ‘음식 포르노’의 시대다. TV를 틀면 채널마다 경쟁이라도 하듯 잘생긴 셰프들이 나와 입담을 자랑하고, 국내외를 넘나들며 온갖 맛집을 소개하는 프로그램들로 도배가 되고 있다. 먹지도 못할 음식을 보며 대리만족하고, 손맛보다는 셰프들의 퍼포먼스에 더 열광하는 심리는 무엇일까.
<애초부터 초점은 음식 자체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럴 의도였다면 전문 요리사를 출연시켰을 것이다. 텔레비전에는 전문 요리사들도 대체로 젊고, 키 크고, 날씬하고, 인물 좋은 사람들이 나온다. 손맛을 따졌다면 경험 많고 나이 지긋한 분들이 더 어울렸을 것이다. (중략) 이와 같은 현상들을 통틀어 ‘음식 포르노’ 라고 혹평하기도 한다. 포르노가 정상적인 섹스가 아닌 것처럼 방송이나 사진으로 치장한 음식도 제대로 된 음식이 아니라는 말일 것이다. 인터넷으로 중계하는 ‘먹방’을 두고 일종의 ‘관음증 만족시키기’라는 비난도 있다. - 본문 中 >
음식은, 살아있는 한 평생을 함께 해야 하는 숙명과도 같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우리는 음식을 통해 살아가고, 소통하고, 성장하고, 늙어간다. 삶은 끊임없는 맛보기의 과정이며, 먹는다는 행위는 전일생을 통해 탐구하고 발견해야 할 경이로운 의식儀式과도 같다.
정신분석학자와 시각디자이너가 나눈 1460일의 미각담론
레시피의 또다른 의미는 ‘처방전’
이 책에는 두 사람의 저자가 등장한다. 한 사람은 음식을 오감으로 추억하는 시각디자이너, 또 한사람은 프로이트에 정통한 정신분석학자이다.
시각디자이너는 음식에 대한 모든 정보를 컬러와 느낌으로 저장하고, 정신분석학자는 그 저장된 기억의 회로를 따라 독자와 함께 무의식으로의 여행을 떠난다. 사소하지만 결정적인, 지극히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무의식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스스로도 몰랐던 자신의 내면을 발견하게 된다.
두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대간의 소통, 남녀간의 소통, 그리고 내면과 외향의 소통을 이야기한다. 이 모든 것의 매개체는 인간이 향유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동시에 가장 오래된 취향인 ‘음식’이다.
제목에 나타난 프로이트는 이 책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기반하고 있다는 설명이지만, 한편으로는 프로이트를 전공한 정신과의사의 고백과 같은 가벼운 인문에세이다. 정신분석교과서나 심각한 인문서를 기대하는 독자들 보다는 작지만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찾는 독자들에게 더 어울릴 수 있는 책이다. 한편 레시피는 음식의 요리법이라는 의미 이외에 ‘처방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단맛, 쓴맛, 짠맛, 신맛, 매운맛 _ 맛으로 관계를 읽어내다
인간이 혀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물리적인 맛은 다섯 가지. 이는 또한 우리 삶을 관통하는 무의식의 다섯 가지 미각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는 각각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부여해 의식과 무의식의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단맛_기억과 추억 / 쓴맛_성장과 성숙 / 짠맛_멘티와 멘토 / 신맛_편식과 편견 / 매운맛_저항과 인내
어쩌면 인생은, 유년의 '기억과 추억'을 지나, ‘성장과 성숙’을 반복하며, 인생의 어느 시기에 '멘토와 멘티'를 만나고, 개인과 사회의 '편식과 편견'을 넘어 '저항과 인내'로 마무리되는 긴 여정이다.
이 책의 끄트머리에 저자는, 삶을 어떤 한 가지 맛으로만 규정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제대로 된 삶이 아닐 것이라고 덧붙인다.
<현대인의 고민과 갈등은 주로 관계의 문제이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음식을 통해 들여다본다면 조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음식은 하루 세끼, 1년 365일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접하는 나와 가장 가까운 대상이어서 그것으로 관계를 읽어내는 데 복잡함이 없다. 복잡한 일도 때로는 간단하게 읽어내면 도움이 된다 - 에필로그>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도언(지은이)
지그문트 프로이트 주도로 창설된 국제정신분석학회 정회원(FIPA)으로 정신분석가를 양성하고 교육하는 지도 분석가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재직 중, 충분하지 않은 자신에 대한 물음을 안고 미국 샌디에이고 정신분석 연구소로 수련을 떠났다. 세계적인 분석가들로부터 지도를 받았으며, 국내 최초의 정신분석가가 되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로 30년 넘게 재직하며, 환자 분석과 정신분석가 교육에 앞장섰다. 정신과, 신경과, 수면의학 전문의로서 각종 미디어에서 대한민국 명의로 꼽힌 바 있다. 국제정신분석학회가 인증한 한국정신분석연구학회 창립 회장과 국제정신분석학회 위원직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제이디(정신분석) 연구원 원장이다. 국내외 저명한 정신분석가들과 함께 현대 정신분석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있으며 다수의 해외 강연을 비롯,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0여 편의 국내외 학술 논문과 《프로이트의 의자》, 《프로이트 레시피》 등의 저서가 있다.
고재선(지은이)
그래픽 디자이너로 국내외에서 활동해 왔으며 식문화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밝다. 음시을 맛 이전에 다양한 시각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파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글과 시각적 요소의 통합을 위해 직접 이 책의 북 디자인을 맡았다.

목차
프롤로그 맛, 음식 그리고 나 좋은 젖, 나쁜 젖 입이 지닌 공격성 구조 이론으로 설명하는 ‘먹고 마시기’ 단맛: 기억과 추억 엄마는 밥이다 재래시장의 식감과 색감 고생 끝에 단맛 긴장과 이완이 만들어낸 천상의 단맛 Photo Tasting: Mercato Experience 달콤하기만 한 인생은 지루하다 기억 속에 박제된 달콤한 추억 단맛이 지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디저트로 마침표 찍기 마마보이가 좋아하는 자기애의 단맛 항우울제의 불편한 속삭임 사탕수수가 흘리는 달콤한 눈물 쓴맛: 성장과 성숙 더 이상 그녀는 없다 ‘카페 사바스키 뉴욕’에서 만나다 언어가 달라도 진심은 통한다 멸치의 진화, 관계의 변화 낯선 음식이 주는 맛 이상의 위로 Photo Tasting: Prosciuto and Culatello 먹은 것이 내가 된다 소고기 장조림과 해부학 실습 어설픈 퓨전은 시대의 독 밥이 권력이다 전채를 먹었으면 후식을 포기하라 때로는 성급함이 보약이다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 감당할 수 없으면 바꿔라 국물과 건더기의 속된 고찰 뱉어버리는 가치에 대한 무력한 걱정 나는 요즘도 다방에 다닌다 밥상이 화려할수록 불안도 늘어난다 ‘편리함’이라는 이름의 생활습관병 영양에서 성숙을 거쳐 개념으로 낯선 맛으로 옮겨가기 식당 소음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견해 짠맛: 멘티와 멘토 소금이 만든 동서양의 걸작 클램차우더의 짭짤한 위로 소금 바가지를 해외 화물로 부친 사연 모차르트가 사랑한 소금의 도시 잘츠부르크 Photo Tasting: Cheese Factory Tour 손맛과 조리법의 대결 사랑과 관심에도 정량과 방식이 있다 치즈 공장과 병원의 공통점: 두드려서 진단한다! 한 살 때 먹은 마음의 밥이 평생 간다 식사하셨나요? 식구란 누구인가 닮는다는 것 한식의 맛은 인간미 오래 묵힌 된장, 오래 사귄 사람 사람도, 음식도 그릇이 중요하다 사람이 밥상을 닮는다 신맛: 편식과 편견 와인을 둘러싼 구세대와 신세대의 갈등 도시락에 담긴 오해와 이해 고집스럽게 지켜온 면발들 나를 살린 푸른 보약 Photo Tasting: Grapes and Wines 책 소화불량 인간관계에도 블라인드 테스트가 필요하다 자극이 지나치면 신맛으로 변한다 명품 집착, 신상품은 매년 나온다 문화, 야만 그리고 트집 잡기 음식 레시피, 치료 레시피 막장 드라마와 명품 영화 맛을 보는 미각과 사람을 보는 안목 최선의 선택은 없다 미술관에서 밥을 먹다 혼자 밥 해먹을 수 있어야 어른이 된다 씹을 것이 없는데 씹으면? 끝장 토론의 마무리는 늘 인공조미료 ‘감각 특정적 포만 상태’를 설명하는 이야기 셋 포장마차가 주는 일탈의 즐거움 매운맛: 저항과 인내 옛날부터 그렇게 해온 맛 궁합을 맞추면 음식도 약이 된다 죽어서도 살아 있는 도시 비엔나 맵지만 간직할 수밖에 없는 맛 Photo Tasting: Olive Farm ‘음식 포르노’의 시대 감칠맛에 밀린 매운맛 식욕과 성욕, 손잡고 사는 두 가지 욕망 내게 맞는 맛의 사람은 음식 만들기는 삶의 균형을 배우는 최선의 수단이다 밥 한술씩 모아 만든 배부른 기적 객관적인 것만이 진리가 아니다 혼자 먹는 밥은 자유로운 독백이다 싸고 좋은 음식이 그립다 밥상머리 교육이 그리운 이유 삶의 속도를 조율하다 음식의 실종과 관계의 허약함 새싹 비빔밥을 먹으면 다시 젊어질까 뇌와 마음을 달래야 몸을 가꿀 수 있다 뻥튀기된 자존감은 부스러지기 쉽다 시작되는 연인들을 위한 조언 에필로그 공감의 결여와 식은 음식 피자와 정신분석 진리는 단순하고 평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