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6267 | |
005 | 20220425172356 | |
007 | ta | |
008 | 150615s2015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54635752 ▼g 93900 | |
035 | ▼a (KERIS)BIB000013752013 | |
040 | ▼a 211062 ▼c 211062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03.6/6/09409041 ▼2 23 |
085 | ▼a 303.66094 ▼2 DDCK | |
090 | ▼a 303.66094 ▼b 2015 | |
100 | 1 | ▼a Mosse, George L. ▼q (George Lachmann), ▼d 1918- |
245 | 1 0 | ▼a 전사자 숭배 : ▼b 국가라는 종교의 희생제물 / ▼d 조지 L. 모스 지음 ; ▼e 오윤성 옮김 |
246 | 1 9 | ▼a Fallen soldiers : ▼b reshaping the memory of the world wars |
260 | ▼a 파주 : ▼b 문학동네, ▼c 2015 | |
300 | ▼a 311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문학동네 인문 라이브러리 ; ▼v 9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War ▼x Psychological aspects |
650 | 0 | ▼a War and civilization |
650 | 0 | ▼a World War, 1914-1918 ▼z Europe ▼x Psychological aspects |
650 | 0 | ▼a War memorials ▼z Europe |
651 | 0 | ▼a Europe ▼x Civilization ▼y 20th century |
651 | 0 | ▼a Europe ▼x History, Military ▼y 20th century |
700 | 1 | ▼a 오윤성, ▼e 역 ▼0 AUTH(211009)19685 |
900 | 1 0 | ▼a 모스, 조지 L,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66094 2015 | Accession No. 11173991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1-0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3.66094 2015 | Accession No. 1513260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66094 2015 | Accession No. 11173991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1-0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3.66094 2015 | Accession No. 1513260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문학동네 인문 라이브러리 9권. 전장에서 죽은 병사들을 국가와 민족의 영웅으로 기리는 문화는 언제 시작되었을까? 그것은 자연스러운 애도의 감정에서 비롯된 것일까, 아니면 국가 권력의 은밀한 메커니즘이 작동한 것일까? 일반 병사들을 '호국영령'으로 호명하고, 국립묘지에 안장하며, 무명용사 탑 등 전사자 기념물을 세워 기리는 문화는 근대 국민국가의 산물이다.
내셔널리즘과 파시즘, 남성성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독일계 유대인 역사학자 조지 모스는 풍부한 전쟁 사료와 다채로운 시각 자료를 바탕으로 '전사자 숭배'와 '전쟁 경험의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그 결과를 치밀하게 재구성한다. 그에 따르면, 전사자 숭배는 국가와 민족을 절대시하는 내셔널리즘의 핵심 기제다.
근대 내셔널리즘 신화의 중심에 있는 ‘전사자 숭배’
파시즘을 낳은 우파 이데올로기의 대중정치 수단
개인들 위에 군림하는 국가 권력과 내셔널리즘은
국가와 민족의 이름으로 언제든지 야만화될 수 있다
【개요】
근대 국민국가의 성립 이후
국민을 결집할 새로운 신앙, 정치종교로 대두한 ‘내셔널리즘’
전사자는 국가라는 종교의 순교자가 되고,
전쟁 묘지는 국가적 경배의 신전이 된다
전장에서 죽은 병사들을 국가와 민족의 영웅으로 기리는 문화는 언제 시작되었을까? 그것은 자연스러운 애도의 감정에서 비롯된 것일까, 아니면 국가 권력의 은밀한 메커니즘이 작동한 것일까? 일반 병사들을 ‘호국영령’으로 호명하고, 국립묘지에 안장하며, 무명용사 탑 등 전사자 기념물을 세워 기리는 문화는 근대 국민국가의 산물이다. 내셔널리즘과 파시즘, 남성성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독일계 유대인 역사학자 조지 모스는 풍부한 전쟁 사료와 다채로운 시각 자료를 바탕으로 ‘전사자 숭배’와 ‘전쟁 경험의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그 결과를 치밀하게 재구성한다. 그에 따르면, 전사자 숭배는 국가와 민족을 절대시하는 내셔널리즘의 핵심 기제다.
【책 소개】
내셔널리즘의 핵심 장식물, ‘전사자 숭배’
독일의 부유한 유대인 가문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 나치의 박해를 피해 망명해야 했던 조지 모스는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굳이 숨기지 않았던 역사학자다. 모스가 평생 근대성과 남성성의 문제, 특히 ‘남자다움’의 신화를 폭로하는 데 애썼다는 점은 그의 성정체성과 무관하지 않다. 근대 서구 역사에서 남성성의 강화는 국가 권력에 의한 내셔널리즘의 강화와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으며, 양자가 힘을 합쳐 강력한 헤게모니를 장악한 결정적 계기는 제1차 세계대전이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전사자 숭배’와 ‘전쟁 경험의 신화’가 자리하고 있다.
“1차대전 전시 및 전후에 매우 흔하게 나타난 그리스도의 품에 안긴 전사자의 모습은 순교와 부활이라는 전통적 믿음을 국가라는 전면적 시민종교에 투영했다. 전후에 이르러 전사자 숭배는 내셔널리즘이라는 종교의 핵심 장식물이 되었고, 전쟁에 패하고 평시로의 이행 과정에서 혼돈의 벼랑까지 내몰린 독일 같은 나라에서 가장 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13~14쪽)
‘전사자 숭배’는 근대에 탄생한 시민종교인 내셔널리즘의 핵심 장치다. 유례없는 대량살상의 전쟁이었던 1차대전은 이런 전사자 숭배의 정점이었다. 죽음의 실상을 은폐하고 초월하기 위해 전쟁 경험과 전사戰死는 신성시되고 이상화되고 낭만화되어야 했다. 그렇게 해서 전쟁 경험의 잔혹한 실상은 ‘전쟁 경험의 신화’로 변형되었다.
전쟁 경험의 신화화
기원과 토대: 의용병과 신화의 재료들
전사자 숭배와 전쟁 경험 신화의 기원은 최초의 근대전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던 의용병들이다. 근대전의 시작을 알리는 프랑스 혁명전쟁(1792~1799)과 독일의 대 나폴레옹 해방전쟁(1813~1814)은 과거의 전쟁들과 성격이 달랐다. 그전까지 전쟁은 어디까지나 왕실의 전쟁으로서 인민의 이해와는 거의 무관했으며, 군대는 귀족과 용병, 징집병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전쟁에서는 공화국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나선 ‘시민군’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훗날 프랑스의 국가國歌가 되는 <라 마르세예즈>는 마르세유 출신 의용병들이 부르던 노래였다. 독일의 해방전쟁 때도 시인, 저술가 등 식자층까지 의용병으로 나서 국민의식을 고취시켰다. 당시 유명한 시인 의용병으로 뤼초 자유군단에서 활약하다 전사한 테오도어 쾨르너는 해방전쟁에 참여한 의용병을 “국왕과는 상관없는 민중의 십자군”이라 칭했다. 실제 의용병 가운데 교양 있는 중간계급 출신이 다수는 아니었지만, 그들 식자층이 남긴 글과 시는 전쟁을 신성한 경험으로 승화시켰다.
이런 시민 의용병의 출현은 일반 병사들의 지위 상승으로 이어진다. 그리하여 19세기 중엽부터 군사 묘지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그전까지 죽은 병사들에겐 제대로 된 무덤조차 제공되지 않았었다. 전사자들의 영원한 안식처이자 후세대들의 경배 장소가 될 군사 묘지의 조성과 각종 전사자 기념물의 제작에는 서구의 전통적 상징체계가 총동원되었다. 가령 병사의 삶과 죽음을 신성화하는 데 그리스도교의 상징성과 의식을 끌어들였고, 전사자 묘지와 기념물을 장식하는 데 고대 그리스.로마의 모티프와 도상이 활용되었다. 이런 것들이 모두 전쟁 경험의 신화를 구축하는 재료들이었다.
발전과 변용: 1차대전과 전쟁 묘지
1차대전 시기는 전쟁 경험 신화의 절정이자 확립기였다. 이른바 ‘1914년 세대’라 불리는 수많은 청년들이 국가를 위해 자원입대했다. 1차대전은 유례없는 대량살상의 전쟁이었다. 약 1,300만 명이 죽은 1차대전의 전사자 수는 1790년부터 1914년 사이에 벌어진 큰 전쟁들의 전체 사망자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또한 서부전선에서 교착상태 속에 벌어진 장기간의 ‘참호전’은 전쟁에 대한 인식을 송두리째 바꿔놓았다. 죽음은 일상적으로 존재했고, 죽음의 공포가 극에 달했으며, 그 좁은 공간에서 병사들 사이에 ‘전우애’가 싹텄다. 당시 독일군으로 참전했던 작가 에른스트 윙거는 그 전쟁의 공포 속에서 강철 같은 영혼의 인간, ‘새로운 인종’의 탄생을 보았다. 그는 집단주의와 전우애, 남성성으로 대변되는 전쟁 경험을 찬미했다. 이런 식의 신화화는 죽음의 실상을 은폐하고 초월하며, 남자다움을 이상화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막대한 전사자가 발생한 만큼 묘지 조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국가는 그 많은 죽음이 결코 헛된 죽음이 아니라 대의를 위해 싸우다 맞은 고귀하고 영웅적인 죽음이라고 선전할 필요가 있었다. 수많은 전사자 가족을 위로하기 위해서이기도 했고, 또다른 젊은이들이 나라를 위해 전장에 나가도록 독려하기 위해서이기도 했다. 국가를 위한 죽음은 숭고한 죽음이어야 했기에, 전사자 숭배와 전쟁 경험의 신화화는 더욱 강도 높게 진행되었다.
각국은 앞다투어 전사자들만을 위한 전쟁 묘지를 건설했다. 독일의 ‘영웅의 숲’, 프랑스의 ‘장례 정원’ 등은 숲이나 정원의 형태로 묘지를 꾸밈으로써 죽음을 자연 안에서 맞이하는 영원한 잠으로 각인시켰다. “자연을 이용하여 죽음의 독소를 제거하는 방식”(105쪽)이었다. 거기에 그리스도교와 고대 그리스.로마의 모티프들이 동원되어 영웅적 죽음과 구원의 희망을 상징화했다.
죽음의 참혹한 실상을 은폐하는 데는 전쟁을 일상생활의 물건, 전투 현장 관광 등에 결부시키는 ‘사소화trivialization’ 경향도 한몫했다. 사소화는 전쟁을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시시하고 대수롭지 않은 일로 변용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당시 제작된 수많은 그림엽서에는 진짜 시체나 고통스러워하는 부상자의 모습이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 그 대신 장미 화단에 놓인 기관포(그림 5. 80쪽), 참호 안에서 맥주 파티를 벌이는 병사들(그림 12. 155쪽)처럼 현실과 동떨어진 기만적인 이미지들을 담고 있었다.
“전쟁의 사소화 과정은 전쟁의 실상을 (초월하지는 못해도) 위장하고 통제하는 또다른 방법이었고, 그로써 전쟁 경험의 신화를 뒷받침했다. 사소화는 전쟁을 찬양하고 미화하는 대신, 익숙한 것으로, 사람이 자신의 힘으로 선택하고 지배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듦으로써 전쟁에 대처하는 방법이었다.”(149~150쪽)
1차대전 전시와 전후에 문진으로 쓰인 포탄이라든가 잠수함 모양의 하모니카가 등장했고, 1916년 독일에서 열린 <전쟁, 민족 그리고 예술>이라는 전시회 카탈로그에는 철십자 훈장이 들어간 바늘방석, 성냥갑 따위와 참호가 그려진 담뱃갑 등이 소개되었다. 파리 봉마르셰 백화점의 1919년 광고에는 두 소녀가 ‘독일산’이란 딱지가 붙은 봉제인형을 밟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1차대전 후에는 편리해진 교통수단에 힘입어 전투 현장이나 군사 묘지를 둘러보는 관광 상품이 인기를 얻기도 했다.
결과와 영향: 파시즘과 정치의 야만화
전사자 숭배와 전쟁 경험의 신화화를 통한 내셔널리즘 강화는 1차대전 이후 파시즘으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준다. 이제 전쟁은 국가와 개인의 재생 수단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전시의 태도들은 평시로까지 이어지며 정치의 야만화, 인명에 대한 심각한 무관심을 촉진했다. 남자다움과 전우애라는 이상은 유럽 전역에서 극우 이데올로기의 필수 성분으로 흡수된다. 전사자 숭배를 정치적으로 십분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좌파가 아니라 우파였다.
“우파는 독일만이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전쟁 경험의 상속자를 자임했고, 야만화 과정은 이 세력이 대중에게 미친 영향력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전후 독일에서는 이 영향력이 정치의 중심을 이루게 되었으니,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내내 다른 모든 정치 집단은 언제나 우파의 의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만 했다.”(187쪽)
전쟁 경험과 전우애, 남자다움이 촉진한 정치의 야만화는 우파의 주요한 기반이 되었다. 대중정치의 속성을 재빨리 간파한 우파는 신화와 상징을 정치적 도구화하여 ‘대중’을 ‘국민화’시킬 수 있었다. 1차대전은 전후 대중정치 시대가 열리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다.
의용병의 역사는 1차대전 이후에도 에스퍄냐 내전을 거쳐 2차대전까지 계속 이어진다. 에스파냐 내전은 전쟁 경험 신화의 전통을 새롭게 부활시켰다. 그 주역은 에스파냐 병사들이 아니라 파시스트 세력에 맞서 공화국 정부를 지키기 위해 각국에서 몰려든 의용병(국제여단)이었다. 19세기에 영국 시인 바이런이 그리스 독립전쟁에 참전했다가 죽음으로써 전쟁 경험을 낭만화하는 데 일조했듯, 에스파냐 내전은 전쟁 경험의 신화가 좌파 세력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 중요한 계기였다. 한편 2차대전 때는 나치 무장친위대에 우파 버전의 ‘국제여단’이 만들어져, 서유럽에서 약 12만 5,000명, 동유럽과 러시아 등에서 약 20만 명이 무장친위대에 자원입대했다.
하지만 2차대전은 영상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사실적인 전쟁 보도가 널리 확산되었기에, 더는 전쟁의 실상을 은폐하기가 어려워졌고, 이는 이후 전쟁 경험 신화가 쇠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내셔널리즘의 주술에서 벗어나는 길
‘전쟁 경험의 신화’는 국가 숭배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그 그 신화의 유산은 현대사회 곳곳에서 발견된다. 지금도 많은 이들이 전우애의 이상에 향수를 느끼고, 남자다움의 이상을 신봉한다. 비록 2차대전 후 서유럽에서 국가 숭배는 크게 약화되었지만, 내셔널리즘이 다시 부흥하는 계기만 마련된다면 전쟁 경험의 신화 또한 언제든 다시 부활할 것이다.
양차대전 후 서구에서는 전쟁 경험의 신화가 분명 쇠퇴했지만, 이 신화는 서구의 전쟁 기념 문화를 답습하거나 자기화한 비서구 세계로 퍼져나간다. 특히 2차대전과 일본 제국주의의 상흔이 가시지 않은 동북아시아의 기억 문화에 깊게 각인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 책의 해설을 쓴 한양대 사학과 임지현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21세기 동아시아의 기억 문화는 ‘호국영령護國英靈’에 대한 국가적 제사를 통해 정치종교의 차원으로 승화된 전사자 숭배의 정점을 보여준다. 전사자를 ‘호국영령’으로 현창하는 야스쿠니 신사의 ‘영령 제사’의 논리가 서울의 전쟁기념관이나 중국의 항일전쟁기념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고 해서 놀라운 일은 아닌 것이다. 무명용사 탑이나 ‘꺼지지 않는 불꽃’ 조각상에서 보듯 ‘국가를 위해 죽은’ 전사자들의 죽음을 특권화하고 제사지내는 20세기의 국민국가적 제의는 동아시아 기억 문화의 중심부에 자리한다.”(299쪽)
이 책 『전사자 숭배』는 21세기 한반도에 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휴전’ 상태의 분단국가이기에 더욱 그렇다. 우리는 여전히 전사자 숭배와 전쟁 경험의 신화가 살아 숨쉬고, 국가와 민족을 절대시하는 내셔널리즘이 강력한 시민종교로 작동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천안함’ 사건의 죽은 군인들과 ‘세월호’ 사건의 희생자들에 대해 국가가 보인 상반된 태도가 이를 확인시켜준다.
워싱턴에 있는 베트남전 기념물에는 애국심을 고취하는 문구도 없고, 전장의 장병들을 재현한 기념물도 없이 그저 나지막한 검은 벽에 전사자들의 이름이 길게 새겨져 있다. 오스트리아 빈에는 ‘탈영병 기념비’가 있고 거기에는 “모두가 혼자”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아무리 히틀러의 군대에서 탈영한 것이라고는 해도, 조국과 전우들을 등지고 탈영한 이들을 위한 기념비를 세우는 일이 결코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런 사례는 전사자 숭배와 내셔널리즘을 탈주술화하고, 탈신화화하는 징후들이다.
전쟁의 참혹한 실상을 감추고, 죽은 자들을 개인이 아닌 국가의 이름으로 영웅시하는 태도는 정치의 야만화와 개별 인명에 대한 무관심을 초래한다. 이는 파시즘을 낳은 우파 이데올로기의 강력한 정치적 수단이다. 전쟁 경험을 이상화하고, 국가와 민족이라는 공동체적 관념이 개인들 위에 절대적으로 군림할 때 국가 권력과 내셔널리즘이라는 시민종교는 국가와 민족의 이름으로 언제든지 야만화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조지 L. 모스(지은이)
독일 출신의 미국 역사가로, 내셔널리즘과 파시즘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1918년 독일 베를린의 부유한 유대인 가문에서 태어난다. 외조부 루돌프 모세는 『베를리너 타게블라트』 등 유력 언론매체들을 소유한 언론계의 거물이었다. 모스는 어린 시절 유명 사립학교인 몸젠 김나지움과 살렘에서 교육받는다. 1933년 나치 집권 후 영국으로 망명해 퀘이커교 계열의 부댐 학교에 다니며, 이곳에서 자신의 동성애 성향을 알게 된다. 케임브리지 대학에 진학했으나, 1939년에 미국으로 이주하고 해버퍼드 칼리지에서 학부과정을 마친다. 1946년 ‘16~17세기 영국 헌법사’를 주제로 한 논문으로 하버드 대학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는다. 아이오와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근대 초 유럽의 종교와 종교개혁에 대해 연구하던 모스는 1955년 위스콘신 대학(매디슨)으로 옮겨 근대사를 강의한다. 이후 30년 넘게 이곳에서 강의와 연구 활동을 계속한다. 1964년 근대 내셔널리즘의 뿌리를 분석한 『독일 이데올로기의 위기: 제3제국의 지적 기원』을 출간하면서, 내셔널리즘, 파시즘, 반유대주의 연구를 본격화한다. 1969년 이후 이스라엘 히브리 대학에서도 강의한다. 1975년 근대 국민국가의 지배 장치인 ‘정치종교’의 발전 과정을 분석한 『대중의 국민화: 나폴레옹 전쟁에서 제3제국까지 독일의 정치적 상징주의와 대중운동』을 펴낸다. 1985년에 출간한 『내셔널리즘과 섹슈얼리티: 근대 유럽에서의 고결함과 비정상적 섹슈얼리티』는 근대사회의 가장 강력한 이데올로기인 ‘내셔널리즘’과 성性에 대한 특정한 태도인 ‘고결함’의 상관관계를 다룬다. 1990년에 나온 『전사자 숭배: 국가라는 종교의 희생제물』은 내셔널리즘이라는 시민종교의 작동 방식을 전쟁문화사로 풀어낸 역작이다. 1996년에는 『내셔널리즘과 섹슈얼리티』에서 다루었던 ‘남자다움’에 대한 연구를 더 심화한 『남자의 이미지: 현대 남성성의 창조』를 펴낸다. 그 밖에 『영국의 주권 투쟁』(1950), 『종교개혁』(1953), 『서유럽 문화 입문: 19세기와 20세기』(1961), 『최종 해결을 향해: 유럽 인종주의의 역사』(1978), 『파시스트 혁명: 파시즘의 일반 이론을 향해』(1999) 등 20여 권의 저서를 남긴 모스는 1999년 1월 미국 위스콘신 주 매디슨에서 생을 마친다. 그 이듬해 자서전 『역사와 마주하기』(2000)가 출간된다.
오윤성(옮긴이)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 《권력 쟁탈 3,000년》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 《더 파이브》 《전사자 숭배》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1. 서론: 새로운 종류의 전쟁 제1부 토대 2. 의용병 3. 신화 제작: 죽음의 구체적 상징들 제2부 제1차 세계대전 4. 청년과 전쟁 경험 5. 전사자 숭배 6. 자연의 전용 7. 전쟁 경험의 사소화 제3부 전후 시대 8. 독일 정치의 야만화 9. 신화의 증축 10. 2차대전, 신화, 그리고 전후 세대 주|조지 모스 연보|해설|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