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4
1장 이제는 당신도 상속세를 납부해야 한다 = 11
01 상속세를 준비하지 않으면 물려받은 기업도 팔아야 한다 = 13
02 상속세ㆍ증여세 세금계획, 이렇게 시작하자 = 16
03 상속세 때문에 상속재산을 처분하는 경우도 생긴다 = 21
04 상속세를 납부할 현금이 준비되었나 = 25
05 상속세ㆍ증여세 절세를 위한 로드맵을 세워라 = 31
2장 상속이 유리할까? 증여가 유리할까? = 37
01 상속이 유리할까, 증여가 유리할까 = 39
02 증여세와 상속세는 어떻게 계산할까 = 43
03 증여세와 상속세는 누가 내나 = 45
04 증여재산과 상속재산은 어떻게 평가하는가 = 48
05 증여세와 상속세 신고와 납부 어떻게 하나 = 54
3장 분쟁을 피하기 위해 알아야 할 상속법 = 57
01 나의 상속순위는 = 59
02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할아버지 유산을 상속받을 수 있을까 = 65
03 패륜아에게는 상속권이 없다 = 70
04 나는 얼마나 상속받을 수 있을까 = 73
05 상속권자가 상속을 못 받았을 때 다시 청구할 수 있을까 = 80
06 병든 어머니를 모신 장남 더 많은 상속 인정 안 해주나 = 88
07 부모님 생전에 받은 것이 있는데 상속분이 달라지나 = 92
08 아파트를 상속받고 싶은 딸, 땅을 상속받고 싶은 아들, 어떻게 해야 하나 = 101
09 받을 것이 빚밖에 없는데 빚도 상속받아야 하나 = 106
10 유언상속과 유증의 차이 = 118
11 생각만큼 쉽지 않은 유언, 어떻게 해야 하나 = 124
4장 재산 규모에 맞는 세금계획이 필요하다 = 135
01 세금계획은 재산 규모에 따라 다르게 설계하자 = 137
02 상속포기 할까, 한정승인 할까 = 142
03 상속 순재산가액이 5억 원 이하인 경우 = 146
04 상속 순재산가액이 5억∼10억 원 이하인 경우 = 150
05 상속 순재산가액이 10억∼50억 원 이하인 경우 = 152
06 상속 순재산가액이 50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 155
5장 절세를 위한 증여의 기술 = 159
01 절세를 위한 첫 번째 기회, 증여가 왜 중요한가 = 161
02 증여세 계산구조를 알면 절세할 수 있는 길이 보인다 = 165
03 증여세 비과세 대상 중 주의할 사항 = 171
04 언제 증여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진다 = 175
05 누가 증여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진다 = 183
06 절세하기 위해 누가 증여받는지 중요하다 = 188
07 어떤 재산을 증여할지 신중히 결정하라 = 195
08 해외 거주 자녀에게 자산을 증여한 경우 연대납세의무를 활용하라 = 202
09 손자, 손녀에게 증여해서 상속세까지 절세하자 = 206
10 보험계약도 잘해야 절세된다 = 212
11 보험계약을 통해 증여할 경우자금출처 마련에 주의하자 = 215
12 이혼도 잘해야 세금을 절세할 수 있다 = 220
13 부모ㆍ자식 간에 빚을 함부로 변제하지 말자 = 223
14 부모ㆍ자식 간에 부동산을 공짜로 사용하면 증여세를 내야 한다 = 225
15 무상 또는 저리로 돈을 빌리면 증여세가 과세될 수 있다 = 228
16 증여세 포괄적 예시규정에 해당하는지 조심하자 = 230
17 자금출처를 꼭 챙기자 = 237
18 자금출처와 함께 꼭 알아야 할 PCI = 241
19 대자산가가 특별히 주의해야 할 FIU법 = 244
6장 법인을 설립해 소득을 이전ㆍ분산하자 = 251
01 법인을 설립해 소득을 이전하라 = 253
02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은 어떤 점이 서로 다른가 = 255
03 개인이 유리한가, 법인이 유리한가 = 258
04 법인전환으로 절세해볼까 = 264
05 법인전환 언제 하는 것이 좋을까 = 268
06 법인전환 어떻게 해야 하나 = 271
07 법인전환 전과 후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될까 = 278
08 법인전환 전과 후 상속재산은 어떻게 평가되나 = 283
09 자기주식과 관련한 상법규정을 이해하자 = 292
10 자기주식과 관련한 세금문제 주의하자 = 298
7장 사업승계로 절세하라 = 303
01 사업승계로 절세하자 = 305
02 사업승계를 통한 절세는 비상장주식평가방법을 아는 데서 시작된다 = 307
03 어떻게 하면 비상장주식가치를 낮출 수 있을까 = 310
04 증여받을 것인가, 저가로 양수할 것인가 = 315
05 가족끼리 매매는 증여로 추정한다 = 319
06 가족끼리 매매할 경우 거래금액에 주의하라 = 323
07 부담부증여할 때 이것만은 주의하자 = 328
08 자녀에게 창업자금을 증여할 경우 절세할 수 있다 = 332
09 가업승계 주식에 대한 증여세 과세특례 = 338
10 주식스왑을 통한 사업승계를 활용하자 = 343
11 지주회사 설립을 통한 사업승계 = 348
8장 중소기업 가업승계와 신탁제도 = 357
01 가업승계로 상속세를 절세해볼까 = 359
02 가업상속공제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 363
03 신탁이란 무엇인가 = 369
04 상속을 위한 신탁에는 어떤 것이 있나 = 373
9장 절세를 위한 상속의 기술 = 381
01 절세의 마지막 기회, 상속세 절세 = 383
02 상속세 계산구조를 알면 절세의 길이 보인다 = 385
03 간주상속재산 빠뜨리지 말고 신고하자 = 392
04 보험금 수령 잘해야 상속세 줄일 수 있다 = 395
05 처분한 대금과 인출한 예금 사용처에 대한 증빙을 준비해두자 = 398
06 공과금ㆍ장례비는 공제받기 위해 관련 증빙을 잘 챙기자 = 402
07 상속세 계산할 때 가장 중요한 공제항목인 채무 어떻게 공제받을까 = 404
08 사전증여재산, 어떻게 하면 상속재산에 합산되지 않을까 = 408
09 상속공제 잘 챙기면 상속세 줄일 수 있다 = 413
10 배우자상속공제를 잘 활용하면 상속세를 절세할 수 있다 = 417
11 배우자에게 어떻게 상속해야 절세할 수 있을까 = 423
12 상속재산 중 금융재산이 있는 경우 공제된다 = 427
13 상속재산분할과 재분할 잘못하면 세금 늘어난다 = 430
14 상속세·증여세가 거액인 경우 분납 또는 연부연납을 이용하자 = 434
15 물납신청은 신중히 결정하자 = 437
16 상속받은 재산 언제 양도하는 것이 좋을까 = 443
17 고액재산가는 상속세 사후관리를 조심하자 =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