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법총칙
서문 = 3
제1장 민법의 기초이론 = 5
1. 민법의 의의 = 5
2. 민법의 법원 = 6
3. 민법의 기본원리 = 9
4. 권리와 의무 = 11
제2장 권리주체 = 20
Ⅰ. 자연인 = 20
Ⅱ. 법인 = 48
Ⅲ. 법인격 없는 사단과 재단 = 64
제3장 권리객체 : 물건 = 67
Ⅰ. 자연인 = 67
제4장 법률행위 = 74
Ⅰ. 총설 = 74
Ⅱ. 법률행위의 해석 = 76
Ⅲ. 법률행위의 목적 = 82
Ⅳ. 의사표시 = 92
Ⅴ. 대리 = 115
Ⅵ. 법률행위의 효력 : 무효ㆍ취소 = 139
Ⅶ. 법률행위의 효력 : 부관 = 148
제5장 기간 = 156
가. 의의 = 156
나. 기간의 계산 = 156
다. 기간의 역산 = 157
제6장 소멸시효 = 158
1. 총설 = 158
2. 소멸시효의 요건 = 161
3. 소멸시효의 효과 = 165
4. 시효의 장애 = 169
물권법
서문 = 177
제1부 물권법 총론
제1장 물권법의 기초이론 = 181
제2장 부동산물권의 변동 = 208
제3장 동산물권의 변동 = 246
제2부 물권법 각론
제1장 점유권 = 261
제2장 소유권 = 282
제3장 지상권 = 336
제4장 지역권 = 360
제5장 전세권 = 364
제6장 유치권 = 381
제7장 질권 = 391
제8장 저당권 = 416
제9장 비전형담보 = 454
채권법총론
서문 = 461
제1장 채권법의 기초이론 = 463
1. 채권법 = 463
2. 채권관계 = 464
제2장 채권의 목적 = 468
1. 총설 = 468
2. 특정물채권 = 469
3. 종류채권 = 471
4. 금전채권 = 475
5. 이자채권 = 478
6. 선택채권 = 480
7. 임의채권 = 487
제3장 채권의 효력 = 490
Ⅰ. 총설 = 490
Ⅱ. 채무불이행의 유형 = 494
Ⅲ. 채무불이행의 효과 = 516
Ⅳ. 채권의 대외적 효력 = 531
제4장 다수당사자의 채권관계 = 543
1. 총설 = 543
2. 분할채권관계 = 543
3. 불가분채권관계 = 546
4. 연대채무 = 551
5. 보증채무 = 561
제5장 채권관계의 이전 = 572
1. 총설 = 572
2. 지명채권의 양도 = 576
3. 채무인수 = 582
제6장 채권의 소멸 = 585
1. 총설 = 585
2. 변제 = 585
3. 대물변제 = 598
4. 공탁 = 600
5. 상계 = 603
6. 경개 = 607
7. 면제 = 608
8. 혼동 = 609
계약법
서문 = 613
제1부 계약법 총론
제1장 계약법의 기초이론 = 617
제2장 계약의 성립 = 628
제3장 계약의 효력 = 646
제4장 계약의 해제와 해지 = 664
제2부 계약법 각론
제1장 매매 = 689
제2장 임대차 = 745
제3장 고용ㆍ도급ㆍ위임 = 775
제4장 조합 = 795
제5장 기타 전형계약 = 809
불법행위법
서문 = 843
제1장 불법행위의 기초이론 = 845
1. 총설 = 845
2. 불법행위법의 지도원리 = 846
3. 다른 책임과의 관계 = 848
4. 불법행위법의 체계 = 852
제2장 일반불법행위의 요건 = 853
1. 고의ㆍ과실 행위 = 853
2. 손해발생 = 856
3. 인과관계 = 858
4. 위법성 = 861
5. 책임성 = 863
6. 입증책임 = 864
제3장 불법행위의 효과 = 866
1. 총설 = 866
2. 원칙적 배상방법(=손해배상채권) = 867
3. 예외적 배상방법 = 877
제4장 특수 불법행위 = 884
1. 공동불법행위 = 884
2. 사용자책임 = 889
3. 감독의무자의 책임 = 894
4. 공작물 책임 = 896
5. 동물 책임 = 898
제5장 현대형 불법행위 = 900
1. 자동차사고 = 900
2. 의료과실 = 902
3. 환경오염 = 907
4. 제조물책임 = 913
제6장 부당이득 = 917
Ⅰ. 일반 부당이득 = 917
Ⅱ. 특수 부당이득 = 928
제7장 사무관리 = 939
1. 총설 = 939
2. 요건 = 940
3. 효과 = 942
색인 = 947
추도사 = 959
민법총론을 출간하며 = 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