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Roitt) 면역학

(Roitt) 면역학 (1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Roitt, Ivan M. (Ivan Maurice), 저 Male, David K., 1954-, 저 Brostoff, Jonathan, 저 Roth, David B., 저 김경제, 역 김영상, 역 신의철, 역 어성국, 역 이기영, 역 이종길, 역 임종석, 역 최은영, 역 최인홍, 역
서명 / 저자사항
(Roitt) 면역학 / David Male [외 저]; [김경제 외 역] ; 대한면역학회 감수
발행사항
서울 :   대한의학,   2015  
형태사항
xi, 443 p. : 천연색삽화 ; 29 cm
원표제
Immunology (8th ed.)
ISBN
9791155900246
일반주기
공저자: Jonathan Brostoff, David B. Roth, Ivan M. Roitt  
공역자: 김영상, 신의철, 어성국, 이기영, 이종길, 임종석, 최은영, 최인홍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Immunology Clinical immunolog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5958
005 20150612151311
007 ta
008 150527s2015 ulka b 001c kor
020 ▼a 9791155900246 ▼g 93510 : ▼c \45000
035 ▼a (KERIS)BIB000013781746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6.07/9 ▼2 23
085 ▼a 616.079 ▼2 DDCK
090 ▼a 616.079 ▼b 2015z1
245 2 0 ▼a (Roitt) 면역학 / ▼d David Male [외 저]; ▼e [김경제 외 역] ; ▼e 대한면역학회 감수
246 1 9 ▼a Immunology ▼g (8th ed.)
260 ▼a 서울 : ▼b 대한의학, ▼c 2015
300 ▼a xi, 443 p. : ▼b 천연색삽화 ; ▼c 29 cm
500 ▼a 공저자: Jonathan Brostoff, David B. Roth, Ivan M. Roitt
500 ▼a 공역자: 김영상, 신의철, 어성국, 이기영, 이종길, 임종석, 최은영, 최인홍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Immunology
650 0 ▼a Clinical immunology
700 1 ▼a Roitt, Ivan M. ▼q (Ivan Maurice), ▼e
700 1 ▼a Male, David K., ▼d 1954-, ▼e
700 1 ▼a Brostoff, Jonathan, ▼e
700 1 ▼a Roth, David B., ▼e
700 1 ▼a 김경제, ▼e
700 1 ▼a 김영상, ▼e
700 1 ▼a 신의철, ▼e
700 1 ▼a 어성국, ▼e
700 1 ▼a 이기영, ▼e
700 1 ▼a 이종길, ▼e
700 1 ▼a 임종석, ▼e
700 1 ▼a 최은영, ▼e
700 1 ▼a 최인홍,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6.079 2015z1 등록번호 1310493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안산내과 616.079 2015z1 등록번호 931000834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면역학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현대 면역학 지식을 정리한 서적 역시 무수히 많다. 그러나 복잡하고 다양한 면역학 개념을 쉽게 설명하는 책은 많지 않다. Roitt 등이 저술한 ‘면역학’은 1985년 최초로 출간된 이후, 제8 개정판이 나온 책이다.

이 책은 총 5개의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section 1에서는 면역체계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고, section 2에서는 선천방어 및 단핵탐식세포로 시작되는 면역반응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Section 3에서는 다양한 감염체에 대한 생체방어를, section 4에서는 조직에 대한 면역반응을, section 5에서는 과민반응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총 26개로 구성된 각 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면역학 개념은 굵은 글씨의 문장형 주제 밑에 설명하여 독자가 복잡하고 다양한 면역학 지식을 쉽게 정리해 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역자 서문

면역학은 기초 학문이면서도 임상 응용성이 아주 높은 학문이다.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생체방어기전은 면역학 지식이 있어야만 이해할 수 있고, 비정상적인 생체반응으로 인하여 유도되거나 악화되는 여러 질환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면역학 지식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최근에는 항체 의약품 등 면역학 지식에 기초하여 개발된 임상치료법도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면역학 지식은 또한 생화학, 유전학, 세포 생물학 및 분자생물학 등의 연구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면역학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현대 면역학 지식을 정리한 서적 역시 무수히 많다. 그러나 복잡하고 다양한 면역학 개념을 쉽게 설명하는 책은 많지 않다. Roitt 등이 저술한 ‘면역학’은 1985년 최초로 출간된 이후, 제8 개정판이 나온 책이다. 이 책은 총 5개의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section 1에서는 면역체계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고, section 2에서는 선천방어 및 단핵탐식세포로 시작되는 면역반응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Section 3에서는 다양한 감염체에 대한 생체방어를, section 4에서는 조직에 대한 면역반응을, section 5에서는 과민반응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총 26개로 구성된 각 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면역학 개념은 굵은 글씨의 문장형 주제 밑에 설명하여 독자가 복잡하고 다양한 면역학 지식을 쉽게 정리해 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역자들은 원서의 내용에 충실하면서도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번역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에서 사용한 용어는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1-5집)』과 『필수의학용어집』의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의학용어집에 없는 용어는 역자 회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처음 나오는 용어의 경우, 우리말 용어 다음에 영문 용어도 함께 기술하였다. 그림에 대한 설명은 굳이 번역하지 않았는데, 번역된 내용과 더불어 영문으로 실린 그림 설명을 읽어본다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아직도 아쉬운 부분이 많지만 앞으로 독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더 좋은 역서로 거듭나도록 노력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역서의 감수를 맡아주신 대한면역학회 관계자 및 편집을 위해 애써주신 도서출판 대한의학 관계자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






역자 명단

김 경 제 삼육대학교 약학대학

김 영 상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신 의 철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어 성 국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이 기 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이 종 길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임 종 석 숙명여자대학교 이과대학

최 은 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최 인 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SECTION 1. 면역체계 구성 요소 Components of the Immune System

1. 면역체계 소개 Introduction to the Immune System

2. 면역체계의 세포, 조직, 장기 Cells, Tissues, and Organs of the Immune System

3. 항체 Antibodies

4. 보체 Complement

5. T 세포 수용체 및 MHC 분자 T Cell Receptors and MHC Molecules

SECTION 2. 면역반응 방식 Modes of Immune Response

6. 선천면역반응 기전 Mechanisms of Innate Immunity

7. 면역방어에서 단핵탐식세포의 역할 Mononuclear Phagocytes in Immune Defense

8. 항원제시 Antigen Presentation

9. 항체반응에서의 세포 협력 Cell Cooperation in the Antibody Response

10. 세포매개독성 Cell-mediated Cytotoxicity

11. 면역반응의 조절 Reg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12. 조직에서의 면역반응 Immune Responses in Tissues

SECTION 3. 감염에 대한 방어 Defense Against Infectious Agents

13.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Immunity to Viruses

14. 세균 및 진균에 대한 면역 Immunity to Bacteria and Fungi

15. 원생생물 및 기생충에 대한 면역 Immunity to Protozoa and Worms

16. 일차성 면역결핍 Primary Immunodeficiencies

17.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 이차성 면역결핍 및 면역억제

AIDS, Secondary Immunodeficiency and Immunosuppression

18. 예방접종 Vaccination

SECTION 4. 조직에 대한 면역반응 Immune Responses Against Tissues

19. 면역관용 Immunological Tolerance

20. 자가면역과 자가면역질환 Autoimmunity and Autoimmune Disease 

21. 이식과 거부 Transplantation and Rejection

22. 암에 대한 면역 Immunity to Cancers

SECTION 5. 과민반응 Hypersensitivity

23. 급성 과민반응(제1형) Immediate Hypersensitivity (Type I)

24. 과민반응(제2형) Hypersensitivity (Type II)

25. 과민반응(제3형) Hypersensitivity (Type III)

26. 과민반응(제4형) Hypersensitivity (Type IV)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정화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20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