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4970 | |
005 | 20150608142340 | |
007 | ta | |
008 | 150528m20159999ulk 000c kor | |
020 | ▼a 9788997969685 (v.1) ▼g 94910 | |
020 | ▼a 9788997969692 (v.2) ▼g 94910 | |
020 | 1 | ▼a 9788997969678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1.809519 ▼2 23 |
085 | ▼a 331.80953 ▼2 DDCK | |
090 | ▼a 331.80953 ▼b 2015 | |
100 | 1 | ▼a 유경순 ▼0 AUTH(211009)56993 |
245 | 1 0 | ▼a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 / ▼d 유경순 지음 |
246 | 3 | ▼a 천구백팔십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 |
260 | ▼a 서울 : ▼b 봄날의 박씨, ▼c 2015- | |
300 | ▼a 책 ; ▼c 22 cm | |
500 | ▼a 부록수록 | |
505 | 0 0 | ▼n 1. ▼t 학출활동가와 변혁운동 ▼g (719 p.) -- ▼n 2. ▼t 학출활동가의 삶 이야기 ▼g (543 p.)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0953 2015 1 | 등록번호 1117369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0953 2015 1 | 등록번호 1117372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0953 2015 2 | 등록번호 1117371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80년대 노동자계급의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를 추구했던 변혁적 노동운동과 그 추동 주체인 학생운동 출신 노동자들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 연구서.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에서 “우리 역사 연구와 사회 진보에 이바지 할 수 있는 한국근현대사 연구논문에 수여”하는 ‘강만길 연구기금’을 수상한 ‘1980년대 변혁적 노동운동의 형성과 분화에 관한 연구’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단행본으로 펴냈다.
한국사회에서 ‘혁명의 시대’라 일컬어지는 1980년대에 세상을 바꾸고자 공장으로 간 대학생들이 이끌었던 노동운동과 서노련, 남노련, 인민노련, 인노회, 다산보임그룹 등 정치조직의 형성과 분화에 대한 이야기가 풍부한 문헌자료와 구술자료를 통해 복원되어 있다.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 1권 : 학출활동가와 변혁운동』 지은이 인터뷰
1. 먼저 최근의 역사인 ‘1980년대’의 노동운동사를 정리하시려고 생각하시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처음 역사 연구를 시작할 때, 80년대 노동운동에 대한 관심이 있었어요. 그러다가 2005년 구로동맹파업 20주년을 맞아 진행된 구로동맹파업의 기록 작업을 위해 관련자들을 만났는데, 그때 처음으로 학출(학생운동 출신) 활동가들의 ‘활동과 삶의 경험’을 구술 받으면서 개인적으로는 많은 고민을 하는 계기가 되었어요. 과거에 고착된, 사회변혁과 노동운동이라는 시각으로만 바라보았던 학출에 대한 생각에 변화가 왔고, 개인의 삶이라는 시선으로도 80년대 학출들을 볼 수 있게 된 거 같아요.
그런 와중에 현실의 노동운동, 노동자 정치운동에 여러 균열이 심각하게 드러났고, 그 선두에는 80년대부터 노동운동을 한 이들이 앞에 서 있었어요. 균열은 단순히 분열이라는 측면보다는 상호 ‘대상화’를 통해 노동자들이 대상화된 면들이 보이더라고요. 그런 모습들은 처한 시대상황은 달라도 80년대 노동운동과 연계된 측면들이 있다고 봤어요. 물론 사람에 대한 ‘대상화’는 언제 어디서든지 나타나지만 말이죠. 아무튼 그래서 현실운동과 잇대어져 있는, ‘오래되지 않은 과거’인 80년대 노동운동을 통해 현실을 다시 들여다보고 싶었던 거 같아요.
2. ‘1980년대’의 노동운동사에서 정치조직을 중요하게 다루신 이유와 정리하는 데 구술작업을 진행하신 이유를 말씀해 주세요.
- 1970년대 노동운동이 ‘민주노조’를 중심으로 한 활동이었다면, 이에 비해 1980년대 노동운동은 이념적 특징으로 ‘사회 변혁’을 지향했고, 그 주체 형성과정에서 노동조합과는 다른 ‘정치조직’이 등장한 것이 가장 중요한 활동 특징이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1980년대 정치조직들에 대해 정리가 안 되어 있고, 유일하게 사노맹(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만 정리가 되어 있었죠. 그래서 접근에 한계는 있지만, 정치조직운동을 대중운동(노동조합운동)과의 관계에서 접근해 보려 했던 거죠.
- 구술작업을 통해 정리한 데는, 정치조직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니 일부의 재판자료, 팸플릿, 기관지, 선전물 등인데 거의 조각조각이어서 활동의 상을 그려낼 수가 없었다는 현실적인 이유가 있고요. 또 자료가 있다고 하더라도 정치조직운동을 추진한 주체들의 경험이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구술작업을 했을 거예요. 거기에 개인적으로 80년대 운동 경험에 대해 당시 주체들이, 지금은 어떤 시각으로 그 시대를 돌아보고 있는지, 많이 궁금했어요. 제 주위에도 80년대 학출들이 많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솔직하게 소통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요. 그런데 구술작업이란 형식으로 당사자들을 만나면 여러 솔직한 얘기들을 나눌 수가 있거든요.
3. 구술작업을 하시면서 인상적이었던 일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구술작업에서 만난 많은 분들이 저마다 자신이 처한 위치에서 과거의 사건을 기억해내고 현재를 해석하는 걸 알 수 있죠. 구술작업은 그런 점에서 저에게 사람을 이해하고 사람에게 배우는 과정이기도 해요. 구술작업 과정에서 인상적인 점은 두 가지 정도인데요.
하나는 구술자들이 과거를 해석하는데, 어떤 분들은 정말 오랜 기간에 걸쳐, 80년대의 삶을 되돌아보고, 감성적으로까지 당시 운동과 자신에 대해 새롭게 해석을 해내시더라고요. 그런 분들을 만날 때는 새롭게 저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던 거 같고요.
다른 하나는, 2권 4장 '1980년대 학출활동가들의 구술생애사'에 실린 박정순씨 구술작업을 할 때인데, 그 분은 기회가 되어서 두 차례 구술을 했는데, 두 번 다 같이 울었어요. 그 분의 성장과정도 그랬지만 (가난, 사우디 파견 가는 아버지 배웅하는 공항에서 젊은 사무직에게 무시당하는 아버지 모습을 본 상황 등 ) 80년대 노동현장에 투신해서 노동현장에 안착하지 못해 헤매던 과정, 뒤늦게 정치조직에 참여했지만 개인의 특성과 정치조직의 보위문제 때문에 끝없이 ‘소부르주아적’이라고 비판 아닌 비난으로 몰렸던 상황, 그런데도 ‘운동에서 버티기 위해’ 절규하던 그때 상황을 들으면서, 저 자신도 감정적으로 굉장히 힘들었던 거 같고요. “당시 나는 어땠지, 또 내 주위의 사람들은 어떠했을까” 되돌아보았던 거 같아요. 당시에는 서로 말할 수 없었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힘들게 버텼구나’ 하는 생각에. 그래서 쉽게 말할 수 없는 문제 같아요. ‘시대상황 속 개인의 삶’에 대해서는요.
4. ‘1980년대 변혁적 노동운동’이 현재의 우리 사회를 가장 크게 바꾸어 놓은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앞에서도 말했지만, 가장 중요한 변화는 우리 현대사에서 1970년대까지 독재와 반독재, 반공주의와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념 이외에 공개적으로 다른 이념은 발붙이기 어려웠잖아요? 독재에 맞선 사회운동인 ‘반독재민주화운동’도 정치적 측면의 변화를 추구했던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틀 안에 있었는데, 1980년대 변혁적 노동운동의 등장으로 사회를 구조적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 그 지향으로서 ‘사회변혁’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 이념으로서 반(反)자본주의, 또는 사회주의가 비록 왜곡되고 낮은 수준 이지만 대안 이념으로 등장해서 한국 사회의 이념지형에 균열을 낸 점이라고 봐요.
그래서 비록 ‘역사로서의 사회주의’가 붕괴됐지만, 여전히 현실에서도 인간의 평등한 조건과 자유로운 삶을 지향하는 가치들이, 그리고 불가능해 보이는 여러 시도들이 지금껏 이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죠.
5. 선생님께서도 노동현장에 투신한 경험이 있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선생님께 80년대의 기억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기억은 ‘의식으로서의 기억’과 ‘감정으로서의 기억’이 있는 거 같습니다. 두 기억방식이 같은 자리에 있기도 하고, 분리되어 있기도 하고. 그러면서 현실에 영향을 주는 거 같아요.
우선 개인적으로 의식과 감정이 같이 있는 기억은 인간 보편의 온전한 삶을 지향했던 가치를 위해 개인적인 삶을 일치시키려고 몰입했던 시기, 지금까지의 삶에서 가장 ‘순수했던 시대’였던 거 같아요. 지금은 많이 사회적으로 ’물들여진’ 제 모습을 발견할 때, 꺼내보는 거울인 거 같고요. 또 87년 노동자대투쟁 시기와 88년 노동조합을 만들 때, 그 이전까지 정말 개인주의적이고 현실에 안주하는 듯한 노동자들이 집단행동의 힘으로 모였을 때, 그리고 그 힘이 모아져 1988년 연세대에서 처음으로 (전태일열사정신계승 및 노동악법개정을 위한) 전국노동자대회를 열던 날, 광장에 꽉 들어찬 전국의 노동자들 속에서 가슴 뛰었던 순간들이 ‘희망’의 지표로 기억되고 있어요.
반면에 부모님 가슴에 못 박고 집을 나와서 감정이 멈춰버린 듯한 상태, 현장에서 일을 못해 시달리던 압박감, 활동의 ‘성과’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려 했던 강박감, 주위에 같이 했던 이들이 계속 사라진 ‘흔적’들 속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불안감 등. 계속 이어지던 감정의 기억들이 의식에서는 당시 상황 속에서 재해석해서 정리된 듯하지만, 오랫동안 그 시대의 불안강박증처럼 남아 있었던 거 같아요.
또 사람과 활동의 관계에서 사람이 대상화됐던 상황, 정치조직 활동 과정에서 굴절된 논쟁과 분열과정에 상처 입은(입힌) 사람들, 그 역시 의식에서는 시대상황과 미성숙 했던 우리의 한계로 정리했지만, 여전히 그와 관련된 불편한 감성이 남아 있어서, 나에 대해, 사람들에 대해, 운동에 대해, 예민한 측면이 있어요.
6. 80년대와는 약 30여 년의 간격을 가지고 있는 오늘의 청년들이 이 책을 어떻게 읽고 받아들이길 바라시는지요?
책을 준비하던 과정에 정치조직에서 활동을 하는 후배들이 그러더군요. 이 책을 지금 노동운동을 하려는 젊은 친구들에게 읽히면 좋겠다고. 왜냐고 묻지 않았지만, 현실 노동운동의 이전 역사로 읽히겠다는 걸로 받아들였어요. 새롭게 노동운동을 하는 젊은 분들이 읽는다면 그런 측면에서 작은 도움은 되리라 보아요. 그런데 집단적 노동운동의 이면에 ‘다양한 개인의 삶’이 있듯이, 80년대 노동운동의 한계(조직이 중심이 되면서 개개인의 삶이 대상화되고 굴절되었던 지점 등)를 포착하고 뛰어 넘기 위해 읽었으면 좋겠어요.
그런데 그보다는 지금의 20대 분들에게는 2권 서문에 ‘시대상황과 개인의 삶’이라고 붙였던 것처럼, 이 책은 한편에서는 80년대 노동운동의 주체들인 당시 20대의 젊은이들이 무엇을 꿈꿨을까, 무모하지만 자신의 삶을 시대상황 속에 놓고 고민했던 점을 읽어 주었으면 좋겠어요. 80년대 사회를 바꾸려던 젊은이들의 삶과 운동에 많은 한계가 있긴 했지만,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꿈’을 현실 청년들은 무엇으로 가질 것인지, 꿈을 꿀 수 없는 세대와 시대라고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개별화되어 혼자 고립되어 있기보다 더욱 ‘시대상황’에 자신들의 방식으로 말 걸기를 통해 ‘사회와 나’, ‘사회 속의 나’에 대해 질문을 던질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에요.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유경순(지은이)
역사학연구소 연구원,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연구위원, 노동자역사 한내 연구위원장, 노동자교육센터 부대표를 거쳐 노동자 역사 연구와 노동자 교육활동을 하면서 비정규직 대학강사 노동자로 일하고 있다. 노동자들의 자기 역사 쓰기와 구술사를 통해 역사와 사회에 ‘묻힌’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찾아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힘써 왔다. 『510일: 2007~2008년 이랜드홈에버 여성노동자들의 저항과 연대』, 『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제6회 강만길연구상 수상), 『아름다운 연대: 들불처럼 타오른 1985년 구로동맹파업』(제4회 김진균학술상 수상)을 썼다. 함께 쓴 책으로 『민주노조, 노학연대 그리고 변혁』, 『전노협, 1990~1995』, 『현대자동차노조 20년사』, 『노동자, 자기 역사를 말하다』,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등이 있다. 엮은 책으로는 『나, 여성노동자』, 『같은 시대 다른 이야기』 등이 있다. 현재 여성‘노동’ 문제에 관심을 두고, 여성주의 관점으로 여성‘노동자’들의 역사 및 현실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공부하고 있다.

목차
[volume. vol.1]---------- 목차 서론 : 1980년대 변혁적 노동운동 연구를 위한 모색 = 14 1) 1980년대 노동자 정치세력화 연구의 의미 = 16 2) 1980년대 노동운동에 대한 기존 연구 = 20 3) 학생운동가들의 노동운동 투신의 역사 = 26 4) 책의 구성과 주요 논점 = 32 5) 구술사를 통한 사실 복원 = 41 1부 노동현장에 투신한 학생운동가들 = 46 1장 1960ㆍ70년대 학생운동가들의 개별적 노동현장 투신 = 48 1절 일제강점기 학생과 지식인의 노동현장 투신 = 49 2절 현대 학생운동의 초기적 노동문제 인식과 전태일 분신사건 = 65 1) 1960년대 학생ㆍ지식인의 노동문제 인식 = 65 ① 노동현장에 직접 투신한 경우 = 67 ② 노동문제 연구소를 통해 노동문제에 개입한 경우 = 72 ③ 학생운동의 한계 속에 장기적 대안 모색에 나선 경우 = 77 2) 1970년 전태일 분신사건과 학생운동의 변화 = 82 ① 전태일 문신사건과 학생운동의 대응 = 82 ② 이념서클의 확산과 노동문제의 선전 = 87 3절 '나로드니키'적 노동현장 투신과 노학연대 = 103 1) 노동현장 투신자들의 의식형성과 활동 방식 = 103 ① 학생운동의 한계 인식과 '민중 속으로' = 103 ② 기술 습득을 통한 노동현장 투신 = 113 ③ 한국노총ㆍ지원 단체 참여 = 119 2) 1970년대 민주노조운동과 노학연대 관계 = 125 ① 1970년대 민주노조운동의 특징 = 125 ② 크리스천아카데미의 노동자 정치교육 = 134 ③ 노동야학과 노동자ㆍ학생운동가의 연대 = 144 1부 1장을 맺으며 = 153 2장 1980년대 학생운동가들의 집단적 노동현장 투신 = 157 1절 학생운동의 급진화와 노동현장 투신 = 158 1) 1980년 광주민중항쟁과 학생운동의 이념 전환 = 158 ① 1980년 3ㆍ4ㆍ5월 노동자투쟁 = 158 ② 변혁 주체인 '민중'의 발견과 이념서클의 확산 = 162 ③ 학생운동의 역할 논쟁과 노동자 - 학생연대투쟁 = 172 2) 노동현장 투신과 존재이전 방식의 변화 = 181 ① 노동현장 투신의 배경과 이념적 특징 = 184 ② 존재이전 방식의 변화 = 195 3) '노동자화' 과정의 문제와 갈등들 = 204 ① 육체노동과 현장분위기 익히기 = 206 ② 노동자의 생활문화 습득하기 = 216 ③ 노동운동가 되기 = 221 2절 학출활동가들의 노동조합 결성투쟁과 해고자 양산 = 230 1) 1980년대 노동법개악과 임금가이드라인 정책 = 231 2) 노동조합 결성투쟁과 법적ㆍ폭력적 탄압 = 239 3절 정치투쟁을 둘러싼 갈등과 지역운동론의 대두 = 267 1) 1970년대 민주노조운동을 둘러싼 평가 논쟁 = 267 2) 한국노동자복지협의회의 등장과 정치투쟁을 둘러싼 대립 = 273 3) 노동운동탄압저지투쟁위원회와 가두투쟁 = 281 4) 소그룹운동론과 지역운동론의 대립 = 288 1부 2장을 맺으며 = 300 3장 1980년대 중반기 노동자투쟁과 학생운동 출신 활동가 = 302 1절 1985년 대우자동차 파업투쟁과 경제주의 논란 = 305 1) 1984년 학출활동가 송경평의 신분문제와 공개적 대응 = 305 2) 1985년 임금인상 파업투쟁 = 312 3) 대우자동차 파업투쟁의 의미와 평가논쟁 = 315 2절 구로동맹파업과 노동운동의 방향전환 = 320 1) 민주노조 결성과 구로지역 'A정치그룹'의 활동 방식 = 320 2) 민주노조들의 일상활동과 연대활동 = 328 3) 구로동맹파업의 발생과 전개과정의 특징 = 336 ① 대우어패럴 노조 간부 구속사건과 구로동맹파업 = 336 ② 동맹파업과 지지연대투쟁의 확산 = 344 4) 구로동맹파업의 의미와 평가 논쟁 = 349 3절 1987년 7ㆍ8ㆍ9월 노동자대투쟁 = 355 1) 노동자대투쟁의 특징 = 355 2) 노동자대투쟁의 전개과정과 학출활동가 = 361 ① 울산지역 노동자투쟁 = 364 ② 부산지역 노동자투쟁 = 370 ③ 마창지역 노동자투쟁 = 374 ④ 전북지역 노동자투쟁 = 378 ⑤ 서울지역 노동자투쟁 = 381 ⑥ 인천지역 노동자투쟁 = 385 ⑦ 안양지역 노동자투쟁 = 388 4절 학출활동가와 정권 및 노동자의 관계 = 396 1) 학출활동가에 대한 정권의 대응 = 396 2) 학출활동가에 대한 현장 노동자들의 반응 = 405 3) 학출활동가와 선진노동자의 관계 = 416 1부 3장을 맺으며 = 425 2부 변혁적 노동운동의 형성과 분화 = 428 1장 변혁적 노동운동의 대두 = 430 1절 전국민주노동자연맹과 정치적 노동운동의 맹아 = 433 1) 1970년대 민주노조운동과 장기론 비판 = 433 2) 제2노총 건설 모색과 노동자ㆍ지식인의 결합 = 438 2절 변혁적 노동운동의 등장 = 447 1) 대중정치투쟁과 서울노동운동연합의 균열 = 447 ① 구로노동자연대투쟁연합과 대중정치투쟁조직의 결성 = 447 ② 조직구조의 다층성과 조직운영의 비민주성 = 451 ③ 선도적 정치투쟁의 실패와 조직균열 = 460 ④ 조직문제의 전면화와 조직해체 = 469 2) 서울남부지역노동자연맹과 대중활동 방식 = 475 ① 활동가조직의 형성과 학생운동가들의 집단적 결합 = 475 ② 공장위원회와 지역노동자의 조직화 방식 = 479 ③ NLPDR노선의 전환과정과 조직 탄압사건 = 484 3절 정치조직의 형성과정과 차이 = 490 1) 1986년 선도적 대중투쟁의 실패와 조직논쟁 = 490 2) NLPDR그룹의 형성과 분화 = 496 ① 주체사상의 보급과정 = 496 ② NLPDR그룹의 형성과정 = 499 ③ 비(非)주체사상과 일동그룹의 형성 = 508 3) NDR론과 제헌의회그룹의 형성 = 513 ① 마르크스ㆍ레닌주의 학습을 통한 조직원 확보 = 513 ② 전위당건설 노선과 조직체계 = 518 ③ 선전작업과 가두투쟁을 통한 대중활동 = 521 4) PD경향의 정치조직 형성과정 = 525 ① 민족통일민주주의노당자동맹의 형성과정 = 525 ② 정치서클 통합과 초기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 = 528 ③ 다산보임그룹의 형성과 조직 탄압사건 = 534 4절 정치조직의 운동방식과 한계 = 541 1) 보위ㆍ규율의 기능과 조직정체성 형성방식 = 542 ① 역사적 경험의 단절과 사상적 취약성 = 542 ② 탄압상황과 보위문제 = 546 ③ '철의 규율'과 조직운영방식 = 549 ④ 정체성 형성방식 - '아(我)와 타(他)'의 구분 = 556 2) 배타성과 문화의 경직성 = 563 ① 일방적 규정짓시 - '딱지 붙이기' = 563 ② 굴절된 계급 중심성 - 계급 이기주의 = 569 ③ 대상화된 인간관계 = 571 2부 1장을 맺으며 = 575 2장 변혁적 노동운동의 분화 = 578 1절 정치조직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의 결합방식 = 579 1) 변혁적 노동운동의 조직노선에 따른 분화 = 579 2) 정치적 대중조직과 분회활동 = 588 3) '위로부터의 전위조직' 건설과 공장소조 = 595 ① 노동자해방투쟁동맹의 분열 = 595 ② 남한사회주의노동자연맹의 결성과 조직활동 = 597 ③ 지방위원회 활동과 공장소조의 형성 시도 = 602 4) 지역정치조직과 대중선전지의 발간 = 606 ① 마르크스ㆍ레닌주의 정치조직으로의 재조직화 = 606 ② 노동조합운동과의 결합방식 = 616 5) 지역분산형 정치조직 건설운동과 대중활동 = 629 ① 서울 제파PD그룹의 조직갈등과 대중활동 = 633 ② 인천 제파PD그룹의 형성과정과 대중활동 = 641 2절 1980년대 변혁적 노동운동의 이념적 분화 = 652 2부 2장을 맺으며 = 665 결론 : 1980년대 변혁적 노동운동의 의의와 한계 = 668 부록 = 687 참고한 자료들에 대하여 = 688 참고문헌 목록 = 708 단체와 조직 약어 일람 = 717 [volume. vol.2]---------- 목차 머리말 : '시대상황과 개인의 삶',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는 걸까 = 9 1장 구술자들의 특징과 구술자료의 성격 = 23 1절 구술작업 과정과 구술자들의 특징 = 24 구술작업 과정 = 24 구술자들의 특징 = 29 2절 구술자료의 성격 = 45 구술자의 성장과정과 시대상황 = 49 대학문화와 학생운동 = 51 성별화된 학생운동과 노동운동 = 55 학생운동과 정치조직의 연관성 = 58 노동조합 결성 및 투쟁 관련 자료 = 59 정치조직운동과 대중운동가들의 자료 = 63 구술자의 개인 경험, 감성과 의미화, 현재의식 = 64 2장 구술자들의 현재 위치와 1980년대의 경험 = 77 1절 6인의 구술생애사 = 83 1. 김진국의 구술생애사 = 83 대학 입학과 노동야학운동 = 85 인천지역의 노동현장 투신 = 88 인천지역노동자연맹의 결성과 활동 = 91 민족통일민주주의노동자동맹의 결성과 활동 = 96 정치조직운동의 방향 전환 = 100 1980년대 노동운동의 평가 = 102 2. 노회찬의 구술생애사 = 109 대학 입학과 1980년 광주항쟁 = 111 인천지역의 노동현장 투신 = 112 '투쟁동맹'의 결성 = 116 인민노련의 결성과 분열 = 121 전국정치조직 건설 시도와 민중당 = 125 진보정당 건설운동과 1980년대 노동운동 = 131 3. 박성인의 구술생애사 = 135 삶의 방황과 운동 입문 = 136 다산보임그룹 참여와 활동 = 138 1986년 3ㆍ25 다산보임사건 = 144 울산에서의 새로운 시작 = 147 반(反)한사노 전선의 형성 시도와 제파PD사건 = 152 비제도권 계급정당 건설운동 = 157 1980년대 노동운동에 대한 평가의 관점 = 162 4. 신정길의 구술생애사 = 166 학교이전 반대싸움과 이념서클 활동 = 169 인천지역의 노동현장 투신과 대우전자에서의 활동 = 175 인천지역노동자연맹 내부의 갈등과 '일동'그룹 결성 = 180 인민노련과 인천부천민주노동자회 참여 = 183 1980년대 노동운동에 대한 평가 = 187 5. 안재환의 구술생애사 = 193 대학 입학과 유인물 배포사건 = 196 운동의 관점을 확립한 감옥생활 = 197 인천 노동현장 투신과 동흥전기노조 결성 시도 = 200 정치서클의 형성 = 203 인민노련의 결성과 분리 = 205 인천부천민주노동자회의 결성과 활동 = 207 1980년대 노동운동에 대한 평가 = 215 6. 이훈구의 구술생애사 = 218 대학 입학과 탈춤반 참여 = 221 대학연합 탈춤반 - '진영' 활동 = 224 인천지역의 노동현장 투신과 지역서클 활동 = 230 조직 내부의 갈등과 분열 = 236 인천지역 조직의 정리와 새로운 모색 = 239 1980년대 노동운동에 대한 평가 = 244 2절 구술자의 현재 위치와 1980년대 노동운동 경험의 관계 = 250 3장 1970년대 학출활동가들의 구술생애사 = 275 1. 황인범의 구술생애사 = 278 장남으로 총애받던 어린 시절 = 279 이념서클 활동과 민청학련사건 = 281 출감과 출판사 취업 = 292 노동현장 준비와 남일전지 입사 = 296 대동화학의 활동과 해고 = 302 대동화학 복직과 임금인상투쟁 = 307 서울노동조합운동연합 활동 = 309 철거민투쟁과 지방자치선거 참여 = 312 노동운동 정리 이유와 현재의 삶 = 315 2. 이동섭의 구술생애사 = 321 가족 상황과 중학교 시절의 봉사활동 = 322 김상진의 죽음과 선전물 배포사건 = 325 72학번 강제징집자 모임과 노동운동 투신 = 329 1980년 5월 투쟁과 감옥생활 = 332 탄광노동자에서 택시노동자로의 전업 = 339 동양콜택시 노조활동 = 342 택시기사들의 노동상황 = 346 민주택시노조의 파업 = 348 노동운동의 목적 = 352 노동운동의 정리 = 354 1980년대 노동운동의 의미와 현재 삶 = 358 3. 최봉영의 구술생애사 = 361 성장과정 = 362 1974년 시위주도와 도서관 철야농성 싸움 = 363 강제징집과 1980년 10월 시위 = 366 노동현장 투신을 둘러싼 고민 = 370 동광운수 취업과 노조활동 = 372 창동 동아건설 입사와 노조활동 = 379 동아건설노조 파업과 구속 = 386 민중당 참여와 노동운동의 정리 = 392 운동 경험에 대한 현재의 생각 = 394 4장 1980년대 학출활동가들의 구술생애사 = 399 1. 심명화의 구술생애사 = 402 대가족의 막내딸 = 403 학교생활과 집안 분위기 = 404 중앙대 입학과 1980년 봄 시위 참여 = 407 중앙대 서클 참여와 학림사건 = 410 제일교회 '형제의 집'과 노동야학 활동 = 413 야학 노동자들과 강학들 = 417 노동현장 투신과 청계천 시다생활 = 422 부평 4공단에서의 공장활동 = 424 인천지역노동자연맹 참여 = 429 인민노련 참여와 부천 민교연 활동 = 431 울산에서의 노동운동 = 436 합법정당 전환 문제와 민중당활동 = 441 1980년대 노동운동의 의미 = 445 2. 박정순의 구술생애사 = 450 가난 속의 성장과정 = 451 대학 입학과 서클활동 = 454 공장활동 경험 = 460 노동현장 투신과 초기 경험 = 463 인희전자의 소모임활동과 1987년 파업투쟁 = 467 서해복 참여와 민주당 농성 = 474 '프티부르주아'라는 비판 = 477 1988년 대통령선거 공정감시단 활동 = 479 노동현장 정리와 지역활동 = 480 결혼생활과 정치조직활동 = 483 1980년대 노동운동의 의미와 나의 삶 = 489 3. 고민택의 구술생애사 = 492 성장과정 = 493 대학 입학과 탈춤반 참여 = 497 사회과학 학습과 중원전자 입사 = 500 1987년 중원전자 노동자들, 학출의 해고를 막은 임금인상 100원 = 506 중원전자 노동조합의 결성과 활동 = 511 구로지역 연대활동 = 514 정치조직운동의 모색과 논쟁 = 520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반(反)한사노 전선의 설치 = 527 80년대 정치조직운동의 평가와 현재의 문제의식 = 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