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4789 | |
005 | 20150527165230 | |
007 | ta | |
008 | 150526s2015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9705342 ▼g 03510 : ▼c \18000 | |
035 | ▼a (KERIS)BIB000013653708 | |
040 | ▼d 222001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5/81 ▼2 22 |
085 | ▼a 616.8581 ▼2 DDCK | |
090 | ▼a 616.8581 ▼b 2015 | |
100 | 1 | ▼a Yudofsky, Stuart C. |
245 | 1 0 | ▼a 치명적 결함 : ▼b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과의 파국적 관계에 대한 비망록 / ▼d 스튜어트 C. 유도프스키 저 ; ▼e 김동욱, ▼e 유홍섭, ▼e 장상현, ▼e 홍지혜 공역 |
246 | 1 9 | ▼a Fatal Flaws : ▼b Navigating Destructive Relationships with People with Disorders of Personality and Character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5 | |
300 | ▼a 571 p. ; ▼c 24 cm | |
500 | ▼a 참고문헌과 색인(p. 567-571) 수록 | |
650 | 0 | ▼a Personality disorders. |
650 | 0 | ▼a Personality disorders ▼x Treatment. |
650 | 0 | ▼a Psychology, Pathological. |
650 | 1 2 | ▼a Personality Disorders. |
650 | 2 2 | ▼a Clinical Medicine ▼x methods. |
650 | 2 2 | ▼a Personality Disorders ▼v Popular Works. |
650 | 2 2 | ▼a Psychotherapy ▼x methods. |
700 | 1 | ▼a 김동욱, ▼e 역 |
700 | 1 | ▼a 유홍섭, ▼e 역 |
700 | 1 | ▼a 장상현, ▼e 역 |
700 | 1 | ▼a 홍지혜, ▼e 역 |
900 | 1 | ▼a 유도프스키, 스튜어트 C.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6.8581 2015 | Accession No. 131049243 | Availability Mi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성격장애나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로 인한 문제를 다루어야 하는 초심자 및 숙련된 정신건강 전문가 모두에게 풍부한 임상적 경험과 정보를 제시한다. 특히 이 책에서는 히스테리성(연극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강박성 성격장애, 편집성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 중독성 성격장애에 대한 임상 경과, 치료, 유전학·생물학·심리학적 연구, 그리고 사례에서 나타난 파국적인 결과가 제시된다.
이 책은 정신건강 분야의 종사자가 아닌 일반 독자들이라 하더라도 각 성격장애 유형별로 제시된 흥미진진한 실제 사례들을 가벼운 마음으로 읽으면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정신과 의사 외에도 정신보건 간호사, 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정신건강 전문가들도 이 책에 수록된 실제 사례, 의학적인 자료와 최근의 연구 결과를 통해 치료 현장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Stuart C. Yudofsky(지은이)
스튜어트 C. 유도프스키(Stuart C. Yudofsky) 박사는 베일러 의과대학의 메닝거(Menninger) 정신의학·행동과학교실 주임교수이자 특훈교수(distinguished service professor)다. 그는 평생에 걸쳐 관련 분야에 공헌한 점을 인정받아 2014년 2월 시애틀에서 개최된 미국신경정신의학회 연례 회의에서 게리 J. 터커(Gary J. Tucker)상을 수상했다. 유도프스키 박사는 미국신경정신의학회의 공식 학술지인 『신경정신의학 및 임상 신경과학 저널(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의 창간에 참여했으며, 지난 25년간 동 학술지의 수석 편집위원으로 활동해 왔다. 그리고 신경정신의학 분야의 표준적인 교재로 알려져 있는 『미국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교과서(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Textbook of Neuropsychiatry)』의 공동 편저자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신경정신과학 및 정신의학 분야와 관련된 45권의 저서를 집필해 왔다. ‘외현적 공격성 척도(Overt Aggression Scale)’와 ‘외현적 불안감 척도(Overt Agitation Severity Scale)’를 고안하기도 한 유도프스키 박사는 뇌의 장애로 인해 야기되는 공격성과 불안감을 완화하기 위한 정신약물학적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는 인간의 뇌와 행동 그리고 정신질환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에 매진해 왔다. 그리고 모든 정신장애는 뇌의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모든 신경장애는 심각한 정서적·행동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김동욱(옮긴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길병원 정신과 전공의 과정 수료 2010년 정신과 전문의 자격 취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현 루카스병원 진료과장
유홍섭(옮긴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은평병원 정신과 전공의 과정 수료 2010년 정신과 전문의 자격 취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현 은혜병원 진료부장
장상현(옮긴이)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국립법무병원 정신과 전공의 과정 수료 2006년 정신과 전문의 자격 취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현 대전마음편한병원 진료과장
홍지혜(옮긴이)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전공의 과정 수료 2009년 정신과 전문의 자격 취득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현 은혜병원 진료과장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프롤로그 = 19 Part 1 서론 Chapter 1 치명적 결함이란 무엇인가 = 25 치명적 결함의 정의 = 25 성격, 기질, 인격의 정의 = 27 DSM-IV-TR에 따른 성격장애의 정의 = 30 Chapter 2 그 사람에게 치명적 결함이 있는가 = 33 치명적 결함 척도 = 33 치명적 결함 척도와 평가에 대한 논의 = 34 부록: 치명적 결함 척도 = 37 Chapter 3 치명적 결함을 가진 사람들을 다루는 아홉 가지 원칙 = 41 원칙 1 = 41 원칙 2 = 42 원칙 3 = 43 원칙 4 = 43 원칙 5 = 44 원칙 6 = 45 원칙 7 = 47 원칙 8 = 48 원칙 9 = 49 Part 2 성격장애 Chapter 4 히스테리성(연극성) 성격장애 = 53 핵심 = 54 셸비 페어몬트의 사례 Ⅰ: 귀공녀 = 55 히스테리성 (그리고 연극성) 성격장애에 관하여 = 79 히스테리성 성격장애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 85 셸비 페어몬트의 사례 Ⅱ: 상담 및 치료 = 95 후기 = 119 Chapter 5 자기애성 성격장애 Ⅰ: 치료받지 않은 자기애 = 123 핵심 = 123 하원의원 데니스 스미드의 사례 = 124 하원의원 데니스 스미드에 대한 DSM 진단 = 155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생물학적 측면 = 159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정신사회적 측면 = 162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치료에 관하여 = 164 자기애성 성격장애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문제들 = 166 후기 = 178 Chapter 6 자기애성 성격장애 Ⅱ: 치료받은 자기애 = 181 마틴 스미드 목사의 사례 = 181 마틴 스미드 목사에 대한 치료 = 187 스미드 목사의 사례로부터 얻은 교훈 = 197 의학적 질병과 회복에 있어서 영성과 종교 = 200 후기 = 204 Chapter 7 반사회적 성격장애 = 207 핵심 = 207 앤드류 크래머의 사례: 유아기에서 청년기까지 = 208 앤드류 크래머와 행실장애의 진단 = 231 앤드류 크래머의 사례: 대학 생활 그리고 범죄의 시작 = 233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진단적 특징 = 241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생물학적 측면 = 246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과 그들의 가족에 대한 치료 = 260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법 = 274 후기 = 281 Chapter 8 강박성 성격장애 = 287 핵심 = 287 칼 아들러의 사례 = 288 강박성 성격장애에 관하여 = 318 강박성 성격장애 치료의 실제 = 327 강박성 성격장애를 치료하는 데 있어 특수한 문제들 = 343 후기 = 347 Chapter 9 편집성 성격장애 = 351 핵심 = 351 윌마 워런의 사례 = 353 편집성 성격장애의 특징들 = 385 편집증에 관하여 = 388 편집성 성격장애의 치료 = 395 편집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한 대처 방법 = 398 후기 = 401 Chapter 10 경계성 성격장애 = 405 핵심 = 405 제시카 휴스의 사례 = 406 의학적 질병으로서의 경계성 성격장애 = 442 제시카에 대한 초기 치료: 첫 6개월 = 450 제시카에 대한 장기 치료 = 453 제시카의 현재 상태 = 465 후기 = 468 Chapter 11 분열형 성격장애 = 473 핵심 = 473 로버트 우즈의 사례 Ⅰ = 474 로버트 우즈의 사례 Ⅱ: 정신과적 평가와 치료 = 480 변호사의 개입 = 481 계속된 병원 치료 = 482 스토커의 정신역동 = 485 속임수 = 486 판결의 타당성 = 487 영구적인 폐쇄병동행 = 488 로버트 우즈에 대한 DSM-IV-TR 진단 = 489 분열형 성격장애의 진단적 특징 = 491 뇌 그리고 분열형 성격장애 = 194 분열형 성격장애의 치료 = 195 분열형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위협이나 스토킹을 당할 때의 대처법 = 197 후기 = 504 Chapter 12 중독성 성격장애 = 507 핵심 = 507 마리아 토레스 박사의 사례 Ⅰ: 그녀의 성장 과정 = 508 약물의존과 약물중독에 대한 정의 = 513 약물중독과 금단 현상 = 515 중독은 성격적ㆍ인격적 결함인가 = 517 중독은 개인의 선택인가 아니면 뇌의 질환인가 = 521 마약중독 = 527 마리아 토레스 박사의 사례 Ⅱ: 치료 과정 = 529 후기 = 543 Part 3 결론 Chapter 13 도움 받기 = 549 개관 = 549 변화와 탈출의 과정 = 553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가 = 556 찾아보기 =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