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 : 내 아이 마음을 단단하게 만드는 회복탄력성 훈련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insburg, Kenneth R. Jablow, Martha Moraghan, 저 안진희, 역
서명 / 저자사항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 : 내 아이 마음을 단단하게 만드는 회복탄력성 훈련 / 케네스 R. 긴스버그, 마샤 M. 재블로우 지음 ; 안진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양철북,   2015  
형태사항
359 p. : 삽화 ; 23 cm
원표제
Building resilience in children and teens : giving kids roots and wings (3rd ed.)
ISBN
9788963721590
일반주기
원서초판표제: A parent's guide to building resilience in children and teens  
일반주제명
Resilience (Personality trait) in children Resilience (Personality trait) in adolescence Child rearing Parent and child Parent and teenager Child psychology Adolescent psychology Parenting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4582
005 20150526151014
007 ta
008 150526s2015 ulka 000c kor
020 ▼a 9788963721590 ▼g 03180
035 ▼a (KERIS)BIB000013758711
040 ▼a 248019 ▼c 248019 ▼d 24801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155.4/1824 ▼2 23
085 ▼a 155.41824 ▼2 DDCK
090 ▼a 155.41824 ▼b 2015
100 1 ▼a Ginsburg, Kenneth R.
245 1 0 ▼a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 : ▼b 내 아이 마음을 단단하게 만드는 회복탄력성 훈련 / ▼d 케네스 R. 긴스버그, ▼e 마샤 M. 재블로우 지음 ; ▼e 안진희 옮김
246 1 9 ▼a Building resilience in children and teens : ▼b giving kids roots and wings ▼g (3rd ed.)
260 ▼a 서울 : ▼b 양철북, ▼c 2015
300 ▼a 359 p. : ▼b 삽화 ; ▼c 23 cm
500 ▼a 원서초판표제: A parent's guide to building resilience in children and teens
650 0 ▼a Resilience (Personality trait) in children
650 0 ▼a Resilience (Personality trait) in adolescence
650 0 ▼a Child rearing
650 0 ▼a Parent and child
650 0 ▼a Parent and teenager
650 0 ▼a Child psychology
650 0 ▼a Adolescent psychology
650 0 ▼a Parenting
700 1 ▼a Jablow, Martha Moraghan, ▼e
700 1 ▼a 안진희, ▼e▼0 AUTH(211009)124175
740 2 ▼a Parent's guide to building resilience in children and teens
900 1 0 ▼a 긴스버그, 케네스 R., ▼e
900 1 0 ▼a 재블로우, 마샤 M.,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41824 2015 등록번호 1117366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불안과 위기의 시대에 아이에게 가르쳐주어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역경을 극복하는 내면의 힘인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다. 요즘 아이들은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공부, 친구, 빡빡한 스케줄, 주위의 높은 기대, 그리고 가정불화…. 아이들이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피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피하기’가 아니라 ‘다시 일어서기’이다. 그러나 많은 아이들이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반항, 자포자기,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들을 반복한다. 이 책은 다양한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생후 ‘18개월에서 18세’에 이르는 아이들의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데 필요한 일곱 가지 핵심 요소(7C)-능력, 자신감, 유대, 성품, 공헌, 대처 기술, 자기통제력-와 구체적인 훈련법을 제시한다.

어떻게 어려움을 이겨내고 스트레스를 잘 조절하는 아이로 키울 수 있을까?
미국소아과협회에서 펴낸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회복탄력성 훈련서


불안과 위기의 시대에 아이에게 가르쳐주어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역경을 극복하는 내면의 힘인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다. 요즘 아이들은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공부, 친구, 빡빡한 스케줄, 주위의 높은 기대, 그리고 가정불화…. 아이들이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피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피하기’가 아니라 ‘다시 일어서기’이다. 그러나 많은 아이들이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반항, 자포자기,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들을 반복한다. 이 책은 다양한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생후 ‘18개월에서 18세’에 이르는 아이들의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데 필요한 일곱 가지 핵심 요소(7C)-능력, 자신감, 유대, 성품, 공헌, 대처 기술, 자기통제력-와 구체적인 훈련법을 제시한다.

[책 소개]
불확실성의 시대에 아이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내면의 힘, ‘회복탄력성’

부모는 아이가 또래압박이나 왕따, 부모의 불화와 이혼, 사기, 질병과 죽음, 가난, 범죄, 테러, 전쟁 따위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 평화로운 세상에서 살아가기를 바란다. 그러면서 부모는 아이를 모든 상실, 좌절,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는 환상에 사로잡힌다. 이것이 정말 가능할까? 물론 아이가 역경에 처하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현실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절대 다치지 않는 아이로 키우기란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아이가 세상을 살아가며 겪을 수밖에 없는 역경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키워야 한다. 아이가 어려운 도전 과제들에 잘 대처하고, 넘어져도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이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이다. 만약 아이가 세상을 온전하게 경험하길 바란다면, 부모의 목표는 ‘피하기’가 아니라, ‘다시 일어서기’가 되어야 한다.
“회복탄력성은 주로 긍정 심리학에서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과 정신 건강을 연구할 때 등장하는 개념으로, 심각한 삶의 도전에 직면하고서도 다시 일어설 뿐만 아니라 심지어 더욱 풍부해지는 인간의 능력을 뜻한다(심리학용어사전).”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최근에 긍정 심리학 분야에서 떠오르는 블루칩이다. 미국 아마존에서 ‘Resilience’를 검색하면 1,400권이 넘게 뜰 정도로 대중적인 개념이다. 2001년의 9.11 사태, 2008년의 모기지론 사태를 겪으면서 점점 불안해지는 미국의 위상과 미국인들의 심리를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다.
불안과 위기가 만연한 한국에서 ‘회복탄력성’에 대한 호응도는 더욱 빠르고 민감하다. 몇 년 전부터 한국에 소개되기 시작한 ‘회복탄력성’은 심리학계를 넘어, 이제 교육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013년부터 교육 복지 사업의 일환으로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교사 연수’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한부모 가정이나 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 등 교육 소외 계층의 학생들은 역경을 이겨내지 못하고 학업을 포기할 가능성이 더 많기 때문에, ‘필요한 정신력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복지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회복탄력성은 단지 소외 계층 학생들에게만 필요한 능력을 일컫는 개념이 아니라, 과중한 학업 부담, 극심한 경쟁, 학교폭력 등 다양한 스트레스와 학교 안팎의 위험, 위기에 노출된 모든 학생에게 필요한 능력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이제 “국어, 영어, 수학보다 회복탄력성부터 가르쳐야 한다”며 “공부는 머리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조언한다.

최신 이론과 25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훈련법’
회복탄력성 연구는 똑같이 힘든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이 서로 다른 수준의 성공과 행복을 이루는 이유를 알아내고자 하는 노력에서 시작됐다. 연구는 아이들의 삶 속에 있는 어떤 보호적 힘이 시련으로부터 완충제 역할을 하는지에 주목한다. 회복탄력성을 연구하는 분야와 사람들은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회복탄력성에 대한 책은 대게 저자의 전공과 관심사를 반영한다. 국내에도 몇 권의 회복탄력성 관련 책들이 나와 있는데, 저자의 전공과 관심사에 따라 내용이 제각각이다. 실제로 한국은 아직 연구 초기 단계라서 ‘구체적인 실행 방법’보다 ‘개념 설명’에 치중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런 때에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제시하는《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Building Resilience in Children and Teens》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책의 저자 케네스 R. 긴스버그 박사는 회복탄력성에 대한 많은 연구와 임상실험을 거쳐 나온 최신 이론들을 부모, 전문가, 공동체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구체화하는 데 주력해왔다. 그의 방법은 두 가지 핵심 요소를 갖고 있다. 하나는 부모와 아이 사이의 건강한 유대다. 이는 아이 성장의 본질적 요소다. 다른 하나는 스트레스에 대한 태도다. 그는 십대 자녀를 둔 부모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가 ‘아이의 잘못된 스트레스 대처법’이라는 점에 주목한다.《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는 이 핵심 요소를 확장한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7가지 요소(7C)와 구체적인 훈련법을 제시한다. 이렇듯 이 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회복탄력성의 뜻과 필요성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회복탄력성 강화 기술들을 아이의 기질, 특성에 맞게 연습하고 훈련하는 것이다. 회복탄력성은 특별한 개인이 타고나는 특성이 아니다. 외부의 개입이나 조정을 통해 키울 수 있는 대처 기술이다. 아이는 이런 역경에 대처하는 기술을 배움으로써 자신의 삶을 능동적으로 바꿀 수 있다. 4부 ‘스트레스 경감 전략 10’에서 특별히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대처 기술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는 다양한 분야의 최신 이론과 저자의 25년 이상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쓴 단 하나의 회복탄력성 실천 지침서다. 미국소아과협회에서 펴낸 이 책은 이러한 차별성을 인정받아 미국의 유명 서평지인 <포어워드 리뷰즈 Foreword Reviews>에서 ‘올해의 책’ 부문 금상을,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더 나은 책’을 모토로 하는 미국의 주요 출판상인 <노틸러스 북어워드 Nautilus Book Award>에서 ‘자녀교육/가정’ 부문 은상을, 영어권 전자출판물을 대상으로 하는 출판상인 에서 ‘자녀교육/양육/가족’ 부문 은상을 수상했다.

피할 수 없는 난관을 극복하고 자립적이고 낙관적인 아이로 키우는 힘,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7C’

앞에서도 말했듯이 회복탄력성에 대한 접근법은 연구자마다 제각각이다.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는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감정 코칭 연구자는 또 그것 중심으로 회복탄력성에 접근한다. 이 책을 쓴 긴스버그 박사도 마찬가지다. 그는 소아과 의사로서 ‘아이의 건강한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회복탄력성에 접근한다. 그리고 그 결과로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7가지 핵심 요소(7C)를 만들어냈다. 이런 요소를 만든 이유는 회복탄력성을 키우기 위한 수많은 방법들을 몇 가지 범주로 정리해, 부모와 아이의 이해와 훈련을 돕기 위해서다. 또한 회복탄력성에 대해 공통 언어를 만들어두면 배우자, 이웃, 공동체와 훨씬 잘 협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긴스버그 박사가 정리한 공통 언어인 7가지 핵심 요소(7C)는 능력(competence), 자신감(confidence), 유대(connection), 성품(character), 공헌(contribution), 대처 기술(coping), 자기통제력(control)이다. 이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긴스버그 박사는 7가지 핵심 요소 중 ‘능력’에 책의 가장 많은 부분을 할애한다. 단순히 긍정적으로 사고하거나 낙관적으로 기대한다고 해서 회복탄력성이 키워지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능력’이 있어야 진짜 회복탄력성이 키워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능력은 회복탄력성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며, 만약 능력이 없다면 다른 6가지 핵심 요소 또한 키우기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더불어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아이의 앞을 가로막지 말라, 자유롭게 놀게 하라, 알아차리기/칭찬하기/비판하기, 진짜 성공을 꿈꿔라, 명확하게 사고하라, 잔소리는 이제 그만, 아이가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이끌어라, 미디어 리터러시를 길러라)를 각 장에서 구체적으로 소개해, 부모가 ‘아이의 능력’에 대한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게 도와준다.

7C란 무엇인가?

1. 능력 : 능력은 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기술이나 노하우다. “난 할 수 있어”라는 모호한 느낌이나 예감이 아니다. 능력은 경험을 통해 습득된다. 유능해지기 위해서는 자신의 결정을 믿고, 책임 있는 선택을 내리고, 어려운 상황에 맞설 수 있게 돕는 기술들부터 익혀야 한다.
2. 자신감 : 자신이 갖고 있는 고유한 능력에 대한 굳은 믿음인 자신감은 능력에 뿌리를 둔다. 아이는 자신의 능력을 입증함으로써 자신감을 얻는다. 자신의 능력을 발휘한 경험이 있고, 자신이 안전하게 보호받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아이들에게는 뿌리 깊은 안정감이 생긴다. 이 안정감은 어려움에 맞서 싸울 자신감을 키워준다.
3. 유대 : 가족, 친구, 학교, 공동체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아이들은 견고한 안정감을 느낀다. 이 안정감은 확고한 가치관을 갖도록 해주고 파괴적 행동을 하지 않게 해준다.
4. 성품 : 아이들에게는 옳고 그름에 대한 감각이 필요하다. 자신이 현명한 선택을 내리고, 세상에 공헌하고, 안정적인 어른이 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성품이 좋은 아이들은 자신감과 자존감이 강하다. 그러한 아이들은 자신의 가치관을 고수하면서도 타인을 향해 따뜻한 태도를 보인다.
5. 공헌 : ‘자신이 그 안에 존재해서’ 세상이 더 나은 곳이 됐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은 아이들에게 강력한 교훈이 된다. 공헌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아이들은 목적의식적으로 행동할 줄 안다. 그러한 아이들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판단력과 행동력을 갖출 뿐만 아니라 능력, 성품, 유대 또한 강화한다.
6. 대처 기술 :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법을 배운 아이들은 인생의 역경을 극복할 준비가 훨씬 잘 되어 있다. 위험하고 걱정스러운 행동을 방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긍정적이고 다양한 대처 전략을 확보하는 것이다.
7. 자기통제력 : 자신이 자기 결정과 행동의 결과를 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면 아이들은 자신에게 역경을 극복할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반대로 부모가 아이 대신 모든 결정을 내리면, 아이들은 자기통제력을 배울 기회를 빼앗겨버린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아이는 자신에게 내적인 통제권이 있음을 알고 자신의 선택과 행동으로 결과를 결정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케네스 R. 긴스버그(지은이)

펜실베니아 의과대학 소아과 교수이자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청소년 홈리스 보호단체인 커버넌트하우스 펜실베니아에서 보건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긴스버그 박사는 회복탄력성에 대한 많은 연구와 임상실험을 거쳐 나온 최신 이론들을 부모, 전문가, 공동체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구체화하는 데 주력해왔다. 그의 방법은 두 가지 핵심 요소를 갖고 있다. 하나는 부모와 아이 사이의 건강한 유대다. 이는 아이 성장의 본질적 요소다. 다른 하나는 스트레스에 대한 태도다. 그는 십대 자녀를 둔 부모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가 ‘아이의 잘못된 스트레스 대처법’이란 점에 주목한다.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는 이 핵심 요소를 확장한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7가지 요소(7C)와 구체적인 훈련법을 제시한다.

마샤 M. 재블로우(지은이)

양육과 건강 분야에서 다양한 책과 기사를 쓰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전문 작가다.

안진희(옮긴이)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홍보마케팅 분야에서 일하며 다양한 영화를 홍보했다. 현재는 프리랜서로 일하며 책을 기획하고 번역한다.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책에 관심이 많다. 『완경 선언』, 『내 딸이 여자가 될 때』, 『마음 감옥에서 탈출했습니다』, 『나는 심리치료사입니다』, 『죽음과 죽어감에 답하다』, 『히든 피겨스』, 『내 어깨 위 고양이, Bob』 등 50여 권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 = 4
1부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1장 왜 회복탄력성인가? = 13
  현대 사회와 회복탄력성
  이 책에 대해
  이 책을 활용하는 방법
  너무 늦은 때란 없다
 2장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 24
  스트레스도 좋을 수 있을까
  목숨을 구하는 스트레스
  그렇다면 스트레스는 왜 우리를 산 채로 잡아먹는가
  꼭 기억해야 할 것
 3장 회복탄력성의 7가지 핵심 요소(7C) = 35
  회복탄력성의 뿌리
  회복탄력성의 7가지 핵심 요소(7C)
  7가지 핵심 요소의 상관성
2부 능력과 자신감
 4장 능력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51
 5장 아이의 앞을 가로막지 말라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55
  부모 경보음
  간섭 vs. 비켜서기
  형제간의 경쟁
 6장 자유롭게 놀게 하라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65
  빡빡한 일과부터 조정하라
  놀이는 유년기의 중요한 임무다
 7장 알아차리기, 칭찬하기, 비판하기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70
  지능이나 결과가 아닌 노력을 칭찬하라
  잘못된 비판
  뜻하지 않은 비판
  특별히 십대들에 대해
 8장 진짜 성공을 꿈꿔라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78
  진짜 성공이란?
  완벽주의는 좋은 것 아닌가
  무엇이 잘못일까, 누구의 잘못일까
  진짜 성공을 위한 방법
 9장 명확하게 사고하라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93
  자기 대화 듣기
  유도질문을 이용하라
 10장 잔소리는 이제 그만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100
  부모의 전형적인 잔소리
  짧고 단순하게 말하라
  인지적 "아하!"
 11장 아이가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이끌어라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118
  의사결정트리
  거절하는 법 배우기
  조종에 대응하기
  체면 세워 주기
 12장 미디어 리터러시를 길러라 : 능력을 키우는 핵심 원리 = 135
  광고 속에 숨은 뜻 찾기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13장 망가진 게 아니라 단지 다를 뿐 = 142
  사냥꾼과 망보는 사람
  만성질환이 있는 아이
 14장 자신감 = 147
  아이의 성취 알아차리기
  진짜로 칭찬하기
  합리적으로 기대하기
  중상모략하지 않기
  아이의 강점에 집중하기
3부 유대, 성품, 공헌
 15장 유대 = 165
  독립이냐, 상호의존이냐
  안정감과 소속감
  공감
  다르지 않은 남자아이들의 내면세계
  부정적 감정도 유용하다
 16장 유대의 첫걸음, 들어주라 = 175
  없애야 할 귀마개들
  아이가 대화하고 싶을 때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시간의 양 vs. 시간의 질
  아이의 말을 가로막지 말라
  아이가 이야기하도록 격려하라
  짧게 물어라
  신체 언어를 신경 써라
 17장 가족의 유대를 강화하라 = 188
  가족 의례 만들기
  밤마다 하는 체크인
  작은 것에서 찾는 기쁨
  형제자매 사이의 유대
  부부 사이의 유대
 18장 다양한 유대 관계를 맺어라 = 197
  친구
  친척과 이웃
  청소년기의 유대
  공동체
  학교
  자연
 19장 성품 = 205
  왜 성품이 중요할까
  성품 발달 목록 15가지
 20장 공헌 = 218
  자기 자신을 넘어서 세상 바라보기
  공헌은 능력, 자신감, 유대, 성품을 키운다
  집안일하기도 공헌이다
  도움을 잘 구하는 아이
4부 대처 기술
 21장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231
  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긍정적 대처 전략 vs. 부정적 대처 전략
  문제 중심 vs. 감정 중심 vs. 부정과 회피
  아이의 성장에 따라 변화하는 대처 기술
 22장 스트레스 경감 전략 10 = 240
  10가지 스트레스 경감 전략
  1. 문제를 식별하라. 그 다음 고민하라
  2. 가능하다면 스트레스를 피하라
  3. 어쩔 수 없는 것들은 포기하라
  4. 세상에 기여하라
 23장 몸을 돌봐라 = 251
  5. 운동을 하라
  6. 적극적인 휴식을 취하라
  7. 잘 먹어라
  8. 잘 자라
 24장 감정을 돌봐라 = 283
  9. 순간적인 휴가를 떠나라
  10. 정서적 긴장을 풀라
5부 자기통제력
 25장 규율은 왜 필요한가? = 311
  권위 있는 부모 되기
  너무 허용하지 않기
  경계를 받아들이도록 하기
 26장 긍정적인 규율 전략 = 320
  긍정적인 관심 기울이기
  적절한 사후 조치
  사전에 계획하기
  가족회의
  부모는 아이의 역할모델이다
 27장 자기통제력을 키워라 = 332
  쟁취한 자유
  만족 지연하기
  한 번에 한 단계씩
6부 회복탄력성이 위협받을 때
 28장 아이의 회복탄력성이 한계에 다다들 때 : 도움 찾기 = 345
 29장 부모의 회복탄력성이 한계에 다다를 때 : 다시 사랑에 빠지기 = 350
에필로그 = 357

관련분야 신착자료

Marmion, Jean-François (2022)
최경숙 (2023)
여태철 (2023)
박창호 (2023)
Lipsky, Laura van Dernoo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