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5
서론 = 19
1. 교회 구성원들의 문화적 다양성 = 21
2. 호교론의 시대 = 23
3. 신앙에서 신학으로 = 26
4. 교회와 보편공의회 = 28
5. 공의회 신학의 발생 = 31
6. 정통 신앙의 확립 = 32
7. 마무리, 새로운 신학의 시작 = 36
8. 신학과 역사적 서술 = 39
제1부 전통 신학의 발생: 니케아 공의회(Concilium Nicaenum, 325년) = 45
제1장 신학 이전의 신학 = 47
1. 교회와 시노드(Synodos) = 50
2. 콘스탄티누스 황제: Summus Pontifex(대사제) = 56
3. 아리우스와 교회의 갈등 = 62
제2장 아리우스와 아리아니즘 = 67
1. 아리우스와 로고스 신학 = 69
2. 아리우스 논쟁의 출발 = 76
3. 아리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드로스 = 82
4. 아리우스의 신학적 사유 = 84
제3장 신앙의 전통: 니케아 공의회 = 91
1. 신경 이전의 신경들 = 96
2. 니케아 신경 = 102
3. 성부와 성자의 관계: ''낳음을 받고'' = 109
4. 성부와 성자의 동일체성: ''동일본질'' = 115
제4장 니케아 신앙: 모순과 새로운 갈등 = 125
1. 공의회와 전통 = 127
2. 아리아니즘과 정치적 공방 = 132
3. 새로운 갈등 = 137
제2부 삼위일체론의 성립: 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Concilium Constantipolitanum Ⅰ, 381) = 147
제5장 아리아니즘의 여파와 성령배척론 = 150
1. 아리아니즘의 여파와 아폴리나리아니즘 = 152
2. 새로운 대결: 에우노미우스와 카파도키아 교부들 = 161
3. 교회의 혼란과 황제 발렌스의 종교정책 = 166
4. 성령 배척론 = 172
제6장 공의회 개최 = 179
1. 안티오키아, 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의 상황 = 181
2. 테오도시우스 황제의 종교정책과 공의회의 개최 = 188
3. 성령론의 수립 = 191
4. 갈등과 봉합 = 193
제7장 콘스탄티노플 신경과 신학적 이해 = 197
1. 신경과 성령 조항 = 199
2. 콘스탄티노플 신경의 이해 = 205
3. 콘스탄티노플 신경의 의의 = 221
제3부 하느님의 어머니(Theotokos)와 그리스도론: 에페소 공의회(Concilium Ephesenum, 431년) = 229
제8장 정통 그리스도론의 길 = 232
1. 하느님의 어머니(Theotokos)와 육화의 신비 = 234
2. 일원론적 그리스도론 = 242
3. 이원론적 그리스도론 = 248
제9장 네스토리우스와 키릴루스 = 254
1. 네스토리우스의 신학 = 256
2. 로마ㆍ알렉산드리아ㆍ콘스탄티노플 = 262
3. 키릴루스의 신학 = 266
4. 로마의 주교 = 272
제10장 에페소 공의회와 테오토코스(Theotokos) = 275
1. 에페소 공의회의 소집 = 276
2. 공의회의 보편성 = 288
3. 공의회의 의의와 테오토코스 = 292
제4부 그리스도론의 확립: 칼케돈 공의회(Concilium Chacedonense, 451년) = 301
제11장 에페소의 후유증과 레오 교황의 서간 = 304
1. 키릴루스와 위험한 신학 = 306
2. 에우티케스 논쟁 = 311
3. 플라비아누스와 레오 교황의 등장 = 317
4. 교황 레오의 서간(Tomus Leonis) = 321
제12장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 = 327
1. 에우티케스와 도둑 공의회(Concilium Iatrocinium) = 330
2. 칼케돈 공의회의 소집과 플라비아누스의 복권 = 333
3. 칼케돈 공의회의 의미 = 338
4. 마지막 회기, 교권의 시작 = 348
맺음말: 교의와 교회생활 = 355
부록 1. 고대 교회 약사 = 360
부록 2. 공의회 관련 로마 교황 목록 = 368
부록 3. 공의회 관련 로마-비잔틴 황제 목록 = 370
부록 4. 4세기 총대주교좌의 총대주교들(Patriarch): 로마,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콘스탄티노플 = 372
참고문헌 = 374
찾아보기 =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