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개정판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개정판 (Loan 3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erlin, Isaiah, 1909-1997 박동천, 1958-, 역 Hardy, Henry, 편
Title Statement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 이사야 벌린 지음 ; 박동천 옮김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아카넷,   2014  
Physical Medium
667 p. : 삽화, 초상화 ; 23 cm
Varied Title
Liberty : incorporating four essays on liberty
ISBN
9788957333693
General Note
색인수록  
"이사야 벌린: 생애와 저술" 수록  
원서엮은이: 헨리 하디(Henry Hardy)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Liberty Liberalism
주제명(개인명)
Berlin, Isaiah,   1909-199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4093
005 20150518150449
007 ta
008 150515s2014 ulkac 001c kor
020 ▼a 9788957333693 ▼g 93300
035 ▼a (KERIS)BIB000013524627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23.44 ▼2 23
085 ▼a 323.44 ▼2 DDCK
090 ▼a 323.44 ▼b 2014z2
100 1 ▼a Berlin, Isaiah, ▼d 1909-1997 ▼0 AUTH(211009)80938
245 2 0 ▼a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 ▼d 이사야 벌린 지음 ; ▼e 박동천 옮김
246 1 9 ▼a Liberty : ▼b incorporating four essays on liberty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아카넷, ▼c 2014
300 ▼a 667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500 ▼a 색인수록
500 ▼a "이사야 벌린: 생애와 저술" 수록
500 ▼a 원서엮은이: 헨리 하디(Henry Hardy)
600 1 0 ▼a Berlin, Isaiah, ▼d 1909-1997
650 0 ▼a Liberty
650 0 ▼a Liberalism
700 1 ▼a 박동천, ▼d 1958-, ▼e▼0 AUTH(211009)71865
700 1 ▼a Hardy, Henry, ▼e
900 1 0 ▼a 벌린, 이사야, ▼e
900 1 0 ▼a 하디, 헨리,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3.44 2014z2 Accession No. 11173633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1persons reqested this item)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68년 출간된 『자유에 관한 네 편의 논문』을 지은이의 사후 대폭 수정·보완한 수정증보판(2002)을 완역한 것이다. 1968년 책에서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빠졌던 「희망과 공포에서 해방」과 더불어 논문 3편이 추가되었으며, 벌린의 미출간 유고 중에서 추려낸 글들로 부록을 덧붙였다.

책은 옥스퍼드 출신의 전통적 자유주의자 이사야 벌린의 자유에 관한 주요 저술을 한데 모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타계 당시 영국 왕실이 기사 칭호와 공로 서훈을 한꺼번에 내릴 정도로 이사야 벌린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사상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자유론』은 그의 주저이자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은 1968년 출간된 『자유에 관한 네 편의 논문』을 지은이의 사후 대폭 수정·보완한 수정증보판(2002)을 완역한 것이다. 1968년 책에서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빠졌던 「희망과 공포에서 해방」과 더불어 논문 3편이 추가되었으며, 벌린의 미출간 유고 중에서 추려낸 글들로 부록을 덧붙였다.

책은 옥스퍼드 출신의 전통적 자유주의자 이사야 벌린의 자유에 관한 주요 저술을 한데 모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타계 당시 영국 왕실이 기사 칭호와 공로 서훈을 한꺼번에 내릴 정도로 이사야 벌린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사상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자유론』은 그의 주저이자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러시아 출신의 유대인이었던 이사야 벌린이 말하는 자유주의는 일원론과 전체주의에 저항하는 성격이 강하다. ‘진리는 하나’임을 주장하는 일원론이 전체주의, 공산주의, 민족주의 등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경계하면서 그러한 함정에 빠지지 않는 자유의 개념을 옹호한다. 또한 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의 개념 중 ‘~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는 후자를 근본적인 자유의 의미로 지지한다.

자유주의에 대한 벌린의 관점을 ‘냉전 자유주의’라고도 하는데, 그가 우파적 자유주의의 관점을 바탕으로 전체주의의 위협과 공포에 대한 경종을 지속적으로 울렸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벌린은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으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진보적 역사학자 E. H. 카와 곧잘 비교된다. 「역사적 불가피성」에서 벌린은 역사에서 개인의 선택을 거대한 흐름의 일부로 격하시켰다며 카의 역사관을 ‘교조적 유물주의’라고 비판한다. 한편 「자유의 두 개념」은 옥스퍼드대학 치첼리 석좌교수의 취임 강연을 글로 옮긴 것으로 ‘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라는 유명한 구분이 시도되고 있으며, 일체의 억압으로부터의 자유라는 소극적 자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적극적 자유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사야 벌린(지은이)

라트비아의 수도인 리가에서 1909년에 태어났다. 여섯 살 때 가족이 러시아로 이주했고, 그 나라에 사는 동안 1917년에 사회민주주의자들과 볼셰비키가 페트로그라드(상트페테르부르크의 옛 이름)에서 일으킨 두 차례의 혁명을 목도했다. 1921년에 가족이 영국으로 건너온 후 그는 런던 세인트폴 스쿨과 옥스퍼드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옥스퍼드에서 그는 올솔즈 칼리지 명예교우, 뉴 칼리지 명예교우, 사회정치이론 교수, 그리고 울프슨 칼리지 건학 초대 학장직을 맡았으며, 영국학술원 원장도 역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본서 《낭만주의의 뿌리》 이외에도,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러시아 사상가들Russian Thinkers》, 《개념과 범주Concepts and Categories》, 《흐름에 맞서다Against the Current》, 《개인적인 인상들Personal Impressions》, 《인간성의 비뚤어진 재목The Crooked Timber of Humanity》, 《현실 감각The Sense of Reality》, 《인류에 대한 올바른 연구The Proper Study of Mankind》, 《사상의 힘The Power of Ideas》, 《계몽주의의 세 비판자들Three Critics of the Enlightenment》, 《자유와 그것의 배반Freedom and Its Betrayal》, 《자유론Liberty》, 《소비에트 정신The Soviet Mind》, 《낭만주의 시대의 정치사상Political Ideas in the Romantic Age》 등이 있다. 그는 사상사 해설가로서 에라스무스 상, 리핀콧 상, 아넬리 상을 수상했다. 일생동안 시민의 자유를 옹호한 공로로 예루살렘 상을 받기도 했다. 1997년에 세상을 떠났다. 아래 사이트에서 이사야 벌린에 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http://berlin.wolf.ox.ac.uk

헨리 하디(엮은이)

옥스퍼드 울프선 칼리지의 펠로이며, 이사야 벌린의 저술에 대한 위탁관리자 중 한 사람이다. 벌린의 저술 여러 권을 편집했고, 지금은 ‘이사야 벌린 가상도서관’을 관리한다.

박동천(옮긴이)

1958년 전라남도 목포에서 태어나서 진도에서 중학교까지 다녔다. 그 후 서울 여의도 고등학교를 졸업했고,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들어갔다가 2학년 때 그만두었다. 무슨 대단한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시대와 자신을 화해시킬 길을 찾지 못했을 뿐이라고 회상한다. 국민대학교 정치학과에 새로 들어가 2학년 때 군대에 갔는데, 1980년 5월 이등병으로 휴가 나왔다가 ‘서울의 봄’을 실감했다. 책을 읽어야겠다는 기특한 생각을 오랜만에 되살리고는 헤겔의 《역사철학강의》를 사 들고 귀대했다. 그 다음날이 5월 17일이었다. 책을 다시 읽기 시작한 것은 1982년부터였다. 복학하고 대학원에 가고, 기회가 닿아 미국에도 갔다. 처음엔 미국에서 경영학 석사를 취득해 취직하고 결혼하고 애 낳아 기를 생각이었다. 하지만 공부에 대한 미련이 가시지 않은데다가 마침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장학금을 주겠다고 하여 정치철학을 하는 데까지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그리고 플라톤과 비트겐슈타인을 전공해 정치학 박사가 되었다. 소크라테스에게서는 무지의 자각을 배웠고 비트겐슈타인에게서는 일반성을 추구하는 병에 대한 경계심을 배웠다. 그리고 은사였던 고 피터 윈치 교수에게서 지적 정직과 인간적 성실을 배웠다. 여러 대학에서 정치사상과 정치이론을 강의했고, 2001년부터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소크라테스의 의무〉, 〈시몬 베유의 삶과 철학: 가담과 관조의 균형〉, 〈사회적 규칙과 사회연대〉, 〈올리버 크롬웰과 자유주의〉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주요 저서로 《깨어 있는 시민을 위한 정치학 특강》, 《이상국가론》(공저),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공저), 《플라톤 정치철학의 해체》 등이 있고, 역서로 《근대 정치사상의 토대 I》,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 17
편집 과정의 사연 = 19
자유에 관한 다섯 편의 논문
 서문 = 57
 20세기의 정치사상 = 159
 역사적 불가피성 = 223
 자유의 두 개념 = 339
 존 스튜어트 밀과 인생의 목적 = 425
 희망과 공포에서 해방 = 483
자유에 관한 다른 논문
 자유 = 531
 그리스 개인주의의 탄생 = 537
 마지막 회고 = 595
자전적 부록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 = 609
 조지 케넌에게 보낸 편지 = 617
 편견에 대한 초고 = 633
옮긴이 해제 = 639
이사야 벌린: 생애와 저술 = 651
찾아보기 = 65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