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4085 | |
005 | 20150515152344 | |
007 | ta | |
008 | 150515s2015 ulkac 000c kor | |
020 | ▼a 9788962609226 ▼g 03100 | |
035 | ▼a (KERIS)BIB000013768696 | |
040 | ▼a 211015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2.8/233 ▼2 23 |
085 | ▼a 612.8233 ▼2 DDCK | |
090 | ▼a 612.8233 ▼b 2015 | |
245 | 0 0 | ▼a 이것이 당신을 더 스마트하게 할 것이다 : ▼b 당신에겐 불확실성의 시대를 꿰뚫는 생각의 도구가 있는가? / ▼d 존 브록만 엮음 ; ▼e 장석봉 옮김 |
246 | 1 9 | ▼a This will make you smarter : ▼b new scientific concepts to improve your thinking |
260 | ▼a 서울 : ▼b 책읽는수요일 : ▼b 한국물가정보, ▼c 2015 | |
300 | ▼a 524 p. : ▼b 삽화, 초상화 ; ▼c 24 cm | |
500 | ▼a 최고의 지식 대통합 프로젝트 엣지! 세계의 지성 152명에게 묻다 | |
650 | 0 | ▼a Thought and thinking |
650 | 0 | ▼a Cognition |
650 | 0 | ▼a Brain |
650 | 0 | ▼a Consciousness |
650 | 0 | ▼a Neurosciences |
700 | 1 | ▼a Brockman, John, ▼d 1941-, ▼e 편 ▼0 AUTH(211009)111152 |
700 | 1 | ▼a 장석봉, ▼e 역 ▼0 AUTH(211009)81691 |
900 | 1 0 | ▼a 브록만, 존,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2.8233 2015 | 등록번호 1117363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계의 지성들이 펼치는 지적 논쟁의 장, 엣지! 인문학과 과학의 단절을 극복하고 ‘새로운 지식’과 ‘다르게 사고하기’, 즉 ‘제3의 문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세계 지성들에게 질문을 제시하는 엣지의 이번 주제는 ‘인간의 생각을 개선시킬 새로운 과학적 개념’이다. 과학자만을 위한 도구를 넘어 누구나 적용 가능한 평범한 도구로서의 과학과 인간을 더욱 스마트하게 해줄 152개의 개념들이 펼쳐진다. <가디언>은 ‘불확실성과 실패를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하는 이유에 대한 명쾌한 진단’이라고 평했다.
세계의 지성들이 펼치는 지적 논쟁의 장, 엣지!
“지식의 끝에 도달하기 위해 가장 뛰어난 지식을 가진 사람들을 한 방에 모아놓고, 각자 스스로 궁금하게 여기는 주제에 관해 서로 질문을 주고받게 하는 ‘사고의 대통합’ 프로젝트”! 엣지는 해마다 인문학과 과학의 단절을 극복하고 ‘새로운 지식’과 ‘다르게 사고하기’, 즉 ‘제3의 문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세계 지성들에게 질문을 제시한다. 대니얼 카너먼, 니콜라스 카, 대니얼 골먼, 데이비드 버스, 리처드 도킨스, 스티븐 핑커, 클레이 셔키 등 각 분야를 선도하는 지성들이 참여한 이 프로젝트에 대해 <와이어드>는 “제3의 문화를 만드는 과학자, 대중학자, 작가, 사상가들의 지식의 향연”으로, <가디언>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지식의 살롱”으로 소개했다.
예측 불가능한 세계의 패턴을 이해하려면, ‘생각하는 방법에 관한 생각’이 필요하다.
상아탑에 갇힌 지식을 해방시켜 대중의 뇌를 업그레이드하라
《이것이 당신을 더 스마트하게 할 것이다》에서 다루는 질문의 주제는 ‘인간의 생각을 개선시킬 새로운 과학적 개념’이다. 책을 엮은 존 브록만은 언어의 일부가 되어 널리 적용할 수 있고 사람들을 더 스마트하게 할 과학적 개념을 “간편 추상shorthand abstraction”이라고 정의한 제임스 플린의 생각을 한층 확장시켰다. 책은 세계의 패턴을 이해할 수 있는 “메타 인지”, 즉 ‘생각하는 방법에 관한 생각’과 세계의 본질에 관한, 감성과 정신의 영역에 관한 통찰을 엿볼 수 있다.
불확실성은 모르는 것을 찾아내는 과정의 본질
과학자만을 위한 도구를 넘어, 누구나 적용 가능한 평범한 도구로서의 과학을 말하다
책은 “답을 찾고 검증하고 확인하고, 우리가 탐구한 것의 한계를 이해하기 위한 과학적 방법은 지식을 얻는 신뢰할 만한 방법으로 늘 남아 있을 것이다”라는 리사 랜들의 말처럼, 세상 만물의 법칙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학자들이 연구한 이론과 개념들을 총망라한다. 또한 서로 다른 분야를 탐구하고 있는 듯 보이는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두 학문이 얼마나 잘 어울릴 수 있는지 보여준다. <가디언>은 ‘불확실성과 실패를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하는 이유에 대한 명쾌한 진단’이라고 추천했다.
인간의 인지 능력을 바라보는 다양한 해석과 논쟁들
미지의 세계를 맞이하기에 앞서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가.
케플러는 플라톤의 입체를 이용해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했고, 이는 뉴턴의 운동 법칙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다시 개선되었다. 이러한 발견과 개선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인간은 더 나은 사고활동을 이어간다. 또한 지식은 항상 누적되기 마련이고, 앞으로의 시대는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리라는 환상을 접어야 한다. 이는 모든 이론이 잠정적이며, 자신과 반대되는 이론을 내세우는 사람들의 말에도 호기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존 브록만(지은이)
‘지식의 지휘자’, ‘지식의 전도사’, ‘지식의 효소’. 모두 존 브록만을 수식하는 단어다. 엣지의 설립자이자, 리처드 도킨스, 스티븐 핑커, 재레드 다이아몬드 등 현대 과학의 선구자들을 상아탑에서 끌어내 대중과 소통하는 베스트셀러 작가로 탄생시킨 편집자 겸 출판사 브록만 사(Brockman Inc.)의 대표이기도 하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리처드 도킨스의 말을 빌려, “세상에서 가장 비싼 주소록을 지닌 존 브록만은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이를 이용한다.”고 소개했다. 저서로는 『디지털 시대의 파워 엘리트』『과학은 모든 의문에 답할 수 있는가』 등이 있으며 『위험한 생각들』『우리는 어떻게 과학자가 되었는가』 등을 편저했다.
장석봉(옮긴이)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단행본 기획을 하며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인류의 문화를 바꾼 물건 이야기 100』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회색곰 왑의 삶』 『뒷골목 고양이』 『일러스트 동물농장』 『둘리틀 박사의 우체국』 『둘리틀 박사의 동물원』 등이 있다.

목차
목차 PROLOGUE : 불확실성의 시대를 읽는 151가지 생각들 / 데이비드 브룩스 = 5 INTRODUCTION : 이것이 당신을 더 스마트하게 할 것이다 / 존 브록만 = 10 깊은 시간과 아주 먼 미래 / 마틴 리스(Martin Rees) = 25 우리는 유일하다 / 마르셀로 글레이서(Marcelo Gleiser) = 29 평범성의 원리 / P. Z. 마이어스(P. Z. Myers) = 33 무의미한 우주 / 숀 캐럴(Sean Carroll) = 36 코페르니쿠스 원리 / 새뮤얼 아브스만(Samuel Arbesman) = 41 우주에서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 J. 크레이그 벤터(J. Craig Vente) = 43 미생물이 세계를 움직인다 / 스튜어트 브랜드(Stewart Brand) = 46 이중 눈가림 통제 실험 /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 = 49 과학적 생활 방식 / 맥스 테그마크(Max Tegmark) = 51 실험 활동 / 로저 쉥크(Roger Schank) = 56 통제된 실험 / 티모 하네이(Timo Hannay) = 59 게당켄 실험 / 지노 세그레(Gino Segre) = 62 과학사로부터 유도되는 비관적 메타 귀납 / 캐서린 슐츠(Kathryn Schulz) = 64 우리는 각자 평범하지만 동시에 특별하다 / 새뮤얼 배런디스(Samuel Barondes) = 67 연관 인과, 도덕 전쟁, 귀인 오류 / 존 투비(John Tooby) = 69 자기 위주 편향 / 데이비드 G. 마이어스(David G. Myers) = 74 인지적 겸손 / 개리 마커스(Gary Marcus) = 77 기술에는 편향이 있다 / 더글러스 러시코프(Douglas Rushkoff) = 81 편향은 특종을 탐지해내는 코다 / 제럴드 스몰버그(Gerald Smallberg) = 83 당신의 스포트라이트를 통제하라 / 조나 레러(Jonah Lehrer) = 86 초점 두기 착각 /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 = 89 확실성의 쓸모없음 /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 = 92 불확실성 / 로런스 크라우스(Lawrence Krauss) = 94 미지의 공포에 대처하는 균형 감각 / 오브리 드 그레이(Aubrey De Grey) = 96 왜냐하면 / 나이절 골든펠드(Nigel Goldenfeld) = 99 이름 게임 / 스튜어트 파이어슈타인(Stuart Firestein) = 104 삶은 치명적이다 / 세스 로이드(Seth Lloyd) = 108 계산되지 않은 위험 가능성 / 개릿 리시(Garrett Lisi) = 111 진실은 모델이다 / 닐 거센필드(Neil Gershenfeld) = 115 다수로부터 하나로 / 존 클라인버그(Jon Kleinberg) = 117 도시 섹슈얼리티의 공간근접학 / 스테파노 보에리(Stefano Boeri) = 121 실패는 성공을 자유롭게 한다 / 케빈 켈리(Kevin Kelly) = 122 전체론 / 니컬러스 크리스태키스(Nicholas Christakis) = 126 TANSTAAFL / 로버트 프로빈(Robert Provine) = 130 회의적 경험주의 / 제럴드 홀턴(Gerald Holton) = 132 열린계 / 토머스 A. 배스(Thomas A. Bass) = 134 비유전성 유전 / 조지 처치(George Church) = 136 기준선 이동 증후군 / 폴 케드로스키(Paul Kedrosky) = 139 PERMA /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 = 142 포지티브섬 게임 /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 = 145 생존을 위한 끌어안기 / 로저 하이필드(Roger Highfield) = 150 비교 우위론 / 딜런 에번스(Dylan Evans) = 153 구조화된 세렌디피티 / 제이슨 츠바이크(Jason Zweig) = 155 세계는 예측 불가능하다 / 루디 러커(Rudy Rucker) = 158 무작위성 / 찰스 세이프(Charles Seife) = 160 만화경적 발견 엔진 / 클리퍼드 픽오버(Clifford Pickover) = 164 최선의 설명을 위한 추론 / 레베카 뉴버거 골드스타인(Rebecca Newberger Goldstein) = 167 의물화 / 이매뉴얼 더먼(Emanuel Derman) = 170 인지 부하 / 니콜라스 카(Nicholas Carr) = 172 큐레이트하기 /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Hans Ulrich Obrist) = 176 우아한 간편 추상들 / 리처드 니스벳(Richard Nisbett) = 179 외부 효과 / 로버트 커즈번(Robert Kurzban) = 184 모든 것은 움직이고 있다 / 제임스 오도넬(James O'Donnell) = 188 하위 자아와 단원적 마음 / 더글러스 T. 켄릭(Douglas T. Kenrick) = 191 예측 부호화 / 앤디 클라크(Andy Clark) = 194 우리의 감각 데스크톱 / 도널드 호프만(Donald Hoffman) = 196 감각과 다중 감각 / 배리 C. 스미스(Barry C. Smith) = 201 환경 세계 / 데이비드 이글먼(David Eagleman) = 206 합리적 무의식 / 앨리슨 고프닉(Alison Gopnik) = 210 우리는 우리의 정신을 형성하는 것들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 / 애덤 알터(Adam Alter) = 216 학습 본능 / W. 티컴세 피치(W. Tecumseh Fitch) = 220 하향식이 아닌 상향식 사고 / 마이클 셔머(Michael Shermer) = 224 고정 행위 유형 / 아이린 페퍼버그(Irene Pepperberg) = 228 10의 거듭제곱 / 테렌스 세즈노프스키(Terrence Sejnowski) = 230 생명 코드 / 후안 엔리케스(Juan Enriquez) = 234 계약 조건 만족 / 스티븐 M. 코슬린(Stephen M. Kosslyn) = 237 순환 / 대니얼 C. 데닛(Daniel C. Dennett) = 241 핵심 소비자들 / 제니퍼 자케(Jennifer Jacquet) = 246 누적된 실수 / 재런 레이니어(Jaron Lanier) = 249 문화 유인자 / 댄 스퍼버(Dan Sperber) = 253 척도 분석 / 줄리오 보칼레티(Giulio Boccaletti) = 258 은닉층 / 프랭크 윌첵(Frank Wilczek) = 262 과학 / 리사 랜들(Lisa Randall) = 267 내부 집단 확장 / 마르셀 킨즈본(Marcel Kinsbourne) = 269 우발적 초개체 / 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 = 271 파레토 법칙 / 클레이 셔키(Clay Shirky) = 274 틀을 찾다 / 윌리엄 캘빈(William Calvin) = 279 사악한 문제 / 제이 로젠(Jay Rosen) = 282 인류세적 사고 / 대니얼 골먼(Daniel Goleman) = 286 호모 딜라투스 / 앨런 앤더슨(Alun Anderson) = 291 생각 속에서 길을 잃다 / 샘 해리스(Sam Harris) = 294 현상론적으로 투명한 자아모델 / 토머스 메칭거(Thomas Metzinger) = 298 상관관계는 원인이 아니다 / 수전 블랙모어(Susan Blackmore) = 300 정보의 흐름 / 데이비드 달림플(David Dalrymple) = 304 시간 안에서 생각하기, 시간 밖에서 생각하기 / 리 스몰린(Lee Smolin) = 307 소극적 능력은 좋은 치료법이다 / 리처드 포먼(Richard Foreman) = 311 깊이 / 토르 뇌레트라네르스(Tor Nørretranders) = 313 기질 차원 / 헬렌 피셔(Helen Fisher) = 317 성격/정신이상 연속체 / 제프리 밀러(Geoffrey Miller) = 321 ARISE / 조엘 골드= Joel Gold) = 325 계의 평형 / 매튜 리치(Matthew Ritchie) = 327 기획적 사고 / 린다 스톤(Linda Stone) = 330 변칙과 패러다임 / V. S. 라마찬드란(V. S. Ramachandran) = 333 재귀 구조 / 데이비드 겔런터(David Gelernter) = 339 마음 디자인하기 / 돈 탭스콧(Don Tapscott) = 344 프리 재즈 / 안드리안 크라이에(Andrian Kreye) = 348 집단 지성 / 맷 리들리(Matt Ridley) = 351 위험 해독력 / 게르트 기거렌처(Gerd Gigerenzer) = 354 과학과 극장 / 로스 앤더슨(Ross Anderson) = 358 기저율 / 키스 데블린(Keith Devlin) = 360 검색성 / 마티 허스트(Marti Hearst) = 362 주장은 증거를 수집함으로써 풀리는 경험적 질문인 경우가 많다 / 수전 피스케(Susan Fiske) = 364 과학자는 과학자여야만 한다 / 그레고리 폴(Gregory Paul) = 365 브리콜뢰르 / 제임스 크로크(James Croak) = 369 과학적 방법은 과학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 마크 헨더슨(Mark Henderson) = 371 생명게임 / 닉 보스트롬(Nick Bostrom) = 374 사례증거주의 / 로버트 새폴스키(Robert Sapolsky) = 378 명백히 위험하다는 것은 증명할 수 있지만 명백히 안전하다는 것은 증명할 수 없다 / 톰 스탠디지(Tom Standage) = 382 부재와 증거 / 크리스틴 핀(Christine Finn) = 385 경로 의존성 / 존 맥워터(John McWhorter) = 388 서로 존재 / 스콧 D. 샘슨(Scott D. Sampson) = 392 타자 / 디미타르 사셀로프(Dimitar Sasselov) = 396 생태학 / 브라이언 이노(Brian Eno) = 398 이중성 / 스테픈 H. 알렉산더(Stephon H. Alexander) = 401 이중성 / 어맨다 게프터(Anamda Gefter) = 404 역설 / 앤서니 아기레(Anthony Aguirre) = 407 근본 원인 분석: 인간 '블랙박스' / 에릭 토폴(Eric Topol) = 410 개인 자료 수집 / 데이비드 로완(David Rowan) = 413 예술과 상업에서의 병행론 / 사티아지트 다스(Satyjit Das) = 416 혁신 / 로런스 C. 스미스(Laurence C. Smith) = 420 기브스 풍경 / 케빈 핸드(Kevin Hand) = 422 블랙스완 기술 / 비노드 코슬라(Vinod Khosla) = 425 카코노믹스 / 글로리아 오리기(Gloria Origgi) = 428 케이페이브 / 에릭 웨인스타인(Eric Weinstein) = 431 오컴의 면도날 안에 있는 아인슈타인의 칼날 / 카이 크라우제(Kai Krause) = 435 열추적 미사일 / 데이브 와이너(Dave Winer) = 440 얽힘 / 마르코 야코보니(Marco Iacoboni) = 442 과학 기술이 인간성을 위한 길을 닦아놓았다 / 티머시 테일러(Timothy Taylor) = 446 재량 시간 범위 / 폴 사포(Paul Saffo) = 448 폐기 가능성 / 타니아 롬브로조(Tania Lombrozo) = 451 에테르 / 리처드 탈러(Richard Thaler) = 453 가설로서 지식 / 마크 페이젤(Mark Pagel) = 156 아인슈텔롱 효과 / 예브게니 모로조프(Evgeny Morozov) = 460 호모 센수스 사피엔스 / 에두아르도 살세도 알바란(Eduardo Salcedo―Albarȧn) = 462 작화증 이해하기 / 피에리 쿠시먼(Fiery Cushman) = 466 성 선택 / 데이비드 M. 버스(David M. Buss) = 174 Q.E.D. 순간 / 바트 코스코(Bart Kosko) = 474 이해와 의사소통의 대상 / 리처드 솔 워먼(Richard Saul Wurman) = 477 부작용으로서 생명 / 칼 짐머(Carl Zimmer) = 479 베크 효과 / 그레고리 코크런(Gregory Cochran) = 480 수반성 / 조슈아 그린(Joshua Greene) = 484 문화 주기 / 헤이즐 로즈 마커스(Hazel Rose Markus) ; 앨러너 코너(Alana Conner) = 489 상전이와 규모전이 / 빅토리아 스터든(Victoria Stodden) = 494 반복 가능성 / 브라이언 넛슨(Brian Knutson) = 497 주변 기억과 중립적 관찰의 신화 / 제니 자댕(Xeni Jardin) = 500 과학적 과정의 이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 다이언 F. 핼펀(Diane F. Halpern) = 502 디시보 효과 / 비어트리스 골롬(Beatrice Golomb) = 505 안트로포필리아 / 앤드루 레브킨(Andrew Revkin) = 510 붕괴된 사고를 위한 해법: 신호탐지이론 / 마자린 R. 바나지(Mahzarin R. Banaji) = 514 일상적 아포페니아 / 데이비드 피사로(David Pizarro) = 520 쓰레기로 가득 찬 인지 도구들 / 에른스트 푀펠(Ernst Pӧppel) = 522 감사의 말 =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