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적체험과 예술교육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미숙, 강의 곽덕주, 강의 최우정, 강의 정연심, 강의 남인우, 강의
단체저자명
서울문화재단, 편
서명 / 저자사항
미적체험과 예술교육 = Aesthetic experience & art education / [전미숙 외 강의] ; 서울문화재단 엮음
발행사항
서울 :   이음스토리,   2014  
형태사항
199 p. : 삽화 ; 21 cm
총서사항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총서 ;2
ISBN
9788998555030
일반주기
강의: 곽덕주, 최우정, 정연심, 남인우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3970
005 20150514111330
007 ta
008 150513s2014 ulka 000c kor
020 ▼a 9788998555030 ▼g 93600
035 ▼a (KERIS)BIB000013446436
040 ▼a 249002 ▼c 249002 ▼d 211009
082 0 4 ▼a 700.71 ▼2 23
085 ▼a 700.71 ▼2 DDCK
090 ▼a 700.71 ▼b 2011z3 ▼c 2
245 0 0 ▼a 미적체험과 예술교육 = ▼x Aesthetic experience & art education / ▼d [전미숙 외 강의] ; ▼e 서울문화재단 엮음
246 3 1 ▼a Aesthetic experience and art education
260 ▼a 서울 : ▼b 이음스토리, ▼c 2014
300 ▼a 199 p. : ▼b 삽화 ; ▼c 21 cm
440 1 0 ▼a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총서 ; ▼v 2
500 ▼a 강의: 곽덕주, 최우정, 정연심, 남인우
700 1 ▼a 전미숙, ▼e 강의 ▼0 AUTH(211009)20579
700 1 ▼a 곽덕주, ▼e 강의 ▼0 AUTH(211009)136603
700 1 ▼a 최우정, ▼e 강의 ▼0 AUTH(211009)20580
700 1 ▼a 정연심, ▼e 강의 ▼0 AUTH(211009)72157
700 1 ▼a 남인우, ▼e 강의 ▼0 AUTH(211009)86279
710 ▼a 서울문화재단, ▼e▼0 AUTH(211009)115901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71 2011z3 2 등록번호 1117362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예술로 이야기하고 예술로 숨 쉬는, 예술분야 전문가들의 창의예술교육 안내서. 교육철학, 무용, 음악, 시각, 연극에 이르는 전문가들의 강의록을 담은 이 책은 예술에 거리감을 느끼는 이들, 혹은 예술교육가들에게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학습자의 관점으로 예술을 경험하고 이해하며 각 장르의 기본 언어 및 미적 요소의 탐구를 따라가다 보면, 예술의 새로운 일면을 마주하게 된다. 미적체험을 통해 예술로 다가가고 싶다면 가장 먼저 봐야 할 책이다.

책 속에 등장하는 예술교육가들이 말하는 예술은 ‘소통’이다. 마음과 마음이 만나는 작업이며 나와 타인의 만남이다. 예술은 나로부터 출발해 타인을 향해가는 것이므로 우리는 예술을 통해 타인을 만나게 된다. 더불어 어떤 장르의 예술이든 그 완성에는 예술가와 관객의 소통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술 그 자체로 이해 불가, 접근 불가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대상으로 다가가는 소통의 길이 되어야 한다.

예술로 숨 쉬는 사람들의 예술교육 이야기

예술로 이야기하고 예술로 숨 쉬는, 예술분야 전문가들의 창의예술교육 안내서 『미적체험과 예술교육』. 교육철학, 무용, 음악, 시각, 연극에 이르는 전문가들의 강의록을 담은 이 책은 예술에 거리감을 느끼는 이들, 혹은 예술교육가들에게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학습자의 관점으로 예술을 경험하고 이해하며 각 장르의 기본 언어 및 미적 요소의 탐구를 따라가다 보면, 예술의 새로운 일면을 마주하게 된다. 미적체험을 통해 예술로 다가가고 싶다면 가장 먼저 봐야 할 책이다.

익숙하지만 새롭고, 낯설지만 친숙한


『미적체험과 예술교육』을 통해 만난 예술은 ‘대단히’ 유쾌하다. 일상에서 벗어나니 생각 없이 움직이고 듣고 말하던 행위들이 예술로 다가온다. 일상이 예술이 되고, 예술은 또 다른 예술이 된다. 이 책에 소개된 강의들은 익숙한 것을 다른 맥락으로 재구성하여 상상의 세계로 인도한다. 익숙하지만 새롭고, 낯설지만 친숙하다. 이렇게 보니 예술이 어렵지만은 않다. 이것이 이 책을 기획한 서울문화재단이 제시하는 창의예술교육의 ‘방향성’이다. 이들은 ‘시민과 예술가가 함께 행복한 문화도시 서울을 만든다’는 슬로건 아래 보통사람(비예술인)을 위한 예술 교육을 목표로 한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예술에는 다행히도 ‘접근 불가’ 딱지가 없다. 예술가를 위한 예술, 특정 계층을 위한 예술, 으스대는 예술이 아니다. 예술가와 관객의 경계를 나누어 이해 불가의 모든 책임을 관객에게 전가하는 예술이 아니니 그 얼마나 다행인가.

소통하는 예술, 나에서 타인으로, 타인에서 세상으로


이 책에 등장하는 예술교육가들이 말하는 예술은 ‘소통’이다. 마음과 마음이 만나는 작업이며 나와 타인의 만남이다. 예술은 나로부터 출발해 타인을 향해가는 것이므로 우리는 예술을 통해 타인을 만나게 된다. 더불어 어떤 장르의 예술이든 그 완성에는 예술가와 관객의 소통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술 그 자체로 이해 불가, 접근 불가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대상으로 다가가는 소통의 길이 되어야 한다. 이처럼 『미적체험과 예술교육』은 예술교육의 궁극적 목표를 알려준다. 다각적인 예시와 더불어 오감으로 경험하는 예술교육은 결코 어렵지 않다.

창조적 가능성의 발현, 널리 깨어 있는 삶으로의 발전


세상은 언제나 새로움을 갈구한다. 창의예술교육은 감각을 깨워 내면의 새로운 목소리를 찾아주는 창조적 역할을 한다. 새로움은 더 나은 삶에 대한 기대다. 더 나은 삶을 위한, 가능성과 꿈에 대한 확신이 필요한 시절이다. 그런 의미에서 예술은 나름의 의미를 지닌다. 예술은 세상 그리고 나 자신의 경험에 대한 새로운 표현 방식을 통해 ‘가능성’을 꿈꾸려는 노력이므로. 이 책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진행한 강의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예술에의 심미적 경험을 설명한다. 다양한 장르 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경험이 우리를 ‘널리 깨어 있는’ 삶으로 이끌어 개인의 발전에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데 주목한 것이다. 이것이 예술교육의 ‘가능성’이다.

예술교육가 그리고 보통사람을 위한 예술교육 지침서


삭막한 세상의 감성을 일깨워 줄 예술의 중요성이 주목받는 요즘 이 책은 예술의 본질을 깨닫게 한다. ‘피카소는 최고의 예술가’라는 주입식 예술 대신 비평적 질문과 놀이로서의 예술을 택했다. 지루한 교육 방법론보다 예술적 자극들을 어떻게 즐기고, 체험해야 하는지에 주목한 것이다. 곧 『미적체험과 예술교육』은 예술을 매개체로 예술을 교육하는 예술교육가와 예술에 관심이 있는 보통사람들을 위한 지침서이다. 미적체험을 통한 예술교육의 진정한 매력을 느껴 볼 기회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연심(지은이)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 미국 뉴욕대학교의 인스티튜트 오브 파인 아트(IFA, Institute of Fine Arts)에서 미술사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뉴욕주립대학교(FIT,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조교수와 뉴욕 구겐하임미술관에서 개최된 '백남준 회고전'의 리서처를 역임했다. 2018-2019 미국 뉴욕대학교 풀브라이트 펠로우(Fulbright Fellow)로 선정되었으며, 2018년에 광주비엔날레 '상상된 경계들Imagined Borders'의 큐레이터로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현대공간과 설치미술》이 있으며,《Collision, Innovation and Interaction: Korean Art from 1953》《비평가, 이일 앤솔로지》《Lee Bul Dissident Bodies》등을 공저(편)했다.

최우정(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파리국립고등음악원 등지에서 작곡 및 음악이론을 공부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통영국제음악제 상주단체인 팀프 앙상블(TIMF Ensemble)을 이끌고 있다. 클래식 현대음악 분야뿐 아니라 극음악, 뮤지컬, 오페라, 무용 등의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곽덕주(지은이)

현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이자 서울대 교육연구소 소장이다. 2021년부터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으로 봉사하고 있기도 하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Teachers college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관심사는 동서양 비교교육철학, 교사교육철학, 예술교육철학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미적체험과 예술교육』(2013, 공저), Confucian Perspectives on Learning and Self-transformation: International and Crosscultural Approaches(2020, 공동편저), 『코로나 이후 교육을 말하다』(2021, 공저) 등이 있다.

남인우(지은이)

연극영화학과 연기(아동청소년극)를 전공하고, 2000년 연극의 언어에 대해 눈뜨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연극의 교육적 가치와 예술적 힘을 알리고자 실험적 무대를 전개해 왔다. 호원대학교 산학협력 교수 및 극단 북새통 예술감독으로 활동하며 현대무용, 시각예술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는 확장 작업에 고군분투하고 있다.

전미숙(지은이)

한국예술종합대학교 무용원에서 현대무용을 지도하고, 안무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무용예술교육에 있어 실기적인 측면 외에 미적체험을 겸비한 예술철학을 함께 교육하는 것이 이 시대의 예술교육에 있어 중요한 관점이라 생각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 왔다. 무한히 변화하는 예술영역의 주체자들은 예술가들뿐만 아니라 동시대의 모든 사람들이기 때문에, 생활 속에서 발견하는 예술적 사고를 끌어주는 진정한 예술교육가의 책임을 함께하며 이 과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01 미적체험 예술교육의 이해 / 곽덕주 
 보통사람을 위한 예술교육: 예술의 교육적 가치 = 12
 상상력과 감수성의 확장 가능성 = 17
 새로운 패러다임의 예술교육 접근 = 22
02 연극예술과 미적체험 / 남인우 
 예술가의 본질, 예술교육가의 본질 = 31
 원초적 상상 : 만약 내가∼라면(As if) = 35
 허구가 주는 즐거움: 왜? 가짜니까! = 42
 일상과 예술의 경계, 예술가와 교사의 경계 = 44
 나를 기다려 줬던 선생님 = 48
 예술로 타인과 만나기: 질문을 던지는 방법 = 55
 배우(Actor)는 행동하는 사람 = 62
03 시각예술과 미적체험 / 정연심 
 일상과 예술, 혹은 예술과 예술의 결합 = 71
 무의식과 마주하지 않기: 의식적으로 의식하지 않기 = 75
 추상(抽象)으로 가는 길: 우연과 관찰의 반복 = 78
 문자와 이미지: 형상의 해독 = 83
 텍스트와 이미지의 연결고리 끊기 = 89
 다양한 매체와의 만남과 확장 = 94
04 음악예술과 미적체험 / 최우정 
 소리의 여러 가지 풍경 = 105
 작곡, 作曲, Composition = 111
 현실의 재구성: 관찰과 선택, 그리고 표현 = 115
 '무엇'이 아닌 '어떻게'에 관한 문제 = 120
 귀로 관찰하기: Check It Out! = 125
 세상의 소리를 듣는 시간 = 127
05 무용예술과 미적체험 / 전미숙 
 현대무용에 대한 몇 가지 단상 = 137
 익숙하지만 새로운, 낯설지만 친숙한 = 140
 몸의 언어 : 확장과 도전을 위한 새로운 움직임 = 144
 무용 작품과의 만남: 7개의 공연 관람 = 150
 모든 것이 '예술'로 정의되는 시대: Talk! Talk! Talk! = 157
06 미적체험 예술교육을 위한 교육학적 구성 / 곽덕주
 6주간의 성찰 노트 = 170 
 미적체험 예술교육의 11가지 목표 = 178
 미적체험 예술교육의 방법적 원리 = 179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 수업의 구성요소 = 183
 관찰의 기술 = 185
07 후기 : 참가자 후기 = 190
에필로그 = 19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