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머리말 = 11
제2장 공산주의이념의 전파 = 15
1. 러시아혁명 = 15
2. 코민테른의 지원 = 20
1) 코민테른의 극동정책 = 21
2) 극동민족대회 = 28
3) 레닌의 면담과 지원 = 37
3. 공산주의 서적의 보급 = 45
제3장 1920년대 공산주의의 수용과 이해 = 49
1. 공산주의의 수용 = 50
1) 수용 동기 = 51
2) 수용 과정 = 59
3) 공산대학 졸업생의 귀국 = 66
2. 공산주의 이해 = 70
1) 실천적 차원 = 71
2) 이론적 차원 = 76
① 변증법적 유물론 = 78
② 유물사관 = 80
③ 계급투쟁론 = 83
④ 잉여가치론 = 86
⑤ 제국주의론 = 88
⑥ 국가론 = 90
⑦ 민족문제 = 92
⑧ 종교관 = 95
⑨ 이데올로기론 = 99
⑩ 예술론 = 105
제4장 조선공산당 창당 = 109
1. 공산당 창당의 정신적ㆍ물적 토대 = 110
1) 정신적 토대 = 111
2) 물적 토대 = 116
2. 청년단체 및 사상단체의 출현 = 127
1) 청년단체 = 128
2) 사상단체 = 132
3. 공산당 창당과 공청 결성 = 135
1) 조선공산당 창당 = 138
2) 고려공산청년회 결성 = 148
제5장 조선공산당의 검거와 해체 = 155
1. 공산당 검거 = 156
1) 1차 검거 = 158
2) 2차 검거 = 162
3) 3차 검거 = 169
4) 4차 검거 = 174
2. 파벌투쟁과 공산당 해산 = 179
1) 파벌투쟁 = 180
① 파벌의 기원과 비판 = 182
② 북한의 종파주의 비판 = 187
2) 12월 테제와 공산당 해산 = 191
① 12월 테제 = 192
② 공산당 해산 = 196
제6장 민족진영과의 제휴 = 203
1. 민흥회 결성과 정우회 창립 = 204
1) 조선민흥회 결성 = 205
2) 정우회 창립 = 208
2. 신간회의 창립과 활동 = 214
1) 신간회 창립 = 215
2) 신간회 활동 = 221
① 강연 및 연구 활동 = 223
② 동맹휴학 및 광주학생사건 조사 = 227
③ 각종 피해 조사 = 230
④ 수감자 무료변론 및 인권 보호 = 232
⑤ 민족적 차별 및 탄압 항의 = 234
3. 신간회 해소 = 237
1) 일제의 파괴공작 = 239
2) 좌익진영의 파괴공작 = 246
① 코민테른의 전술 변화 = 248
② 좌익진영의 추종 = 253
3) 해소론과 해소반대론 = 261
① 해소론 = 263
② 해소반대론 = 266
제7장 치안유지법과 전향 = 271
1. 치안유지법과 사상범보호관찰령 = 272
1) 치안유지법의 제정과 개정 = 274
2) 사상범보호관찰령 시행 = 281
2. 전향 현황 및 동기 = 290
3. 전향자들의 인식과 논리 = 302
1) 전향자들의 인식과 요구사항 = 303
2) 전향의 논리 = 314
4. 역전향 현황 = 319
제8장 공산주의자들의 인식과 사회분석 = 327
1. 1930년대 공산주의자들의 인식 = 328
1) 공산주의의 수용 배경 = 329
2) 공산주의에 관한 인식 = 333
2. 조선의 사회 및 경제 분석 = 336
1) 사회분석 = 337
2) 경제분석 = 341
3. 자본주의 분석 = 348
1) 자본주의와 전쟁 = 349
2) 자본주의와 공황 = 354
제9장 행동강령과 혁명론 = 359
1. 조선공산당의 행동강령과 파벌투쟁 비판 = 360
1) 행동강령 = 361
2) 파벌투쟁 비판 = 372
2. 조선 공산주의자의 임무와 조선혁명론 = 379
1) 공산주의자의 임무 = 381
2) 조선혁명론 = 388
제10장 맺음말 = 393
[자료편]
[1] 조선공산당 행동강령 = 399
1. 현정세와 기본 슬로건 = 399
2. 혁명운동의 부문별 요구를 위한 투재 = 408
(1) 일반적 요구 = 409
(2) 노동자의 특수한 요구 = 410
(3) 농민의 요구 = 412
(4) 도시 소부르주아지를 위한 투쟁 = 413
(5) 여성 해방 = 414
(6) 청년의 요구 = 415
3. 결론 = 416
[2] 조선공산주의자들의 파벌투쟁 = 419
[3] 코민테른 6회 대회 후 조선공산당 정황 = 423
참고문헌 = 427
찾아보기 =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