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3297 | |
005 | 20150507114616 | |
007 | ta | |
008 | 150504s2015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931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752353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71.260973 ▼2 23 |
085 | ▼a 371.26 ▼2 DDCK | |
090 | ▼a 371.26 ▼b 2015z1 | |
100 | 1 | ▼a McMillan, James H. ▼0 AUTH(211009)105756 |
245 | 1 0 | ▼a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 ▼b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 ▼d James H. McMillan 지음 ; ▼e 손원숙 [외]옮김 |
246 | 1 9 | ▼a Classroom assessment : ▼b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 ▼g (6th ed.)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5 | |
300 | ▼a 447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역자: 박정, 강성우, 박찬호, 김경희 | |
504 | ▼a 참고문헌(p. 426-442)과 색인수록 | |
650 | 0 | ▼a Educational tests and measurements |
650 | 0 | ▼a Examinations |
650 | 0 | ▼a Examinations ▼x Validity |
650 | 0 | ▼a Examinations ▼x Interpretation |
700 | 1 | ▼a 손원숙, ▼e 역 ▼0 AUTH(211009)110230 |
700 | 1 | ▼a 박정, ▼e 역 ▼0 AUTH(211009)108259 |
700 | 1 | ▼a 강성우, ▼e 역 ▼0 AUTH(211009)142221 |
700 | 1 | ▼a 박찬호, ▼e 역 ▼0 AUTH(211009)95872 |
700 | 1 | ▼a 김경희, ▼e 역 ▼0 AUTH(211009)129579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26 2015z1 | 등록번호 1117357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기존의 교육평가 저서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본 역서의 가장 큰 장점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평가의 역할을 강조하고, 수업과 평가의 통합을 위한 다양한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6판을 개정하면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학습을 위한 평가' 또는 '형성평가'의 원리와 다양한 형성평가의 기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는 점은 기존 교육평가 저서들과 비교할 때, 가장 큰 강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역서에서는 대규모 책무성 평가와 교실평가의 연계를 강조하고, 기준참조(standard-based) 수업을 위한 교사의 교실 내 평가활동의 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역서는 지나치게 어려운 통계나 측정의 기술적인 용어들을 배제하고, 현직 또는 예비 교사 및 교육전문가들에게 현장에 기초한 예시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육평가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였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제1장 교수에서 평가의 역할 1. 교실평가의 거시적 맥락 = 25 1) 21세기 핵심역량 = 26 2) 기술공학 = 26 3) 인지ㆍ사회문화적 학습과 동기의 원리 = 26 4) 기준 참조적 교육 = 29 5) 고부담 검사 = 30 2. 수업과 평가의 통합 = 32 1) 교수의 현실 = 32 2) 수업단계별 교사의 의사결정과 평가 = 34 3. 교실평가의 구성 요소 = 37 1) 평가 목적 = 38 2) 측정 = 39 3) 해석 = 39 4) 활용 = 39 4. 교실평가의 최신 동향 = 41 5. 교사의 교실평가와 성적부여 결정 = 44 6.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기준 = 46 7. 요약 = 48 제2장 성취기준과 인지적 학습 목표 1. 학생이 성취해야 할 목표에 대한 이해 = 52 1) 총괄적인 개념 파악 = 52 2) 교육 목적 = 54 3) 성취기준 = 54 4) 주 단위 성취기준 = 56 5) 공통 핵심 주 단위 성취기준 = 60 6) 교육 목표 = 62 7) 교육 목표 분류 = 64 2. 학습 목표 = 68 3. 지식 목표의 유형 = 72 1) 지식의 표현 = 72 2) 명제적 지식과 이해 = 74 3) 절차적 지식과 이해 = 75 4) 심층적 이해와 추론 = 75 4. 학습목표를 선정하기 위한 준거 = 79 5. 요약 = 80 제3장 질 높은 교실평가 1. 질 높은 교실평가 = 84 2. 명료하고 적절한 학습 목표 = 85 3. 평가방법과 학습목표 간의 연계 = 85 1) 평가방법의 유형 = 86 2) 학습목표와 평가방법 간의 관계 = 88 4. 타당도 = 90 1) 타당한 평가란? = 90 2) 타당도의 측정방법 = 91 5. 신뢰도 = 97 1) 신뢰로운 점수란? = 97 2) 평가오차 = 98 3) 교실평가에서 신뢰도의 판단방법 = 100 4) 교실평가의 신뢰도 향상방법 = 101 6. 공정성 = 102 1) 투명성 = 103 2) 학습기회 = 104 3) 사전 지식과 기술 = 104 4) 고정관념 = 105 5) 평가도구 및 절차의 편파 = 105 6) 특수교육대상에 대한 편의 제공 = 107 7) 교실평가를 위한 공정성 모형 = 107 7. 긍정적 결과 = 109 1) 학생을 위한 긍정적인 결과 = 109 2) 교사를 위한 긍정적인 결과 = 110 8. 평가와 성취기준과의 연계 = 111 9. 실용성과 효율성 = 113 1) 평가방법에 대한 교사의 친숙성 = 114 2) 소요 시간 = 114 3) 시행의 복잡성 = 115 4) 채점의 용이성 = 115 5) 해석의 용이성 = 115 6) 비용 = 116 10. 요약 = 116 제4장 형성평가 Ⅰ: 학습증거 수집과 해석 1. 형성평가란 무엇인가? = 120 1) 형성평가의 과정 = 121 2) 형성평가의 특징 = 122 2. 비공식적 형성평가의 증거 수집 = 124 1) 비공식적 관찰 = 125 2) 비공식적 질문 = 134 3) 효과적인 질문의 특징 = 136 3. 공식적 형성 평가 = 144 1) 구체적 활동 = 144 2) 사전 시험 = 145 3) 숙제 = 146 4) 수업에서의 과제 = 146 5) 퀴즈와 단원평가 = 147 6) 교실 답변 시스템 = 147 7) 중간평가 = 148 4. 요약 = 149 제5장 형성평가 Ⅱ: 피드백과 수업 조절 1.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 152 2. 피드백 유형 = 154 1) 목표 참조 피드백 = 155 2) 스캐폴딩 피드백 = 156 3) 자기 참조 피드백 = 156 4) 기준 참조 피드백 = 157 3. 피드백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들 = 158 1) 양 = 158 2) 시기 = 159 3) 전달방식 = 159 4) 청중 = 160 5) 과제의 종류 = 160 4. 차별화된 형성적 피드백 = 161 1) 학습자 능력 수준 = 161 2) 학년 수준 = 162 3) 과목 = 162 5. 예상 피드백 = 163 6. 칭찬 = 165 7. 수업 조절 = 166 1) 완전학습 = 168 2) 차별화된 수업 - 개별화 수업 = 168 3) 중재반응모델 = 170 4) 학습진전 = 171 5) 수업 조절 모형 = 172 8. 요약 = 173 제6장 총괄평가의 계획과 실행 1. 총괄평가 계획 = 177 1) 대표적 표본 선정 = 177 2) 평가 청사진 활용 = 178 3) 문항 수 = 179 2. 평가의 횟수와 길이 = 179 1) 학년 수준 = 180 2) 문항 유형 = 181 3) 교재에 포함된 평가와 평가 전문 회사나 교육청에서 만든 평가 = 181 3. 학생들을 총괄평가에 대비시키기 = 182 1) 총괄평가 구성 시기 = 186 4. 총괄평가 만들기 = 188 1) 평가 지시문 만들기 = 188 2) 문항 배열 = 190 3) 레이아웃 = 190 5. 총괄평가 실시 = 191 6. 총괄평가의 활용 = 192 7. 요약 = 193 제7장 선택형 평가: 선다형, 양자택일형, 연결형 문항 1. 선다형 = 196 1) 지식과 이해 평가 = 204 2) 적용 평가 = 206 3) 심층 이해와 추론 평가 = 208 2. 양자택일형 문항 = 212 1) 지식과 이해 평가 = 213 2) 심층 이해와 추론 평가 = 216 3) 적용 평가 = 217 3. 연결형 문항 = 217 4. 선택반응 해석 문제 = 221 1) 이해 평가 = 223 2) 심층 이해와 추론 평가 = 225 5. 기술기반 선택형 문항 = 227 6. 요약 = 228 제8장 구성형 평가: 완성형, 단답형, 에세이 문항 1. 올바른 구성형 문항 유형 선택 = 232 2. 완성형 문항 = 233 3. 단답형 문항 = 237 1) 지식과 이해 평가 = 237 2) 심층 이해와 추론 평가 = 240 4. 에세이 문항 = 243 1) 에세이 문항 작성 = 245 2) 에세이 채점 = 249 5. 구성형 문항의 기술-기반 채점 = 253 6. 요약 = 254 제9장 수행평가 1. 수행평가란 무엇인가? = 258 2. 수행평가의 강점과 한계 = 260 1) 장점 = 260 2) 단점 = 261 3. 수행평가를 위한 학습 목표 = 263 1) 심층이해 = 263 2) 추론 = 264 3) 기술 = 264 4) 결과물 = 267 4. 수행 과제 구성하기 = 269 1) 1단계: 수행 과제 확인 = 269 2) 2단계: 과제 설명 준비 = 271 3) 3단계: 수행 과제 질문이나 프롬프트 준비 = 273 5. 수행 준거 = 279 6. 채점과 평가 = 280 1) 체크리스트 = 281 2) 평정척도 = 281 3) 루브릭 = 283 4) 루브릭 개발하기 = 284 7. 요약 = 293 제10장 포트폴리오와 e-포트폴리오 1. 포트폴리오란 무엇인가? = 298 1) 장점 = 300 2) 단점 = 302 2. 포트폴리오 평가 계획하기 = 303 1) 목적 = 304 2) 물리적 그리고/또는 디지털 구조 파악하기 = 306 3) 내용물의 본질 정하기 = 308 4) 학생의 자기 성찰 가이드라인과 채점 준거 정하기 = 308 3. 포트폴리오 평가 실현하기 = 308 1) 학생들과의 검토 = 309 2) 포트폴리오 내용 공급하기 = 309 3) 학생의 자기 성찰 = 311 4) 교사 평가와 피드백 = 314 5) 학생-교사 면담 = 316 4. e-포트폴리오 = 317 5. 요약 = 319 제11장 비인지적 기질과 능력 평가 1. "비인지적" 기질과 능력이 중요한가? = 322 2. 기질적 특성과 학습 목표란 무엇인가? = 324 1) 태도 목표 = 325 2) 가치 목표 = 327 3) 동기 목표 = 328 4) 자아개념 목표 = 329 5) 자아효능감 목표 = 330 3. 대인기술 학습목표 = 331 4. "비인지적" 기질과 능력의 평가 방법 = 334 1) 교사의 관찰 = 335 2) 교사의 인터뷰 = 341 3) 학생의 자기보고 질문과 설문 = 342 4) 학생의 자기평가 = 352 5) 어떤 방법들을 단독으로 또는 결합해서 사용해야 하는가? = 359 5. 요약 = 360 제12장 성적 부여와 보고 1. 성적 부여 과정에서의 교사 전문성 = 364 1) 객관성 = 364 2) 교사의 성적 결정 = 367 2. 성적 부여의 기능 = 368 1) 피드백 제공 = 368 2) 비교의 틀 = 369 3) 동기 = 375 4) 학업성취도 이외의 요소 활용 = 377 3. 성적 처리 및 부여 방법 = 380 1) 문자 등급 = 381 2) 정답률 = 383 3) 루브릭/점검표 = 383 4) 기준 기반 등급 = 384 5) 문장제 기술 = 386 4. 성적표 작성을 위한 최종 성적 결정 = 386 1) 최종 성적에 포함될 요소의 선택 = 387 2) 평가의 비중 결정 = 388 3) 각 점수를 합산하여 성적 결정 = 390 5. 학생 성취를 학부모에게 보고 = 396 1) 성적표 = 396 2) 향상 정보 보고 = 396 3) 학부모-교사 협의 = 397 4) 학생 주도적 협의 = 399 6. 요약 = 399 제13장 표준화 및 기준참조검사 1. 표준화 및 기준참조검사 = 404 1) 표준화검사 = 404 2) 규준참조적 성취도 검사 = 405 3) 기준참조검사 = 408 2. 검사 결과의 보고 = 412 1) 성적표 유형 = 412 2) 검사 점수의 해석 = 413 3. 학부모를 위한 검사결과 해석 = 419 4. 학생의 시험 준비 = 420 5. 검사의 시행 = 423 6. 요약 = 424 참고문헌 = 426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