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3276 | |
005 | 20150506134153 | |
007 | ta | |
008 | 150504s2015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58634379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3739449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5.41 ▼2 23 |
085 | ▼a 335.41 ▼2 DDCK | |
090 | ▼a 335.41 ▼b 2015 | |
100 | 1 | ▼a Foley, Duncan K. ▼0 AUTH(211009)68868 |
245 | 1 0 | ▼a 자본의 이해 : ▼b 마르크스의 경제이론 / ▼d 던컨 K. 폴리 지음 ; ▼e 강경덕 옮김 |
246 | 1 9 | ▼a Understanding capital : ▼b Marx's economic theory |
260 | ▼a 서울 : ▼b 유비온, ▼c 2015 | |
300 | ▼a 303 p. ; ▼c 23 cm | |
440 | 0 0 | ▼a 유비온 경제학총서 ; ▼v 2 |
504 | ▼a 참고문헌(p. 289-295)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Marx, Karl, ▼d 1818-1883. ▼t Kapital |
650 | 0 | ▼a Capital |
650 | 0 | ▼a Marxian economics |
700 | 1 | ▼a 강경덕, ▼e 역 ▼0 AUTH(211009)1251 |
900 | 1 0 | ▼a 폴리, 던컨 K.,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1 2015 | Accession No. 1117357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1 2015 | Accession No. 1118203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유비온 경제학총서 시리즈. 저자인 던컨 폴리는 이 책이 경제학에 대한 마르크스 저술의 근본 주장과 더불어 마르크스 경제사상의 전반적 구조에 대한 안내서로 기획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그는 마르크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책을 읽는 것에 그치지 말고 마르크스의 저작을 직접 읽어야 한다고 강변하지만, 개론서의 간결함과 이론적 엄격함을 동시에 지닌 이 책은 독자들에게 '자본'의 이해를 위한 튼튼하고 충실한 징검다리 역할을 해 줄 것이다.
그리고 그는 마르크스의 저작이 자본주의에 대해 단순히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에 대한 체계적 분석임을 꼼꼼히 밝히고 있다. 이는 우리 모두가 이념적 예단이나 감정적 비판에서 벗어나 ‘자본’ 및 ‘자본주의’를 보다 냉정하고 현실적으로 그리고 과학적으로 바라보아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혹시 당신은 마르크스의 시효가 끝났다고 생각하는가.
지금 이 순간이야말로 마르크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의 오해를 잠재울 만한 마르크스만의 사유와 통찰을 던컨 폴리의 친절하고 쉬운 논법으로 풀어놓은 책!
"내 목표는 어떤 특정한 해석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마르크스의 경제사상에 대한 일반개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 던컨 폴리
자본주의는 인류에게 커다란 물질적 번영을 가져다 주었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빈부격차의 심화, 환경오염, 인간소외 등 다양한 자연 및 사회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 특히 금융위기, 재정위기 등 계속되는 자본주의의 동요 및 위기는 자본주의의 미래와 그 동역학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최근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이나 김수행 교수의 『자본론 공부』가 인기를 끄는 이유도 아마 이와 같은 맥락에서일 것이다.
자본주의를 분석하는 많은 저작들이 마르크스의 『자본』을 원용하고 비판하면서 『자본』을 논의의 중심으로 삼지만 우리는 정말 『자본』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일까? 그 방대함과 다층성을 생각할 때 『자본』을 읽는다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이에 우리는 이론적 엄격함과 체계성을 두루 갖춘 저작인 『『자본』의 이해』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은 마르크스 경제학의 핵심논점을 현대적인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대중에게 보다 쉽게 풀어 설명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자본』의 이해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르크스주의의 내부논점 및 현대경제학의 핵심논점이 무엇인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인 던컨 폴리는 이 책이 경제학에 대한 마르크스 저술의 근본 주장과 더불어 마르크스 경제사상의 전반적 구조에 대한 안내서로 기획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그는 마르크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책을 읽는 것에 그치지 말고 마르크스의 저작을 직접 읽어야 한다고 강변하지만, 개론서의 간결함과 이론적 엄격함을 동시에 지닌 이 책은 독자들에게 『자본』의 이해를 위한 튼튼하고 충실한 징검다리 역할을 해 줄 것이다. 그리고 그는 마르크스의 저작이 자본주의에 대해 단순히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에 대한 체계적 분석임을 꼼꼼히 밝히고 있다. 이는 우리 모두가 이념적 예단이나 감정적 비판에서 벗어나 ‘자본’ 및 ‘자본주의’를 보다 냉정하고 현실적으로 그리고 과학적으로 바라보아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책의 출간이 갖는 의미의 또 하나는 현대경제학의 주요 저작을 망라하기 위한 '유비온 경제학 총서'의 두 번째 출간물이라는 것이다. 유비온은 이미 현대경제학의 토대를 닦은 새뮤얼슨의 저작 『새뮤얼슨의 경제학(상,하)』 을 출간한 바 있다. 이제 폴리의 저작, 『『자본』의 이해』가 출간됨으로써 현대경제학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두 축이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새뮤얼슨의 경제학이 주류 경제학을 정리하고 체계화했다면, 폴리의 『『자본』의 이해』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핵심논리를 정연하게 정리하고, 현대경제학 비판 및 재구성을 위한 주춧돌을 마련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던컨 K. 폴리(지은이)
폴리는 스워스모어 칼리지에서 수학을 전공으로, 경제학을 부전공으로 공부한 후 예일대학교 경제학과에 진학해 1966년 일반균형이론으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스탠퍼드 대학, 바나드 칼리지에서 강의했고, 1999년 이래 지금까지 뉴욕의 뉴스쿨(Economics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 대담에서 케인즈의 교차(Keynesian Cross)에 매료되어 경제학을 공부하게 되었다고 밝힌 바 있는 폴리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발전에 탁월한 업적을 남겼으며, 복잡계 경제학의 개척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주요 저작으로 본서 『『자본』의 이해』를 포함해 『화폐, 축적 그리고 위기(Money, Accumulation and Crisis)』(1986), 『합리성의 장벽과 경계(Barriers and Bounds to Rationality: Essays on Economic Complexity and Dynamics in Interactive Systems)』(Peter S. Albin과 공저, 1998), 『성장과 분배(Growth and Distribution)』(Thomas R. Michl과 공저, 1999), 『아담의 오류(Adam’s Apple: A Guide to Economic Theology)』(2006, 국역: 후마니타스, 2011) 등이 있다. 최근에는 폴리의 저작 및 이론에서 영감을 받은 논문들의 모음집 『사회의 공정성과 경제학Social Fairness and Economics: Economic Essays in the Spirit of Duncan Foley』(2013)이 출간되기도 했다. 그의 이론적 여정과 경제학 일반에 대한 대담을 『경제학 최전방의 동향The Changing Face of Economics』(국역: 지만지, 2011)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는 『급진주의정치경제학논평(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을 펴내는 급진주의정치경제학회(URPE)에서 주최한 한 행사(2013)에서 ‘RethinkingFinancial Capitalism and the “information” Economy’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는데, 이 연설에서 그는 고전파 정치경제학의 개념들을 적용해 후기산업자본주의와 정보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폴리의 최근 동향과 생각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그의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a/newschool.edu/duncan-foleyhomepage/home/downloads)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경제위기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폴리의 글이 그의 홈페이지에 실려 있다.
강경덕(옮긴이)
학부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였고 마르크스주의 이론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마르크스주의 및 사회과학 분야를 연구하며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의 핵심 논점을 다룬 『구조와 모순: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의 논점들』을 저술하였고, 마르크스의 경제 이론을 분석한 던컨 폴리의 『<자본>의 이해: 마르크스의 경제이론』을 번역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정치의 타자 또는 조건: 알튀세르의 인식론적 절단」, 「이데올로기와 예술: 스피노자 또는 브레히트」, “Language and Ideology: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Gramsci and Althusser: the Theorists of Topography?”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서문 = 9 제1장 마르크스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마르크스의 방법 = 13 변화하는 역사 현실 = 13 인간의 지식 생산 = 15 지식의 구조 = 16 규정의 층화 = 17 출발점의 중요성 = 19 후속 규정에 의한 근본 규정의 수정 = 19 자기-규정과 동어반복 = 21 규정의 배열을 통한 설명 = 22 설명, 규정, 그리고 예정 = 23 법칙과 경향 = 24 규정의 민주주의에 반해 = 25 모델과 이론 = 26 변증법 = 27 제2장 상품 : 노동, 가치, 화폐 = 29 생산의 체계 = 29 상품의 이중성(『자본』1.1.1) = 30 노동가치 이론 = 32 가치생산 노동(『자본』1.1.2) = 34 화폐가치형태(『자본』1.1.3, 1.2) = 38 화폐, 가격, 그리고 가치 = 43 화폐형태와 화폐가치(『자본』1.3.1) = 45 화폐유통과 축장(『자본』1.3.2a, 2b, 3a, 3b) = 47 상품화폐 체계에서 지폐(『자본』1.3.2c) = 50 국제 화폐관계(『자본』1.3.3c) = 52 가격을 갖지만 노동은 포함하지 않은 것들(『자본』1.3.1) = 53 상품물신숭배(『자본』1.1.4) = 55 제3장 자본과 잉여가치 이론 = 59 자본 이론과 잉여가치 이론 = 59 상품의 유통(『자본』1.4) = 60 자본주의적 생산(『자본』1.4, 1.5) = 62 상품으로서 노동력(『자본』1.6) = 64 노동력의 가치(『자본』1.6, 1.7, 1.9) = 66 잉여가치와 비지불노동(『자본』1.10) = 68 잉여, 착취, 계급, 그리고 잉여가치 = 71 자본의 재생산과 사회의 재생산 = 73 노동력의 가치 재론(『자본』1.6) = 75 팽창하는 자본(가변자본)과 팽창하지 않는 자본(불변자본) = 78 잉여가치에 대한 설명 = 83 신고전파의 잉여가치 이론 = 84 제4장 자본주의에서의 생산 = 87 절대적 잉여가치와 상대적 잉여가치(『자본』1.12) = 87 절대적 잉여가치 형태(『자본』1.10) = 89 상대적 잉여가치(『자본』1.12) = 93 기술 진보 : 사용가치와 가치(『자본』1.12) = 94 자본가와 생산형태(『자본』1.13) = 99 자본주의적 생산의 발전 유형(『자본』1.13, 1.14, 1.15) = 101 결론 = 104 제5장 자본의 재생산 = 107 재생산(『자본』1.23) = 107 재생산과 축적(『자본』1.24, 1.25) = 109 임금과 노동예비군(『자본』1.19, 1.25.3) = 111 자본의 순환(『자본』2.1-2.4, 2.7) = 112 자본순환 모델(『자본』2.7, 2.9, 2.12-2.14) = 117 단순재생산 모델(『자본』2.18, 2.20) = 120 확대재생산과 자본순환 모델(『자본』2.21) = 124 단순재생산 모델에서 비례와 총수요(『자본』2.20) = 130 확대재생산 모델에서 [부문 간] 비례문제(『자본』2.21) = 137 확대재생산에서 총수요 = 146 결론 = 151 제6장 이윤율의 균등화 = 153 이윤율(『자본』3.1-3.4) = 153 이윤율의 균등화 = 156 등가교환과 이윤율 균등화의 양립 불가능성 = 159 마르크스의 방법(『자본』3.9) = 162 마르크스 방법의 약점(『자본』3.9) = 164 마르크스의 접근방법의 완성 = 167 반박된 마르크스의 접근법 = 169 전형문제의 의미 = 171 요약 = 173 제7장 잉여가치의 분할 = 175 잉여가치의 형태들(『자본』3.16-3.18, 3.21-3.25, 3.37-3.45) = 175 지대(『자본』3.37-3.45) = 176 차액지대와 이윤율의 균등화(『자본』3.38) = 176 절대지대(『자본』3.45) = 179 사회잉여가치로서의 지대(『자본』3.37) = 180 이자(『자본』3.21-3.25) = 181 이자와 대부(『자본』3.21-3.22) = 181 자본주의적 생산에서 이자(『자본』3.23) = 183 이자율의 외부화(『자본』3.24) = 184 이자율의 결정 = 186 가공자본 = 189 상업자본 :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자본』3.16-3.19) = 190 생산 없는 이윤(『자본』3.16) = 190 부등가교환에서 상업이윤의 기원(『자본』3.17) = 191 상업자본과 이윤율 균등화(『자본』3.17) = 193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자본』1.16, 3.17) = 193 유용한 노동, 필요한 노동, 생산적 노동 = 197 비생산적 노동자에 대한 착취(『자본』3.17) = 199 1983년, 미국경제의 가치 플로우 = 200 제8장 이윤율의 하락 = 203 자본주의적 생산의 특징(『자본』3.13) = 203 자본축적의 결과(『자본』3.13) = 204 리카도의 이윤율 저하 이론 = 206 마르크스의 리카도 이론 비판(『자본』3.13) = 209 마르크스의 이윤율 저하 이론(『자본』3.15) = 210 이윤율 저하에 대한 반경향[상쇄요인들](『자본』3.14) = 214 이윤율 저하의 필연성 = 217 이윤율의 저하 가능성 = 220 결론 = 225 제9장 자본주의의 위기 이론 = 227 자본축적의 시간적 불균등성 = 227 위기의 일반이론 = 229 종별적 위기 이론 = 233 세의 법칙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 = 234 불비례설 = 237 과소소비 위기 이론 = 240 이윤율 저하 위기 이론 = 244 자본축적의 장기 경향 = 247 자본주의의 최종 위기 = 250 제10장 사회주의 = 253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비판 = 253 자본주의의 긍정적 측면들 = 257 자본주의의 부정적 측면들 = 259 다른 사회주의적 견해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 = 263 마르크스의 사회주의관 = 267 사회주의의 건설과 노동계급 = 270 요약 = 271 추천도서 = 273 역자 후기 = 281 참고문헌 = 289 찾아보기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