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 7
발간사 / 조일환(정곡공 11대손) = 8
서문 / 조동석(창녕조씨 판윤공파 정곡공 회장) = 9
역자 서문 / 양현승 = 12
제1권
[시(詩)]
성명(誠明)을 읇음(誠明吟) = 27
한천(寒泉)을 읆음(寒泉) = 28
낙동강에서 듣는 피리소리(洛東江聞笛) = 29
임종을 맞이하며(臨終詩) = 30
가형(家兄)께 올리는 영결시(上家兄永訣詩) = 31
무계심(武溪深) 육칠인□만력병자진사입격시(武溪深六七言□萬曆丙子進士入格詩) = 32
목마를 노래함 - 잃음(木馬賦 - 佚)
[잠(箴)] : 경의(敬義)에 대한 잠언 - 짧은 서문과 함께 있었으나 서문은 잃음(敬義箴 - 并小叙叙佚) = 35
[명(銘)] : 좌우명(座右銘) = 37
[논학(論學)]
용학구결(庸學口訣) - 전질을 잃음 = 39
역설이조(易說二條). 학문하는 사람에게 경계로 보여줌(易說二條戒示學者) = 39
경연(經筵)에서 나아가 대답함 - 인신도심설(人心道心設)에 대답하고 또 인설(仁設)에 대해서도 대답하였다고 하나 모두 잃음(經筵進對 - 對辭有人心道心對及仁說對云而並佚) = 40
[소(疏)] : 현량과(賢良科)를 청하는 상소(請學賢良疏) = 41
[서(書)]
동암 이발(東巖李潑)께 올리는 편지 - 따로 있음(上李東巖潑書 - 別幅) = 47
가형(家兄)을 영결하며 올리는 글(上家兄永決書) = 49
[제문(祭文)] : 전주(全州) 대성전(大成殿) 위패(位牌) 이안(移安) 고유제문(告由祭文)(全州大成殿位牌移安告由祭文) = 51
제2권
[부록(附錄)]
연보(年譜) = 61
사화(士禍)의 시작과 끝(士禍首末) = 78
원통한 일을 씻은 사적(伸雪事蹟) = 98
생원 조민중의 사정을 하소연한 글(生員曺敏中原情) = 98
감옥 안에서 연명으로 올린 상소(獄中聯名疏) = 103
사헌부와 사간원이 합동으로 올린 계사(啓辭)(兩司合啓) = 105
진사 나덕윤 등이 올린 상소(進士羅德潤等疏) = 113
전 금부도사 낙덕명 등이 올린 상소(前禁府都事羅德明等疏) = 120
유생 조수홍이 올린 상소(儒生曺守弘疏) = 125
전 별좌 나덕준 등이 올린 상소(前別坐羅德峻等疏) = 125
전 직장 안중묵이 올린 사소(前直長安中默疏) = 127
전 찰방 오익창 등이 올린 상소(前察訪吳益昌等疏) = 128
유생 양극린 등이 올린 상소(儒生梁克遴等疏) = 129
전 참봉 최홍우 등이 올린 상소(前參奉崔弘宇等疏) = 130
유생 한호 등이 올린 상소(儒生韓浩等疏) = 132
진사 이담 등이 올린 상소(進士李潭等疏) = 133
전 금부도사 나덕윤이 올린 상소(前禁府都事羅德潤疏) = 134
대신들의 의론을 모은 글(大臣收義) = 137
생원 강봉람 등이 올린 상소(生員姜鳳覽等疏) = 140
사헌부ㆍ사간원ㆍ홍문관에서 연명하여 임금께 올린 계사(啓辭)(三司合啓) = 144
홍문관에서 올린 상소(玉堂等辭) = 149
사헌부ㆍ사간원ㆍ홍문관에서 연명하여 임금께 올린 계사(啓辭)(三司合啓) = 151
생원 나원길 등이 올린 상소(生員羅元吉等疏) = 153
유생들이 올린 상소(儒生等疏) - 성명은 분실됨 = 155
유생 나덕현이 올린 상소(儒生羅德顯疏) = 157
전 교수 정상이 올린 상소(前敎授鄭詳疏) = 158
생원 강봉람 등이 올린 상소(生員姜鳳覽等疏) = 160
경연에 나가서 대답함(經筵進對) = 166
대신들의 의론을 모은 글(大臣收義 1) = 168
벼슬을 다시 되돌려 준 사적(復宮事蹟) = 171
사우(祠宇)를 세운 사적(建祠事蹟) = 171
유생 정무서 등이 올린 상소(儒生鄭武瑞等疏) = 171
영남 유생 김경 등이 올린 상소(嶺南儒生金璟等疏狀) = 172
성균관 유생 등이 올린 상소(太學儒生等疏) = 172
생원 양몽거 등이 올린 상소(生員楊夢擧等疏) = 175
호서 유생 홍면 등이 올린 글(湖西儒生洪沔等通狀) = 185
성균관과 서울의 네 곳의 교육기관에서 유숙하던 유생들이 돌린 통지문 - 생명은 잃음(館學通文 - 姓名佚) = 185
춘추관의 정자각 향시문(享祀文)(春秋丁享文) = 185
제3권
[부록: 여러 대가 문집 속의 기록(附錄: 諸家文集參攷錄)]
기축야사(己丑野史) = 191
기축록 - 동리(東里) 정세규(鄭世規)(己丑錄 - 鄭東里) = 193
기축기사 - 우산(牛山) 안방준(安邦俊)(己丑記事 - 安牛山) = 194
기축록 - 나두동(己丑錄 - 羅斗冬) = 196
정지사에게 올린 쪽지 -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上鄭知事別幅 - 尹孤山) = 197
우득록 - 곤재(困齎) 정개청(鄭介淸) 문집(愚得錄 - 鄭困齎文集) = 198
동리록(東里錄) = 200
창랑집 - 창랑(滄浪) 성문준(成文濬)(滄浪集 - 成滄浪) = 202
대사헌이 혐의를 피한 것에 대해 임금께 올리는 글 - 동리(東里) 정세규(鄭世規)(大司憲避嫌□啓 - 金東里) = 202
정언 박동열이 임금께 올린 글에 대해 답합(答正言朴東說□啓) = 203
사간원이 혐의를 피한 것에 대해 임금께 올리는 글 - 대사간 이개(李槩)(司諫院避嫌□啓 - 大司諫李槩) = 204
사헌부ㆍ사간원이 합동으로 임금께 올린 글(兩司合□啓) = 205
금부에서 임금께 올린 글 - 수우당(守愚堂) 최영경(崔永慶)의 신원(伸寃)을 청함(禁府□啓 - 請伸崔守愚堂) = 206
정원에서 임금께 올린 글(政院□啓) = 207
정종명 등이 올린 상소(鄭宗溟等疏) = 209
유경서 등이 올린 상소(柳景瑞等疏) = 210
제4권
[부록(附錄)]
행장(行狀) = 217
사실(事實) = 227
실기(實記) = 240
묘갈명 - 병서(墓碣銘 - 並叙) = 254
찬(贊) = 266
건사사적(建祠事蹟) = 270
발(跋) = 280
참고문헌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