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832685 | |
005 | 20190605153451 | |
007 | ta | |
008 | 150428s2015 ulk 000ce kor | |
020 | ▼a 9788960604308 ▼g 03100 | |
035 | ▼a (KERIS)BIB000013750997 | |
040 | ▼a 211064 ▼c 211064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844.3 ▼2 23 |
085 | ▼a 844.3 ▼2 DDCK | |
090 | ▼a 844.3 ▼b M761 몽j | |
100 | 1 | ▼a Montaigne, Michel de, ▼d 1533-1592 ▼0 AUTH(211009)48885 |
245 | 1 0 | ▼a 몽테뉴의 수상록 : ▼b 인간에 대한 위대한 통찰 / ▼d 몽테뉴 지음 ; ▼e 안해린 편역 |
246 | 1 9 | ▼a Les essais |
246 | 3 9 | ▼a Essais |
260 | ▼a 서울 : ▼b 소울메이트 : ▼b 원앤원콘텐츠그룹, ▼c 2015 | |
300 | ▼a 197 p. ; ▼c 22 cm | |
700 | 1 | ▼a 안해린, ▼e 편역 ▼0 AUTH(211009)82877 |
900 | 0 0 | ▼a 몽테뉴,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44.3 M761 몽j | 등록번호 1117353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생에 대한, 인간에 대한 몽테뉴의 통찰을 담았다. 프랑스 법관이었던 몽테뉴는 은퇴 후 인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자 ‘에세’라는 독특한 문학 형식을 만들어냈다. 그렇게 자신의 고찰과 견해, 통찰을 담아 펴낸 책이 바로 <수상록>이다. 본래 이 <수상록>은 총 3권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양을 자랑한다. 그 중에 주옥같은 명문들을 뽑아, 주제별로 엮어 펴낸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몽테뉴의 사상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가볍지도 과하지도 않은 무게감으로 몽테뉴는 세상사의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본인의 견해를 자신 있고 담담하게 풀어낸다. 이 책을 읽으며 나의 판단이 바른지, 내가 지금 제대로 살고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등을 수없이 자문해보자. 원초적인 동시에 삶의 골자가 되는 사유를 함으로써 의식을 환기하고 스스로를 성찰하며 인생의 전반에 대해 배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몽테뉴는 “다른 사람의 기준이 아닌 자신의 기준으로 자신을 돌보라.”라고 강조한다. 그렇게 ‘나답게 되는 법’을 알 때 우리의 인생은 보다 더 풍요로워진다는 것이다. 이 책에는 인생을 치열하게 살아온, 또는 온전하게 살아낸 한 인간의 지혜가 담겨 있다. 삶의 부침을 겪을 때, 알 수 없는 결핍에 골몰할 때, 타인의 시선이 두려울 때 이 책을 읽어보자. 인생의 굽이마다 적절한 깨달음과 위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인생에 대한, 인간에 대한 위대한 통찰!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은 철학적 난제가 아니다. 누구나 한번쯤 어느 시점에는 반드시 마주치게 될, 어쩌면 평생을 동반자처럼 함께 가야 할 지극히 일상적인 질문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고민은 망망대해에 떠 있는 작은 돛단배처럼 막막하기만 하다. 5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삶에 영감을 주고 외로운 인생에 든든한 길잡이 역할을 해준 몽테뉴의 충고를 들어보자. 이 책은 인생에 대한, 인간에 대한 몽테뉴의 통찰을 담았다. 프랑스 법관이었던 몽테뉴는 은퇴 후 인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자 ‘에세(essai)’라는 독특한 문학 형식을 만들어냈다. 그렇게 자신의 고찰과 견해, 통찰을 담아 펴낸 책이 바로 『수상록』이다. 본래 이 『수상록』은 총 3권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양을 자랑한다. 그 중에 주옥같은 명문들을 뽑아, 주제별로 엮어 펴낸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몽테뉴의 사상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가볍지도 과하지도 않은 무게감으로 몽테뉴는 세상사의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본인의 견해를 자신 있고 담담하게 풀어낸다. 이 책을 읽으며 나의 판단이 바른지, 내가 지금 제대로 살고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등을 수없이 자문해보자. 원초적인 동시에 삶의 골자가 되는 사유를 함으로써 의식을 환기하고 스스로를 성찰하며 인생의 전반에 대해 배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몽테뉴는 “다른 사람의 기준이 아닌 자신의 기준으로 자신을 돌보라.”라고 강조한다. 그렇게 ‘나답게 되는 법’을 알 때 우리의 인생은 보다 더 풍요로워진다는 것이다. 이 책에는 인생을 치열하게 살아온, 또는 온전하게 살아낸 한 인간의 지혜가 담겨 있다. 삶의 부침을 겪을 때, 알 수 없는 결핍에 골몰할 때, 타인의 시선이 두려울 때 이 책을 읽어보자. 인생의 굽이마다 적절한 깨달음과 위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진짜 인생을 위한 몽테뉴의 조언!
주관적이면서 보편적인 삶의 고민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2가지의 심도 있는 고민을 다루고 있다. 1장 ‘늙음과 죽음을 기꺼이 받아들인다’에서는 늘 죽음과 삶을 동시에 살고 있는 우리의 운명을 상기시킨다. 또한 두려움은 우리의 상상 속에서 더욱 거대해질 뿐이니 아직 직면하지 않은 죽음을 두려워하기보다는 현재의 삶에 충실할 것을 권한다. ‘살아 있다면 존재하기 때문에, 죽었다면 부재하기 때문에’ 죽음은 우리 권한 밖의 일이다. 그러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면면을 온전히 느끼며 사는 것이다. 2장 ‘지금 이 순간을 온전히 즐긴다’에서는 행복의 순간도, 불행의 순간도 인생의 한 요소임을 받아들이라고 조언한다. 가진 것이 없어 초라하게 느껴지는가? 이룬 것이 없어 불행하다 느끼는가? 몽테뉴는 “모든 일은 그 자체로 괴롭거나 힘들지 않다.”라고 말하며 오로지 우리 자신의 판단만이 본질적이라고 말한다. 즉 행복은 자신에게서 나오는 것이니 정신을 단련하는 데 골몰해보자.
3장 ‘진짜 나답게 되는 법을 안다’에서는 상대방의 판단이 아닌 자신의 판단으로 자신의 존재를 충분히 누리라고 말한다. 명성을 좇아, 부를 좇아 자신을 낭비하지 말고 스스로에게 경외심을 가지며 소중히 여기라는 것이다. 4장 ‘나 자신을 늘 경계하고 성찰한다’에서는 자신을 과신하지 말고 항상 돌아보라고 조언한다. 타인을 판단할 때의 엄격한 잣대를 자신에게도 들이대라는 것이다. 또한 몽테뉴는 남의 눈이 아닌 자신의 눈으로 늘 스스로를 감시하며 올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자신을 통제하라고 말한다. 마지막 5장 ‘지식을 얻되 나의 것으로 만들라’에서는 지식의 양보다는 지식의 깊이를 강조한다. 무엇을 얼마나 아느냐가 아닌 어떻게 아느냐가 중요하다. 그러니 ‘남의 학식’을 무조건 수용할 것이 아니라 비판적 수용을 통해 진정한 자신의 지식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책에 담긴 조언들을 마음에 새겨 몽테뉴의 사상을 이해한다면 독자들의 인생의 깊이가 한층 더 깊어질 것을 확신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미셸 에켐 드 몽테뉴(지은이)
16세기 프랑스의 대표적 사상가이자 모럴리스트. ‘에세이’라는 글쓰기 장르의 원조라 할 《수상록》을 남겼다. 1533년 프랑스 서남부 도르도뉴에서 태어났다. 교육열이 높은 아버지 덕분에 어려서부터 가정교사에게 맡겨져 라틴어를 모국어처럼 익혔고 6세 때 보르도 인근의 귀엔 학교에 입학해 중학 과정을 마쳤다. 16세 때부터 툴루즈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1554년경 페리괴 조세법원의 법관에 이어 1557년 보르도 고등법원의 법관으로 일했다. 1559년 《자발적 복종》을 쓴 철학자이자 법률가 에티엔 드 라보에티를 만나 둘도 없는 우정을 나누었으나 1563년 페스트로 인해 그를 잃는 아픔을 겪었다. 1568년 사망한 아버지 피에르의 뒤를 이어 몽테뉴 영주로서 영지를 상속받았고, 이듬해 스페인 신학자이자 철학자 레몽 드 스봉의 《자연신학 또는 피조물의 책》을 프랑스어로 번역해 발간했다. 아버지를 잃은 지 얼마 안 되어 남동생 아르노가 운동 경기 중에 입은 부상으로 요절한데다 몽테뉴 자신이 낙마 사고로 죽을 뻔했다. 1570년에는 첫아이가 태어난 지 두 달 만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이렇듯 죽음을 연이어 경험했을 뿐만 아니라 1562년 이래 종교 전쟁의 참화에 휩싸인 프랑스에서 살던 몽테뉴는 언제 어떤 위험에 처할지, 언제 죽을지 모르는 불안 속에서 삶과 죽음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성찰하게 되었다. 공직 생활에 부담과 환멸을 느껴 1570년 37세의 나이로 보르도 고등법원 법관직을 사임하고 몽테뉴 성의 서재에 은둔하며 독서와 글쓰기에 몰두했다. 1571년 집필을 시작한 《수상록》의 초판은 1580년 보르도에서 출간되었다. 그해 신장결석을 치료할 겸 여행길에 올라 스위스, 독일을 거쳐 이탈리아에서 오래 머물다 1581년 말에 몽테뉴 성으로 돌아오는데, 이 경험을 기록한 일기는 몽테뉴 사후에 발견되어 1774년 책으로 출간되었다. 이후 보르도 시장으로 선출되어 일했으며 두 번째 임기에는 종교 전쟁과 페스트로 인해 피난을 떠나는 등 고초를 겪었다. 그동안 가필과 수정을 거듭해온 《수상록》의 3권 107장에 이르는 신판을 1588년 간행했고, 1590년에는 관직을 맡아달라는 앙리 4세의 요청을 건강을 이유로 정중히 거절했다. 1592년 자택에서 중증 후두염으로 숨을 거두었다.
안해린(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한불과 국제회의통역을 전공했다.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 기획 및 프랑스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몽테뉴의 수상록》, 《몬테소리와 함께하는 사계절》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지은이의 말 _ 이 책의 소재는 바로 저 자신입니다! = 6 편역자의 말 _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몽테뉴의 위대한 고찰 = 8 1 늙음과 죽음을 기꺼이 받아들인다 죽음이라는 단어를 들어도 겁먹지 않는다 = 17 담담하고 평온하게 죽음을 받아들인다 = 20 모든 곳에서 죽음을 기꺼이 기다린다 = 22 삶을 사는 동시에 죽음을 산다 = 24 죽음이 갑자기 닥쳐도 전혀 놀랄 것이 없다 = 26 오래 살건 잠시 살건 죽음 앞에서는 매한가지다 = 28 자기의 시간을 다하지 않고 죽는 이는 없다 = 30 끊임없이 죽음이란 말을 입에 달고 산다 = 33 죽음은 자연의 원칙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않는다 = 36 늙어서 죽는 것은 드물고 이례적인 일이다 = 38 늙음이 나를 어디로 끌고 갈지는 알 수 없다 = 41 정신의 노화를 피할 수 있는 한 피한다 = 44 내 삶의 안락과 즐거움에 죽음이 자리 잡기를 = 47 빨리 늙기보다는 늙어 있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 49 죽음이 결론일지언정 삶의 목표는 아니다 = 52 침대보다는 말 위에서 죽고 싶다 = 56 내가 겪는 자연적 쇠퇴에 대해 불평하지 않는다 = 59 2 지금 이 순간을 온전히 즐긴다 춤을 출 때 춤만 추고, 잠을 잘 때 잠만 잔다 = 65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현재를 충실히 살아간다 = 68 현재를 외면하고 미지의 미래를 좇지 않는다 = 71 잊고자 하는 열망은 기억을 선명하게 한다 = 74 불행도 인간의 한 요소임을 받아들인다 = 77 내 운명이 위대해지기를 바란 적은 없다 = 81 내가 그것을 어떻게 보느냐가 중요하다 = 84 나는 최대 1년 이내의 계획만 세운다 = 86 누릴 수 없다면 행운이 무슨 소용이랴 = 89 나는 인생을 남들의 두 배로 즐겼다 = 91 3 진짜 나답게 되는 법을 안다 모든 애정을 내 영혼과 나 자신에게 쏟는다 = 97 나라는 존재를 충실하게 누릴 줄 안다 = 98 남아 있는 인생만큼은 온전히 나를 위해 산다 = 101 진정한 자유와 고독을 만끽한다 = 104 나는 내가 내 안에만 있다고 여긴다 = 108 상대방의 판단이 아니라 내 판단을 믿는다 = 111 나의 견해 외에는 무엇도 신뢰한 적이 없다 = 113 나는 소수의 일에만 열중하고 골몰한다 = 116 나는 나 자신에게만 매달린다 = 119 자기 자신을 다스리며 스스로 경외심을 갖는다 = 122 명성을 탐하느라 헐값에 나를 팔지 않는다 = 124 나를 잘 알기에 거짓 찬사를 즐기지 않는다 = 128 나를 향한 남들의 비판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 130 내가 누리는 자유는 꾸밈없고 초연하다 = 134 4 나 자신을 늘 경계하고 성찰한다 나를 지켜보는 내 두 눈을 가장 경계한다 = 141 수시로 의심하고 나 자신을 경계한다 = 144 내가 잘못된 것은 아닌지 항상 되묻는다 = 146 타인에게 들이대는 잣대를 내게도 들이댄다 = 150 나의 양심은 나를 더욱 강하게 통제한다 = 152 내가 바보일 뿐이라는 사실을 배운다 = 154 산다는 것은 곧 생각하는 것이다 = 157 분노가 나를 사로잡고 장악하게 하지 않는다 = 158 내 격정을 숨기기보다는 내 감정들을 느낀다 = 161 일상의 불행들은 결코 하찮치 않다 = 165 시시각각의 기분에 따라 흔들리며 살지 않는다 = 166 나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정직하게 드러낸다 = 168 5 지식을 얻되 나의 것으로 만들라 잘 살고 잘 죽기 위해 공부한다 = 175 더 많이 아는 게 아니라 더 잘 알아야 한다 = 176 남의 의견과 학식을 무심코 받아들이지 않는다 = 179 철인들의 가르침이 아닌 정신을 흡수해야 한다 = 181 세상은 나를 알기 위해 들여다봐야 하는 거울이다 = 184 불가능이라 단정 짓는 행동은 경솔한 추측이다 = 188 진리를 말할 때에는 단순하게 말해야 한다 = 191 내 삶의 여정에서 찾은 최고의 필수품은 책이다 = 194 논쟁에서는 솔직한 의도를 견지해야 한다 =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