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이것이 자유학기제다 : 미리 알고 준비하면 더 큰 꿈이 보여요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상태 권태명, 사진
서명 / 저자사항
이것이 자유학기제다 : 미리 알고 준비하면 더 큰 꿈이 보여요 / 김상태 지음 ; [권태명 사진]
발행사항
서울 :   미디어숲 :   다빈치하우스,   2015  
형태사항
259 p. : 천연색삽화 ; 22 cm
ISBN
978899190765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2243
005 20150427155201
007 ta
008 150427s2015 ulka 000c kor
020 ▼a 9788991907652 ▼g 03370
035 ▼a (KERIS)BIB000013755429
040 ▼a 247009 ▼c 247009 ▼d 247009 ▼d 211009
082 0 4 ▼a 373.19 ▼2 23
085 ▼a 373.19 ▼2 DDCK
090 ▼a 373.19 ▼b 2015
100 1 ▼a 김상태
245 1 0 ▼a 이것이 자유학기제다 : ▼b 미리 알고 준비하면 더 큰 꿈이 보여요 / ▼d 김상태 지음 ; ▼e [권태명 사진]
260 ▼a 서울 : ▼b 미디어숲 : ▼b 다빈치하우스, ▼c 2015
300 ▼a 259 p. : ▼b 천연색삽화 ; ▼c 22 cm
536 ▼a 이 책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저술지원으로 출판되었음
700 1 ▼a 권태명, ▼e 사진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3.19 2015 등록번호 1117350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3.19 2015 등록번호 1117352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의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와 자유학기제의 롤모델이 된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는 교육계 외부의 시선으로 자유학기제를 기획 취재하며 그 이야기를 실었다. 이 책은 비단 저자의 생각만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자유학기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을 엿볼 수가 있다.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중학교의 학생, 학부모와 교사들의 솔직한 의견이 드러나 있다. 때문에 독자들이 자유학기제를 편견 없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라는 창을 통해서 우리의 자유학기제를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와 지역사회가 어떻게 공생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우리에게 자유학기제가 성공하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도 생각해보게 한다.

현직 기자의 눈으로 해부한 자유학기제의 모든 것!
자유학기제, 그 답을 찾다!


우리나라의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와 자유학기제의 롤모델이 된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는 교육계 외부의 시선으로 자유학기제를 기획 취재하며 그 이야기를 실었다. 이 책은 비단 저자의 생각만 읽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자유학기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을 엿볼 수가 있다.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중학교의 학생, 학부모와 교사들의 솔직한 의견이 드러나 있다. 때문에 독자들이 자유학기제를 편견 없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라는 창을 통해서 우리의 자유학기제를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와 지역사회가 어떻게 공생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우리에게 자유학기제가 성공하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도 생각해보게 한다.
이 책의 장점은 추상적이고 현학적인 이론으로 포장된 책이 아니라, 자유학기제에 대한 생각들이 생활인의 언어로 솔직하게 표현해 놓았다는 데 있다. 취재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독자들은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통해서 자유학기제를 조금이나마 더 알 수 있게 되고, 자유학기제를 통해서 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나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출판사 리뷰]

자유가 주어지는 꿈의 학기. 이 자유학기제에서 아이들은 직접 학교를 꾸미고, 가꾼다.
정선 사북중학교 아이들은 학교가 밋밋하다며 직접 페인팅 칠을 해서 아름다운 복도를 만들어냈다. 그동안 강의식 위주의 수업에 지루했던 아이들은 역사 시간에 독도는 우리 땅이란 노래에 맞춰 플래시몹을 배우며 신나게 춤을 추기도 한다. 무섭기만 했던 선생님의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으로 마음 문이 열려 수업이 기다려지기도 한다.
태백 함태중학교는 자유학기제 이후를 고민하면서 평가를 바꿔야 한다고 결심했다. 이는 전 학년에 걸쳐 서술형 평가를 도입하는 계기가 됐다. 횡성중학교도 긍정적인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며 지역 사회의 참여를 이끌어 냈다. 양구중학교는 인구가 2만여 명에 불과하지만 다양한 직업 체험군을 발굴해 아이들의 진로 탐색을 지역 안에서 해결했다.
이는 자유학기제 연구학교들의 긍정적인 변화의 모습들이다. 이미 40여 년 전부터 자유학기제와 유사한 전환학년제를 운영하고 있는 아일랜드에서는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이 자신들의 미래를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 다양한 경험을 쌓게 하고, 지역과의 유기적인 연결망을 잘 갖춰 놨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대통령상이 주어지는 청소년 도전 프로그램은 일정 조건을 이수하면, 그에 대한 보답으로 메달을 선물한다. 전환학년제에서의 이뤄낸 성취들은 쇼케이스나 박람회를 통해 지역과 공유한다. 대기업은 이 행사에 자금을 지원한다.
아일랜드 사회는 청소년을 배움의 객체로만 바라보지 않는다. 사회변화를 주도하는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문제인 왕따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기도 하고, 제3세계 빈민을 구제하기 위한 펀딩에 나서기도 하면서 적극적으로 사회변화에 참여한다. 만 15세의 나이. 어리다고 할 수도 있지만 아일랜드 사회는 이들을 충분히 존중한다. 그렇다고 아일랜드의 사회를 부럽게만 바라볼 수는 없다. 아일랜드도 좋은 교육을 위해서는 부모가 그만큼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자본주의 사회다. 지나친 입시교육의 폐해도 우리나라와 같다.
아일랜드는 한국이라는 사회가 아일랜드의 환경과 시대적 배경, 성장과정, 국민성 등 다양한 사회적 변수가 다른 만큼 그 나라에 맞춘 시스템을 갖춰 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다만 학생을 그 중심에 둬야 한다는 것이다. 미래를 이끌어나갈 학생들은 무한한 상상력을 지닌 소중한 존재다. 국립 아일랜드대 제리제퍼스 교수도 아이들의 창의력의 가장 큰 제한은 바로 교사들의 상상력이라고 충고했다.
이 모든 경험을 통해 책은 주체성을 키울 수 있는 자유학기제 프로그램도 조언한다. 자유학기제 기간 아이들이 스스로의 소식을 널리 전파할 프로젝트 소통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지역 사회의 네트워크 구축이 바로 그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상태(지은이)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는 사람이다. 남의 이야기를 듣는 것을 좋아한다. 강원일보에서 [학교와 지역사회의 공생, 자유학기제]라는 기획취재를 진행했다. 강원도, 서울, 제주도에 있는 여러 자유학기제 연구학교를 방문했고, 해외 사례 연구를 위해 자유학기제 도입 초기 영향을 미쳤던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를 취재했다. 그는 앞으로도 자유학기제와 끊임없이 소통하기를 원한다. 강원일보 문화부, 체육부, 어린이강원일보를 거쳐 대학 담당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해 왔던 일보다 앞으로 할 일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사람과의 소통을 위해 [똑똑도서관]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아파트 동대표를 맡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엉뚱지갑]이라는 닉네임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며 사사로운 이야기부터 사람과의 만남을 담아내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사 1
추천사 2
추천사 3
들어가는 글
PART 1 자유학기제가 주는 특별한 선물
 CHAPTER 01 지역 인프라를 활용하다
  지역사회와의 공생 = 27
  함께 꿈을 키우는 학교 공동체 = 32
  지루했던 국어수업이 재미있게 다가온 이유 = 44
 CHAPTER 02 소규모 지역에서의 진로 탐색
  인구 2만여 명에 불과한 소도시에서 다양한 직업체험 터를 발굴하다 = 48
  직장체험, 견학으로 그쳐선 안 된다 = 56
  21세기 가장 필요한 역량은 '인성' = 60
  중학생 시절은 동기부여가 가장 필요하다 = 68
  직업체험에 대한 조언 = 72
  자유학기제, 스스로 공부하고 진로를 찾아가는 시기 = 76
PART 2 자유학기제에 필요한 발상의 전환
 CHAPTER 01 춤추면서 역사공부하고, 벽화도 학생 스스로 완성하다
  진로체험 위해 지역 청소년단체와 협업 = 85
  활발해진 교실 수업 풍경 = 92
  부모는 자녀를 보고 학교를 평가한다 = 96
  자유학기제는 잠깐 여유를 가질 수 있는 기간 = 100
 CHAPTER 02 포스트 자유학기제를 위한 고민
  자유학기제의 놀라운 변화, 서술형 평가를 도입하다 = 105
  학생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준비하라 = 111
  자유학기제, 좋은 경험이지만 사교육은 그대로 = 119
  친구들과 협력하는 재미 vs 무임승차의 문제 = 123
  자유학기제, 처음으로 마음에 드는 정책 = 128
PART 3 자유학기제 성공의 창(窓) 아일랜드에 가다
 CHAPTER 01 자유학기제의 롤모델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아일랜드로 출발 = 135
  스페인 소녀가 아일랜드에 온 이유 = 136
  전환학년제에 대한 아일랜드 학부모의 생각 = 139
  전환학년제, 자기가 하는 만큼 얻어가는 기간 = 141
 CHAPTER 02 서튼 파크 스쿨
  중국을 직접 느끼게 하다 = 148
  학생들의 주체성을 높여야 한다 = 155
 CHAPTER 03 말라하이드 커뮤니티 스쿨
  지역사회와 쉽게 소통하는 방법, '자랑하기' = 162
  학생들의 욕구는 무한대, 다양한 프로그램은 필수 = 168
 CHAPTER 04 트리니티 컬리지 더블린 대학
  경쟁이 치열한 사회에서의 청소년 교육 = 173
  작은 성공을 꾸준히 내는 것이 중요하다 = 181
 CHAPTER 05 더 킹스 허스피탈
  전환학년제의 핵심 코디네이터 선생님을 만나다 = 185
  유명한 사람을 참여시켜라 = 192
 CHAPTER 06 전환학년제, 막연한 동경심은 말아야
  아일랜드도 완벽하지 않다 = 197
  전환학년제를 경험한 아이는 일단 상황을 장악한다 = 200
 CHAPTER 07 제리제퍼스 국립 아일랜드대 명예교수
  학생의 창의력에 가장 큰 제한은 바로 교사의 상상력 = 204
  작은 성취라도 지역사회와 나눠라 = 208
  긍정적 경험은 선순환의 고리가 된다 = 211
PART 4 자유학기제 성장을 돕는 도구
 CHAPTER 01 제주도의 자유학기제 = 215
 CHAPTER 02 인문학 동화일기로 진로교육을 한다 = 217
 CHAPTER 03 교장실 문은 항상 열어 두고 아이들과는 친구가 된다 = 223
 CHAPTER 04 교사에게 부담을 주면 안 된다 = 230
 CHAPTER 05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 교사들도 배우지 않았다 = 235
PART 5 학교와 지역사회의 공생, 자유학기제
 CHAPTER 01 자유학기제 성공 주체성에 달렸다 = 243
 CHAPTER 02 자유학기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필자가 제안하는 행복씨앗공장(Plant Happy Seed) = 253
 CHAPTER 03 학교와 언론사에 제안하는 자유학기제 프로젝트 가칭 '소통' = 256

관련분야 신착자료

용정중학교. 용정 20년사 편찬위원회 (2023)
마산용마고등학교. 백년사 편찬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