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노인교육론

노인교육론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성희
서명 / 저자사항
노인교육론 / 박성희
발행사항
파주 :   양서원,   2011   (2013)  
형태사항
375 p. : 도표 ; 25 cm
ISBN
9788959648306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5-370)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832147
005 20150424171806
007 ta
008 150424s2011 ggkd b 001c kor
020 ▼a 9788959648306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4 ▼2 23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11z4
100 1 ▼a 박성희 ▼0 AUTH(211009)69901
245 1 0 ▼a 노인교육론 / ▼d 박성희
260 ▼a 파주 : ▼b 양서원, ▼c 2011 ▼g (2013)
300 ▼a 375 p. : ▼b 도표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355-370)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4 2011z4 등록번호 1117352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성희(지은이)

·서울여자대학교 학사 ·독일 Georg-August 괴팅겐 대학교 교육학 석사 ·독일 Georg-August 괴팅겐 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 강원대학교, 공주대학교 연구교수 현) 공주대학교, 인하대학교 출강 【주요저서】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2004). 원미사. ·교육사회학(2011, 공저). 양서원. ·평생교육론(2010, 공저). 양서원. ·노인교육론(2011). 양서원. ·성인학습 및 상담(2012, 공저). 양서원. ·평생교육방법론(2013, 대표저자). 학지사. ·독일교육 왜 강한가?(2014). 살림터. ·Individuelle Modernisierungsprozesse im Alter und Generationsbeziehungen der Fraeun in Sudkorea(한국 여성의 노년과 세대관계로 살펴본 여성노인의 현대화과정) 【논문】 1. 소외 중학생의 직업 선택 과정 및 진로 탐색 교육 방안(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227-245. 2. 청소년 가해자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방안(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1), 35-58. 3.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2011). 한국노년학, 31(2). 4. 노년기의 자기정체성 만들기와 비판적 제라고지의 의의(2010). 평생교육학연구, 16(4). 5. 노인의 학습경험에서 도출한 노인완성학습으로서의 노인학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2009). 평생교육학연구, 15(1). 6. 직업생애사에 기반한 고령층여성의 고용가능성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 방안(2009). 안드라고지 투데이, 12(4). 7. 여성노인의 젠더불평등 경험과 인식전환에 대한 연구(2008). 한국여성학, 24(4). 8.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 연구(2006). 평생교육학연구, 12(3). 9. 평생교육으로서의 연구방법론/생애사분석법(2003). 안드라고지 투데이, 6(1). go42431@hanmail.net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Chapter 1 고령화사회와 노인교육의 패러다임
Chapter 2 제라고지와 노인교육의 개념
Chapter 3 노년기 철학과 노인교육
Chapter 4 노인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Chapter 5 노인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Chapter 6 노인교육 방법론
Chapter 7 노인과 지역사회
Chapter 8 노년기 빈곤과 취업교육
Chapter 9 노인과 자원봉사
Chapter 10 독일의 고령화 및 노인교육
Chapter 11 독일 노인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운영
Chapter 12 교육복지와 노년기 삶의 질
Chapter 13 노인교육 관련법 및 노인교육의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