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7
PART 1. 개요 15
1.1. 필요성 및 목적 16
1.2. 국내 보건의료 이차자료원 현황 16
1.2.1. 이차자료원 현황 17
1.2.2. 이차자료원 개요 18
1.3. 이차자료원 조사항목 비교 20
PART 2. 이차자료원별 기본정보 25
2.1. 건강보험청구자료 26
2.1.1. 자료수집 목적 26
2.1.2. 자료수집 체계 26
2.1.3. 변수목록 29
2.1.4. 자료제공 36
2.2. 중앙암등록자료 39
2.2.1. 자료수집 목적 39
2.2.2. 자료수집 체계 39
2.2.3. 변수목록 41
2.2.4. 자료제공 41
2.3.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자료 44
2.3.1. 자료수집 목적 44
2.3.2. 자료수집 체계 44
2.3.3. 변수목록 48
2.3.4. 자료제공 53
2.4. 사회조사 54
2.4.1. 자료수집목적 54
2.4.2. 자료수집 체계 54
2.4.3. 변수목록 57
2.4.4. 자료제공 58
2.5. 통계청 사망원인자료 62
2.5.1. 자료수집 목적 62
2.5.2. 자료수집 체계 62
2.5.3. 변수목록 63
2.5.4. 자료제공 64
2.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66
2.6.1. 자료수집 목적 66
2.6.2. 자료수집 체계 66
2.6.3. 변수목록 68
2.6.4. 자료제공 70
2.7. 국민건강영양조사 75
2.7.1. 자료수집 목적 75
2.7.2. 자료수집 체계 75
2.7.3. 변수목록 78
2.7.4. 자료제공 85
2.8. 지역사회건강조사 87
2.8.1. 자료수집 목적 87
2.8.2. 자료수집 체계 87
2.8.3. 변수목록 89
2.8.4. 자료제공 92
2.9.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97
2.9.1. 자료수집 목적 97
2.9.2. 자료수집 체계 97
2.9.3. 변수목록 99
2.9.4. 자료제공 103
2.10. 퇴원손상심층조사 107
2.10.1. 자료수집 목적 107
2.10.2. 자료수집 체계 107
2.10.3. 변수목록 109
2.10.4. 자료 제공 111
2.11. 노인실태조사 115
2.11.1. 자료수집 목적 115
2.11.2. 자료수집 체계 115
2.11.3. 변수목록 118
2.11.4. 자료제공 121
2.12.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125
2.12.1. 자료수집 목적 125
2.12.2. 자료수집 체계 125
2.12.3. 변수목록 127
2.12.4. 자료제공 129
2.13. 장애인실태조사 130
2.13.1. 자료수집 목적 130
2.13.2. 자료수집 체계 130
2.13.3. 변수목록 133
2.13.4. 자료제공 136
2.14.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137
2.14.1. 자료수집 목적 137
2.14.2. 자료수집 체계 137
2.14.3. 변수목록 139
2.14.4. 자료제공 140
2.15.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141
2.15.1. 자료수집 목적 141
2.15.2. 자료수집 체계 141
2.15.3. 변수목록 144
2.15.4. 자료제공 145
2.16. 영아ㆍ모성사망조사 146
2.16.1. 자료수집 목적 146
2.16.2. 자료수집 체계 146
2.16.3. 변수목록 150
2.16.4. 자료제공 152
2.17. 차상위계층실태조사 153
2.17.1. 자료수집 목적 153
2.17.2. 자료수집 체계 153
2.17.3. 변수목록 155
2.17.4. 자료제공 156
2.18. 환자조사 157
2.18.1. 자료수집 목적 157
2.18.2. 자료수집 체계 157
2.18.3. 변수목록 161
2.19. 한국복지패널 164
2.19.1. 자료수집 목적 164
2.19.2. 자료수집 체계 164
2.19.3. 변수목록 166
2.19.4. 자료제공 167
2.20. 한국의료패널 170
2.20.1. 자료수집 목적 170
2.20.2. 자료수집 체계 170
2.20.3. 변수목록 172
2.20.4. 자료제공 176
2.21. 고령화연구패널 178
2.21.1. 자료수집 목적 178
2.21.2. 자료수집 체계 178
2.21.3. 변수목록 180
2.21.4. 자료제공 182
2.22. 한국노동패널 185
2.22.1. 자료수집 목적 185
2.22.2. 자료수집 체계 185
2.22.3. 변수목록 187
2.22.4. 자료제공 189
PART 3. 이차자료원 활용을 위한 심화정보 190
3.1. 이차자료원 활용 성과연구를 위한 자가점검표 191
3.2. 복합표본설계를 고려한 표본조사자료 분석 193
참고문헌(Reference) 197
[부록 1] 건강보험청구자료 T200 특정기호 구분코드 200
[부록 2] 건강보험청구자료 T300 항ㆍ목 코드 207
판권기 3
표 1-1. 국내 보건의료 이차자료원 현황 17
표 1-2. 국내 보건의료 이차자료원 특성 18
표 1-3. 이차자료원별 조사항목 비교 21
표 2-1. 건강보험청구자료 자료수집 항목 27
표 2-2. 건강보험청구자료 명세서일반내역 테이블 변수목록 30
표 2-3. 건강보험청구자료 진료내역 테이블 변수목록 32
표 2-4. 건강보험청구자료 수진자상병내역 테이블 변수목록 33
표 2-5. 건강보험청구자료 원외처방상세내역 테이블 변수목록 34
표 2-6. 건강보험청구자료 투약량 기입(예시) 34
표 2-7. 중앙암등록자료 자료수집 항목 40
표 2-8. 중앙암등록자료 변수목록 41
표 2-9.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생애주기별 대상자 45
표 2-10.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수집 항목 46
표 2-11.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변수목록 49
표 2-12. 사회조사 자료수집 항목 55
표 2-13. 사회조사 변수목록 57
표 2-14. 통계청 사망원인자료 자료수집 항목 62
표 2-15. 통계청 사망원인자료 변수목록 63
표 2-1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수집 항목 67
표 2-17.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변수목록 68
표 2-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수집 항목 75
표 2-19. 국민건강영양조사 공통 변수 78
표 2-20. 국민건강영양조사 변수목록 79
표 2-21. 건강설문조사 주요 지표변수 생성 SAS 프로그램(예시) 83
표 2-22.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수집 항목 88
표 2-23. 지역사회건강조사 기본정보 89
표 2-24. 지역사회건강조사 변수목록 90
표 2-25.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수집 항목 98
표 2-26.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항목코드 정의 100
표 2-27.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공통변수 101
표 2-28.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항목별 주요변수 101
표 2-29.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수집 항목 108
표 2-30. 퇴원손상심층조사의 전산화 유무에 따른 표본크기 결정 108
표 2-31.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수집 방법 109
표 2-32. 퇴원손상심층조사 변수목록 110
표 2-33. 노인실태조사 연도별 표본수 116
표 2-34. 노인실태조사 자료수집 항목 117
표 2-35. 노인실태조사 변수목록 119
표 2-36.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자료수집 항목 126
표 2-37.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항목코드 정의 127
표 2-38.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변수목록 128
표 2-39. 장애인실태조사 자료수집 항목 131
표 2-40. 장애인실태조사 변수목록 133
표 2-41.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수집 항목 138
표 2-42.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항목코드 정의 139
표 2-43.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변수목록 140
표 2-44.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15~64세 기혼가구, 15~49세 기혼여성 자료수집 142
표 2-45.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20~44세 미혼남녀 자료수집 항목 143
표 2-46.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변수목록 145
표 2-47. 영아ㆍ사망조사 조사주기 148
표 2-48. 영아ㆍ모성사망조사 자료수집 항목 149
표 2-49. 영아ㆍ모성사망조사 변수목록 150
표 2-50. 차상위계층실태조사의 구성 153
표 2-51. 차상위계층실태조사 1차 조사 항목 154
표 2-52. 차상위계층실태조사 2차 심층조사 항목 154
표 2-53. 차상위계층실태조사의 1차표본과 2차표본 추출방식의 비교 155
표 2-54. 차상위계층실태조사의 1차 조사 변수목록 155
표 2-55. 차상위계층실태조사 2차 조사 변수목록 156
표 2-56. 환자조사 자료수집 항목 158
표 2-57. 환자조사 항목코드 정의 161
표 2-58. 환자조사 항목별 공통변수 161
표 2-59. 환자조사 변수목록 162
표 2-60. 한국복지패널 자료수집 항목 165
표 2-61. 한국복지패널 표본추출 개요 166
표 2-62. 한국복지패널 변수목록 166
표 2-63. 한국의료패널 패널가구 유지 비율 170
표 2-64. 한국의료패널 자료수집 항목 171
표 2-65. 한국의료패널 변수목록 172
표 2-66. 고령화연구패널 자료수집 항목 179
표 2-67. 고령화연구패널 변수목록 180
표 2-68. 한국노동패널 1~13차 추적조사 결과 186
표 2-69. 한국노동패널 자료수집 항목 186
표 2-70. 한국노동패널 변수목록 188
표 3-1. 이차자료원 활용 연구를 위한 자가점검표 192
그림 2-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제공절차 36
그림 2-2. 중앙암등록자료 제공절차 42
그림 2-3.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수행절차 48
그림 2-4.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자료 제공절차 53
그림 2-5. 사회조사 자료제공절차 58
그림 2-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제공절차 70
그림 2-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제공 85
그림 2-8.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제공절차 92
그림 2-9.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제공절차 103
그림 2-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제공절차 121
그림 2-11. 영아사망ㆍ사산조사 자료수집체계 146
그림 2-12. 모성사망조사 자료수집체계 147
그림 2-13. 고령화연구패널 제공절차 183
그림 3-1. 가중치 산출 및 적용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