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u2200205 a 4500 | |
001 | 000045829960 | |
005 | 20211112131757 | |
008 | 150402s1998 mdu b 001 0 eng d | |
010 | ▼a 98129525 | |
020 | ▼a 0801858305 (corrected edition) | |
035 | ▼a (KERIS)REF000004760589 | |
040 | ▼a DLC ▼c DLC ▼d DLC ▼d 211009 | |
041 | 1 | ▼a eng ▼h fre |
050 | 0 4 | ▼a P105 ▼b .D5313 1998 |
082 | 0 0 | ▼a 401 ▼2 23 |
084 | ▼a 401 ▼2 DDCK | |
090 | ▼a 401 ▼b D438dE1 | |
100 | 1 | ▼a Derrida, Jacques, ▼d 1930-2004 ▼0 AUTH(211009)77289. |
240 | 1 0 | ▼a De la grammatologie. ▼l English |
245 | 1 0 | ▼a Of grammatology / ▼c by Jacques Derrida ; translated by Gayatri Chakravorty Spivak. |
250 | ▼a Corrected ed. | |
260 | ▼a Baltimore : ▼b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c 1998. | |
300 | ▼a xc, 360 p. ; ▼c 23 cm. | |
504 | ▼a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and index. | |
650 | 0 | ▼a Language and languages ▼x Philosophy. |
650 | 0 | ▼a Writing.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6층/ | 청구기호 401 D438dE1 | 등록번호 1117340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자크 데리다(지은이)
1930년 알제리(Algérie)의 수도 알제(Alger)의 엘비아(El-biar)에서 불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프랑스 시민권자로 태어나 불어로 교육을 받으며 지역의 다른 언어에 둘러싸여 자랐다. 19살에 소위 메트로폴이라 불리던 프랑스, 즉 ‘식민 본국’으로 건너와 수험 준비를 시작해 1952년 고등사범학교(ENS)에 입학한 후 루이 알튀세르(Louis Pierre Althusser)를 만났다. 장 이폴리트( Jean Hyppolite)를 지도교수로 「후설철학에서 기원의 문제(Le Problème de la genèse dans la philosophie de Husserl)」로 논문을 썼다(Paris, PUF, 1990). 1953년에서 1954년 쓰여진 데리다의 이 첫번째 글은 데리다의 초기연구의 기반으로 볼 수 있다. 데리다는 ‘기원(genèse)’을 주제어로 삼아 현상학의 창시자 후설의 사유에서 시간, 변동, 역사에 대한 고려가 초월적 주체의 구성, 감각과 감각 대상- 특히 과학적 대상-의 의도적 생산에 불러온 수정과 복잡화를 분석한다. 이후 데리다는 후설의 사유에 관해 『기하학의 기원(Introduction à L’origine de la géométrie)』(Paris, PUF, 1962)(후설의 원고 번역과 해설),『목소리와 현상(La voix et le phénomène)』(Paris, PUF, 1967)을 썼다. 57년 교수자격시험에 합격하고 60년부터 64년까지 소르본에서 강의하며 바슐라르(G. Bachelard), 컹길렘 (G. Canguilhem), 리쾨르(P. Ricoeur), 장 발( J. Wahl)의 조교로 일했다. 이 무렵 「텔켈(Tel Quel)」에 글을 게재하고 교류하기도 했다. 1964년 고등사범학교의 철학 교사로 임명돼 1984년까지 일종의 조교수 자격으로 강의했다. 폴 드만(Paul de Man)과의 인연으로 예일(Yale)에서 정기적으로 강의를 시작한 후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다. 국제 철학학교(Collège International de Philosophie) 설립에 참여했고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책임자로 있었다. 1984년부터 데리다의 마지막 세미나가 되는 ‘짐승과 주권(La bête et le souverain)’(2001-2002, 2002- 2003)까지 사회과학고등연구원(L’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에서 강의했다.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옮긴이)
1942년 인도 서벵골주 콜카타에서 태어났다. 1959년 콜카타 대학의 프레지던시 칼리지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이주해 1967년 코넬 대학에서 폴 드 만의 지도하에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6년 자크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영어 번역과 해제로 주목받았으며, 이어 「세 여성의 텍스트와 제국주의 비판」(1985)과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1988) 등을 필두로 한 적극적인 지적 개입 및 서발턴 연구 집단(Subaltern Studies Group) 소개 활동으로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을 탈구축하는 포스트식민 비평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다수의 논문과 인터뷰를 발표했으며 이 중 상당수가 『다른 세상에서』(1987), 『스피박의 대담』(1990), 『교육 기계 안의 바깥에서』(1993), 『포스트식민 이성 비판』(1999), 『다른 여러 아시아』(2008), 『지구화 시대의 미학 교육』(2012) 등의 저서로 묶여 출간되었다. 또 벵골 소설가이자 활동가인 마하스웨타 데비의 여러 작품과 마르티니크 작가이자 정치인인 에메 세제르의 『콩고에서의 한 계절』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2022년에는 번역에 관한 글을 엮은 『살아 있는 번역』을 펴냈다. 아이오와 대학과 시카고 대학, 텍사스 대학, 피츠버그 대학 등을 거쳐 컬럼비아 대학 비교 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1980년대 중반 이래 인도 농촌 지역에 학교들을 설립해 토지를 소유하지 못한 비문해 성인과 아동을 교육하고 있다. 2012년에 교토 사유와 윤리상(Kyoto Prize in Thought and Ethics)을 수상했고 2013년에는 인도 정부의 시민 훈장인 파드마 부샨(Padma Bhushan)을 수여받았다. 현재 W. E. B. 두 보이스에 대한 책을 집필 중이다.
